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셰스카테 문화}} | {{셰스카테 문화}} | ||
{{셰스카테령 관련 틀}} | |||
{{나라 정보 | {{나라 정보 | ||
| 기여자 = 쿠루쿠 | | 기여자 = 쿠루쿠 | ||
| 현지이름 = Asravaltané Scheskatté<ref>[[셰스카테어]]</ref><br>Schescatte'm Asravalta | | 현지이름 = Asravaltané Scheskatté<ref name="셰스카테어">[[셰스카테어]]</ref><br>Schescatte'm Asravalta<ref name="모시츠어">[[아스라발타어]]</ref> | ||
| 다른표기 = J'Mosiç die Exeskate | | 다른표기 = J'Mosiç die Exeskate | ||
| 나라이름 = 셰스카테령 아스라발타 | | 나라이름 = 셰스카테령 아스라발타 | ||
| 국기_그림 = 셰스카테령 아스라발타 국기.png | | 국기_그림 = 셰스카테령 아스라발타 국기.png | ||
| 문장_그림 = 셰스카테령 아스라발타 국장.png | | 문장_그림 = 셰스카테령 아스라발타 국장.png | ||
| 나라_표어 = Merre liviatád sate növ.<ref>[[셰스카테어]]</ref><br>Ecel'men oner'se past'el<ref>[[ | | 나라_표어 = Merre liviatád sate növ.<ref name="셰스카테어">[[셰스카테어]]</ref><br>Ecel'men oner'se past'el<ref name="아스라발타어">[[아스라발타어]]</ref> | ||
| 나라_표어_설명 = 바다를 넘어 세계로. | | 나라_표어_설명 = 바다를 넘어 세계로. | ||
| 국가 = | | 국가 = 문서 참조 | ||
| 국수 = | | 국수 = | ||
| 국조 = | | 국조 = | ||
43번째 줄: | 45번째 줄: | ||
| 최대도시 = 베넬 | | 최대도시 = 베넬 | ||
| 면적 = | | 면적 = | ||
| 접경국 = {{국호| | | 접경국 = {{국호|메티샤의 자유와 미래}} | ||
| 문화권 = | | 문화권 = | ||
| 문화 = | | 문화 = | ||
61번째 줄: | 63번째 줄: | ||
| 조사인구수 = | | 조사인구수 = | ||
| 인구조사년도 = | | 인구조사년도 = | ||
| 민족_분포 = | | 민족_분포 = 아스라발타인 85%<br>셰스카테계 15% | ||
| 인구밀도 = | | 인구밀도 = | ||
| 밀도계산년도 = | | 밀도계산년도 = | ||
70번째 줄: | 72번째 줄: | ||
| 기대_수명 = | | 기대_수명 = | ||
| 수명조사년도 = | | 수명조사년도 = | ||
| 공용어 = [[아스라발타어]]<br>{{국기그림|셰스카테}}[[셰스카테어]] | | 공용어 = {{국기그림|셰스카테령 아스라발타}} [[아스라발타어]]<br>{{국기그림|셰스카테}} [[셰스카테어]]<br>{{국기그림|셰스카테}} {{국기그림|자소크 철학단}} [[셰스카테 자소크어]] | ||
| 공용문자 = 라틴 문자 | | 공용문자 = [[라틴 문자]] | ||
| 지역어 = [[아스라발타 셰스카테어]] | | 지역어 = [[아스라발타 셰스카테어]] | ||
| 국교 = | | 국교 = | ||
78번째 줄: | 80번째 줄: | ||
| 군대 = 없음 | | 군대 = 없음 | ||
| 주둔군 = [[셰스카테 국군]] | | 주둔군 = [[셰스카테 국군]] | ||
| 정치체제 = | | 정치체제 = 속령 | ||
| 지도자_칭호 = 대통령 | | 지도자_칭호 = 대통령 | ||
| 지도자_성명 = | | 지도자_성명 = | ||
102번째 줄: | 104번째 줄: | ||
| 외교문서 = | | 외교문서 = | ||
| 숫자코드 = | | 숫자코드 = | ||
| 2자코드 = | | 2자코드 = SK | ||
| 3자코드 = | | 3자코드 = SKAV | ||
| 한자약칭 = | | 한자약칭 = 惠阿 | ||
| 한자음 = | | 한자음 = 혜아 | ||
}} | }} | ||
== 개요 == | == 개요 == | ||
[[셰스카테령 아스라발타]]<small>([[아스라발타어]]: Asravaltané Scheskatté, [[모시츠어]]: Schescatte'm Asravalta)</small>는 [[셰스카테]]가 무역·군사 목적으로 세운 2번째 속국이다. [[셰스카테]]는 [[셰스카테령 모시츠]]에 이어서 [[메티샤의 자유와 미래]] 근처에 있는 아스라발타 섬에 또다른 속국을 세웠다. [[셰스카테]]는 제국주의적인 듯 하다가도 단순히 무역에만 집중하는 등 모호한 행보를 보여, 찬반양론이 첨예하게 갈렸다. 점점 [[셰스카테]]에 유리한 여론이 조성되자, 추가 속국을 세우기 위한 [[메티샤]] 진출은 계속되었다. | |||
== 도보게 == | |||
* [[셰스카테령 모시츠]] | |||
== | * [[셰스카테령 두말린 제도]] | ||
* [[셰스카테령 틀란바이르고고흐]] | |||
* [[셰스카테령 바스투]] | |||
== | == 각주 == | ||
[[분류:셰스카테]] | |||
[[분류:일반 국가]] |
2025년 2월 25일 (화) 17:04 기준 최신판
+![]() Ilad comsen gá comkreittropim Meras |
---|
셰스카테 · 셰스카테어와 풀르어 · 쿠므사테와 흐줌사테 |
지리 · 국기 · 교육 · 군사 · 국제관계 · 문화 |
[ 관련 틀 ] |
+![]() ![]() ![]() ![]() ![]() Merre liviatád sate növ | ||||||||||||||||||||||||||||||||||||||||||||||||||
---|---|---|---|---|---|---|---|---|---|---|---|---|---|---|---|---|---|---|---|---|---|---|---|---|---|---|---|---|---|---|---|---|---|---|---|---|---|---|---|---|---|---|---|---|---|---|---|---|---|---|
셰스카테령 모시츠 · 셰스카테령 아스라발타 · 셰스카테령 두말린 제도 · 셰스카테령 틀란바이르고고흐 · 셰스카테령 바스투 | ||||||||||||||||||||||||||||||||||||||||||||||||||
[ 관련 틀 ]
|
Asravaltané Scheskatté[4] Schescatte'm Asravalta[5]+ J'Mosiç die Exeskate | |||
---|---|---|---|
셰스카테령 아스라발타 | |||
| |||
표어 | Merre liviatád sate növ.[4] Ecel'men oner'se past'el[6] 바다를 넘어 세계로. | ||
상세 정보 | |||
[ 펼치기 · 접기 ] |
상징 | |
---|---|
국가 | 문서 참조 |
상징색 | Pradol(#164391) Syçe(#FFD000) |
역사 | |
건국 | 5321년 8월 9일 |
지리 | |
수도 | 베넬 |
최대도시 | 베넬 |
접경국 | ![]() |
인구 | |
민족 분포 | 아스라발타인 85% 셰스카테계 15% |
어문 | |
공용어 | ![]() ![]() ![]() |
공용문자 | 라틴 문자 |
지역어 | 아스라발타 셰스카테어 |
군대 | |
군대 | 없음 |
주둔군 | 셰스카테 국군 |
정치 | |
정치체제 | 속령 |
대통령 | [[]] |
경제 | |
통화 | 셰스카테 아비실, 아스라발타 아비실 (Å) |
단위 | |
기년법 | 자소크력 |
통행방향 | 우측통행 |
국가 코드 | |
2자코드 | SK |
3자코드 | SKAV |
한자약칭 | 惠阿(혜아) |
쿠루쿠 |
개요
셰스카테령 아스라발타(아스라발타어: Asravaltané Scheskatté, 모시츠어: Schescatte'm Asravalta)는 셰스카테가 무역·군사 목적으로 세운 2번째 속국이다. 셰스카테는 셰스카테령 모시츠에 이어서 메티샤의 자유와 미래 근처에 있는 아스라발타 섬에 또다른 속국을 세웠다. 셰스카테는 제국주의적인 듯 하다가도 단순히 무역에만 집중하는 등 모호한 행보를 보여, 찬반양론이 첨예하게 갈렸다. 점점 셰스카테에 유리한 여론이 조성되자, 추가 속국을 세우기 위한 메티샤 진출은 계속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