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크리상테스" 문자열을 "크리상치아" 문자열로) |
||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1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파일:TO_창세가.jpg|x500px]] | [[파일:TO_창세가.jpg|x500px]] | ||
'''[[어]]'''<small>(영어: To)</small> 또는 '''[[어어]]'''<small>(─語, 영어: To language)</small>는 고대 [[구오]]에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언어이다. [[구이치 오센#요람|요람]]에서 발견된 석판을 복원하고 연구하는 과정에서 처음 제시되었다. | '''[[어]]'''<small>(영어: To)</small> 또는 '''[[어어]]'''<small>(─語, 영어: To language)</small>는 고대 [[구오]]에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언어이다. [[구이치 오센#요람|요람]]에서 발견된 석판을 복원하고 연구하는 과정에서 처음 제시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https://docs.google.com/document/d/1oLWO8AyymdQGTDgFuMpeOXW0B56urRn5WqGhj3QTcIs/edit# 이 문서] 참고 | ||
형태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동일한 길이와 각도로 뻗어있는 두 선분이 발견되었고, 선분의 길이와 각도로 정보를 구분하는 종류의 문자라는 가설을 중심으로 해석이 진행되고 있다. | 형태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동일한 길이와 각도로 뻗어있는 두 선분이 발견되었고, 선분의 길이와 각도로 정보를 구분하는 종류의 문자라는 가설을 중심으로 해석이 진행되고 있다. | ||
{{사트 언어|2 | {{사트 언어|2 | ||
<!-- | |||
이 언어의 이름을 자국어로 번역할 때, 발음이 비슷한 단어보다는 '어'라는 글자의 모양과 비슷한 단어로 만들어주세요!!! | |||
--> | |||
| 주제 = 명칭 | | 주제 = 명칭 | ||
| 처음언어 = {{국기그림|구오}} [[사삼오일]] | | 처음언어 = {{국기그림|구오}} [[사삼오일]] | ||
| 처음언어_내용 = | | 처음언어_내용 = | ||
| 바샨니어 = | | 바샨니어 = Esa Keshaachishiy<ref>이전 시대의 구오어</ref> | ||
| 사삼오일 = ϙ<ref>[쿠온투]라고 읽는다.</ref> | |||
| 사삼오일 = ϙ | | 이렘나어 = i'Leni sk'Helevra re'Heshiy<ref>과거 초월기계의 언어</ref> | ||
| 이렘나어 = i'Leni sk'Helevra re'Heshiy | | 자소크어 = J'Y, Spika di'Y[[분류:자소크어가 포함된 문서]] | ||
| 자소크어 = J Y, Spika | | 크리상치아어 = | ||
| | | 엘레르디어 = Lata Endelpriþyl<ref>흘러간 오팔투의 말</ref>, Ipriþyl<ref>어 기계언어</ref> | ||
| 트라벨레메 = | | 트라벨레메 = | ||
| 헤이어 = | | 퍈프소븜 = fjan opaltu z ufsovm ufsovm<ref>복잡하고 복잡한 오팔투의 언어</ref>, | ||
| 헤이어 = O, Obuju, To, Tobuju{{표준|국내}}<br>O, Obudzu, To, Tobudzu{{표준|국제}} | |||
| 화칸어 = Q, Fakaaq | |||
| 한국어 = 어, 어어 | | 한국어 = 어, 어어 | ||
| 영어 = To, To Language | | 영어 = To, To Language |
2024년 6월 25일 (화) 19:13 기준 최신판
+ |
구오 · 오팔투 · 사삼오일 | ||||||||||||||||||||||||||||||||||||||||||||||||||||||||||||||||||||||||||||||||||||||||||||||
외교 · 역사 · 지리 및 행정구역 · 군사 · 참기름 · 어 · 틀 | ||||||||||||||||||||||||||||||||||||||||||||||||||||||||||||||||||||||||||||||||||||||||||||||
| ||||||||||||||||||||||||||||||||||||||||||||||||||||||||||||||||||||||||||||||||||||||||||||||
어(영어: To) 또는 어어(─語, 영어: To language)는 고대 구오에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언어이다. 요람에서 발견된 석판을 복원하고 연구하는 과정에서 처음 제시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이 문서 참고
형태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동일한 길이와 각도로 뻗어있는 두 선분이 발견되었고, 선분의 길이와 각도로 정보를 구분하는 종류의 문자라는 가설을 중심으로 해석이 진행되고 있다.
언어 | 명칭+ |
---|---|
![]() |
Esa Keshaachishiy[3] |
ϙ[4] | |
![]() |
Lata Endelpriþyl[5], Ipriþyl[6] |
![]() |
i'Leni sk'Helevra re'Heshiy[7] |
J'Y, Spika di'Y | |
fjan opaltu z ufsovm ufsovm[8], | |
O, Obuju, To, Tobuju(국내표준) O, Obudzu, To, Tobudzu(국제표준) | |
![]() |
Q, Fakaaq |
![]() |
어, 어어 |
![]() |
To, To Language |
dj, djdj | |
jt, jtjt |
도보게
각주
- ↑ [§ -] 전술 개체명. [- †] 사망한 개체명. [- ?] 미확인 개체명.
- ↑ 2.0 2.1
북오센 과남오센 으로 나뉘며, 수도인구이치 오센 은 그 경계선의 중간 지점에 위치한다. - ↑ 이전 시대의 구오어
- ↑ [쿠온투]라고 읽는다.
- ↑ 흘러간 오팔투의 말
- ↑ 어 기계언어
- ↑ 과거 초월기계의 언어
- ↑ 복잡하고 복잡한 오팔투의 언어
- ↑ 2025년 4월 24일 08시 38분 32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 디스코드 서버에는 차단된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나 들어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