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나라 정보 | 기여자 = 리키 | 현지이름 = Fliosen Masllo Blioso | 다른표기 = | 나라이름 = 플리오센 공화국 | 국기_그림 = 플리오센국기.svg | 문장_그림 = | 나라_표어 = Svezolle O Salonig | 나라_표어_설명 = 완벽한 나라 | 국가 = | 국수 = | 국조 = | 국화 = | 상징색1 = #defbff | 상징색1_이름 = siclobis blue | 상징색1_글씨색 = black | 상징색2 = #fffda6 | 상징색2_이름 = lenum yellow | 상징색2_...) |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크리상테스" 문자열을 "크리상치아" 문자열로) |
||
(사용자 7명의 중간 판 2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사트}} | |||
{{나라 정보 | {{나라 정보 | ||
| 기여자 = 리키 | | 기여자 = 리키 | ||
4번째 줄: | 5번째 줄: | ||
| 다른표기 = | | 다른표기 = | ||
| 나라이름 = 플리오센 공화국 | | 나라이름 = 플리오센 공화국 | ||
| 국기_그림 = 플리오센국기. | | 국기_그림 = 플리오센국기.png | ||
| 문장_그림 = | | 문장_그림 = | ||
| 나라_표어 = | | 나라_표어 = Letrovemso Lündeneo. | ||
| 나라_표어_설명 = | | 나라_표어_설명 = 자연을 알라. | ||
| 국가 = | | 국가 = Difenscâ leisso ürzascavo <br> <small>희망이 우리를 반기리라</small> | ||
| 국수 = | | 국수 = | ||
| 국조 = | | 국조 = | ||
19번째 줄: | 20번째 줄: | ||
| 상징색2_글씨색 = black | | 상징색2_글씨색 = black | ||
| 이전_형태 = | | 이전_형태 = | ||
| 주권 = | | 주권 = 플리오센 공화국 | ||
| 주권_설명 = | | 주권_설명 = 3789년 9월 3일 | ||
| 정부수립1 = | | 정부수립1 = | ||
| 정부수립일1 = | | 정부수립일1 = | ||
| 정부수립2 = | | 정부수립2 = | ||
| 정부수립일2 = | | 정부수립일2 = | ||
37번째 줄: | 38번째 줄: | ||
| 지도_그림 = | | 지도_그림 = | ||
| 지도_그림_설명 = | | 지도_그림_설명 = | ||
| 수도 = | | 수도 = Nüavoz ( 뉘아보즈 ) | ||
| 수도위치 = | | 수도위치 = | ||
| 최대도시 = | | 최대도시 = Meglots ( 메글로츠 ) | ||
| 면적 = | | 면적 = 163,433 | ||
| 접경국 = | | 접경국 = {{국호|노베몰마디아 공화국}}<br>{{국호|셰스카테}}<br>{{국호|그래그래 공화국}}<br>{{국호|테사시테스 자치령}} | ||
| 문화권 = | | 문화권 = | ||
| 문화 = | | 문화 = | ||
70번째 줄: | 71번째 줄: | ||
| 공용어 = [[파인어]] | | 공용어 = [[파인어]] | ||
| 공용문자 = 라틴 문자 | | 공용문자 = 라틴 문자 | ||
| 지역어 = | | 지역어 = [[자소크어]] | ||
| 국교 = | | 국교 = | ||
| 종교_분포 = | | 종교_분포 = | ||
76번째 줄: | 77번째 줄: | ||
| 군대 = | | 군대 = | ||
| 주둔군 = | | 주둔군 = | ||
| 정치체제 = | | 정치체제 = 대통령제 | ||
| 지도자_칭호 = | | 지도자_칭호 = | ||
| 지도자_성명 = | | 지도자_성명 = | ||
89번째 줄: | 90번째 줄: | ||
| 당색글씨 = | | 당색글씨 = | ||
| 당색배경 = | | 당색배경 = | ||
| 경제체제 = | | 경제체제 = 자본주의 | ||
| 통화 = 넬 | | 통화 = [[넬]] | ||
| 통화기호 = Ň | | 통화기호 = Ň | ||
| 기년법 = 자소크력 | | 기년법 = 자소크력 | ||
| 시간대 = | | 시간대 = | ||
| 도량형 = | | 도량형 = | ||
| 날짜형식 = | | 날짜형식 = MM.DD.YYYY | ||
| 통행방향 = | | 통행방향 = | ||
| 수교국 = | | 수교국 = | ||
105번째 줄: | 106번째 줄: | ||
| 한자음 = 불 | | 한자음 = 불 | ||
}} | }} | ||
'''플리오센 공화국''' <small>( 파인어 : Fliosen Masllo Blioso )</small> 은 [[레니스카]] 북동쪽에 위치한 공화국이다. 땅 하나와 섬 두개로 이루어진 나라이다. 셰스카테 윗쪽 ( 플리오센의 왼편 ) 의 섬은 Feisaz, 플리오센의 오른편의 섬은 Laisfaz 이다. | |||
==국호== | |||
{{사트 언어 | |||
| 주제 = 국호 | |||
| 처음언어 = 파인어 | |||
| 처음언어_내용 = le Fliosen Masllo Blioso | |||
| 처음언어2 = | |||
| 처음언어_내용2 = | |||
| 처음언어3 = | |||
| 처음언어_내용3 = | |||
| 처음언어4 = | |||
| 처음언어_내용4 = | |||
| 처음언어5 = | |||
| 처음언어_내용5 = | |||
| 처음언어6 = | |||
| 처음언어_내용6 = | |||
| 과학어 = | |||
| 그로샤어 = | |||
| 다메타시아어 = | |||
| 뎅구르어 = | |||
| 라게트니어 = | |||
| 람페어 = | |||
| 러냐어 = | |||
| 레프레누어 = | |||
| 로네어 = | |||
| 루시타어 = | |||
| 뤼미에르어 = | |||
| 목토어 = | |||
| 무르무르어 = | |||
| 무후니아어 = | |||
| 미코로스 아케뒤 = Taflysen jer Rype | |||
| 미퀼로스 아케뒤 = | |||
| 바란어 = | |||
| 바샨니어 = | |||
| 바움베니치어 = | |||
| 베르쿠아디아 = | |||
| 베르쿠암 = | |||
| 부토니에어 = | |||
| 사삼오일 = | |||
| 성서 구스니어 = | |||
| 세멘티어 = | |||
| 시메타시스어 = | |||
| 아투제르어 = | |||
| 야마토어 = | |||
| 어 = | |||
| 에스라스타어 = | |||
| 에카넥어 = | |||
| 엘레르디어 = | |||
| 엘 아케뒤 = | |||
| 엘 퀼로 아케뒤 = | |||
| 우이뇨르데괴자욤어 = | |||
| 이렘나어 = es'Atrn k'Vriyse | |||
| 이룰어 = | |||
| 자소크어 = | |||
| 자수르만어 = | |||
| 자텐다어 = Latolin Edemir 'Práyzen | |||
| 주노데어 = | |||
| 칼티어 = | |||
| 크라니시스어 = | |||
| 크리상치아어 = Respublique Fliosénas | |||
| 텐메이어 = | |||
| 트라벨레메 = | |||
| 파랑제어 = | |||
| 파인어 = | |||
| 파셀어 = | |||
| 퍈프소븜 = gok san fliosen | |||
| 피페레어 = | |||
| 한카어 = | |||
| 헤이어 = | |||
| 화칸어 = | |||
| 한국어 = 플리오센 공화국 | |||
| 영어 = Republic of Fliosen | |||
| 일본어 = フリオセン共和国 | |||
| 한문 = 岪理吳善共和国 | |||
| 대만어 = | |||
| 중국어 = 岪理吳善共和国 | |||
| 라틴어 = | |||
| 프랑스어 = | |||
| 아랍어 = | |||
| 안드로어 = | |||
| 메다어 = | |||
}} | |||
== 특징 == | |||
플리오센은 이름부터 자연을 사랑하는 나라임을 알 수 있다. 플리오센의 뜻, Flis + Ioz + Saz + Slien<ref>풀 (Grass) + 공기 (Air) + 초록 (Green) + 나무 (Tree)</ref>, 즉 "자연과 함께 살아가는 나라" 라는 콘셉트를 가진 나라이다. 국가의 식물 가꾸기 프로젝트 <small>( 4617. ~ )</small> 는 현재까지도 이뤄지고있다. | |||
== 상징 == | |||
===국기=== | |||
국기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뉘어 푸른 부분을 '''Ganisvelade''', 노란 부분을 '''Avisto''', 그리고 중앙의 꽃 부분을 '''Flisilf''' 라고 한다. Ganisvelade 는 긴 평화를, Avisto 는 밝은 미래와 국민을, Flisilf 는 자연을 상징한다. | |||
===국가=== | |||
플리오센의 국가는 두 가지로 주(主)국가인 '''Difenscâ leisso ürzascavo''', 부(部)국가인 '''Vielleso vercevio''' 가 있다. 주국가는 국가 행사, 대통령 방문과 같이 큰 행사에서 불리고, 부국가는 학교와 집 등 모두가 알고 부르기 쉬운 국가이다. | |||
== 도보게 == | |||
{{서레니스카 구성국}} | |||
{{자소크어 국가}} | |||
{{생체병기통제계획}} | |||
==각주== | |||
[[분류:일반 국가]] | |||
[[분류:자소크력 오류가 있는 문서]] |
2024년 6월 26일 (수) 20:19 기준 최신판
Fliosen Masllo Blioso+ | ||
---|---|---|
플리오센 공화국 | ||
| ||
표어 | Letrovemso Lündeneo. 자연을 알라. | |
상세 정보 | ||
[ 펼치기 · 접기 ] |
상징 | |
---|---|
국가 | Difenscâ leisso ürzascavo 희망이 우리를 반기리라 |
상징색 | siclobis blue(#defbff) lenum yellow(#fffda6) |
역사 | |
플리오센 공화국 | 3789년 9월 3일 |
지리 | |
수도 | Nüavoz ( 뉘아보즈 ) |
최대도시 | Meglots ( 메글로츠 ) |
면적 | 163,433㎢ |
접경국 | ![]() ![]() ![]() |
어문 | |
공용어 | 파인어 |
공용문자 | 라틴 문자 |
지역어 | 자소크어 |
정치 | |
정치체제 | 대통령제 |
경제 | |
경제체제 | 자본주의 |
통화 | 넬 (Ň) |
단위 | |
기년법 | 자소크력 |
날짜형식 | MM.DD.YYYY |
국가 코드 | |
2자코드 | FB |
3자코드 | FMB |
한자약칭 | 岪(불) |
리키 |
플리오센 공화국 ( 파인어 : Fliosen Masllo Blioso ) 은 레니스카 북동쪽에 위치한 공화국이다. 땅 하나와 섬 두개로 이루어진 나라이다. 셰스카테 윗쪽 ( 플리오센의 왼편 ) 의 섬은 Feisaz, 플리오센의 오른편의 섬은 Laisfaz 이다.
국호
국호 | |
---|---|
파인어 | le Fliosen Masllo Blioso |
미코로스 아케뒤 |
Taflysen jer Rype |
![]() 이렘나어 |
es'Atrn k'Vriyse |
![]() 자텐다어 |
Latolin Edemir 'Práyzen |
크리상치아어 |
Respublique Fliosénas |
퍈프소븜 |
gok san fliosen |
![]() 한국어 |
플리오센 공화국 |
![]() 영어 |
Republic of Fliosen |
![]() 일본어 |
フリオセン共和国 |
![]() 한문 |
岪理吳善共和国 |
![]() 중국어 |
岪理吳善共和国 |
안드로어 |
vmffldhtps rhdghkrnr |
메다어 |
pgwydjvncs kvam/fkbx |
특징
플리오센은 이름부터 자연을 사랑하는 나라임을 알 수 있다. 플리오센의 뜻, Flis + Ioz + Saz + Slien[3], 즉 "자연과 함께 살아가는 나라" 라는 콘셉트를 가진 나라이다. 국가의 식물 가꾸기 프로젝트 ( 4617. ~ ) 는 현재까지도 이뤄지고있다.
상징
국기
국기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뉘어 푸른 부분을 Ganisvelade, 노란 부분을 Avisto, 그리고 중앙의 꽃 부분을 Flisilf 라고 한다. Ganisvelade 는 긴 평화를, Avisto 는 밝은 미래와 국민을, Flisilf 는 자연을 상징한다.
국가
플리오센의 국가는 두 가지로 주(主)국가인 Difenscâ leisso ürzascavo, 부(部)국가인 Vielleso vercevio 가 있다. 주국가는 국가 행사, 대통령 방문과 같이 큰 행사에서 불리고, 부국가는 학교와 집 등 모두가 알고 부르기 쉬운 국가이다.
도보게
+ 서레니스카의 국가와 지역 | |||
---|---|---|---|
![]() 카마르 |
![]() 제리드발로타 |
노베몰마디아 | |
사틸튼퇴 |
![]() 닉세 |
![]() 셰스카테 |
![]() 플리오센 |
![]() 루시코와 |
![]() 랑서국 |
![]() 신세이 |
모하지 ![]() |
카마르 헌국(5521. 7. 10 ~)
제리드발로타 공화국(5010. 08. 14 ~)
노베몰마디아 공화국(5014. 1. 17 ~)
사틸튼퇴 자유시(5518. 3. 2 ~)
닉세 공화국(0000. 0. 0 ~)
셰스카테(5111. 2. 7 ~)
플리오센 공화국(3078. 9. 3. ~)
루시코와(3323. 0. 0 ~)
랑서국(5511. 07. 24 ~)
신세이 왕국(4968. 3. 9 ~)
모하지 공화국(4958. 8. 22 ~)
각주
- ↑ 2025년 4월 23일 13시 35분 32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 디스코드 서버에는 차단된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나 들어올 수 있습니다.
- ↑ 풀 (Grass) + 공기 (Air) + 초록 (Green) + 나무 (Tree)
- ↑ 일반적인 자소크어와 조금 차이가 있는 셰스카테 자소크어를 사용한다
- ↑ 종교 및 외교 분야에서 사용하며, 표준 자소크어가 아닌 와기제 리 자소크어이다.
- ↑ 표준 자소크어가 아닌 갑인 자소크어이다.
- ↑ 종속국인 아르토이트령 네즈니베 · 아르토이트령 무후니아 · 세멘티-네라크뤼스 공국도 동참하였다.
- ↑ 헤멜바르트 제국은 일라스판 · 눌루베즈 · 헤세남 등 3개 도시만 별도 가입하였으며, 총사무소는 헤세남에 위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