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스카테/작명법: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셰스카테]]의 이름 문화에 대해 서술한 문서이다.
{{셰스카테 문화}}


== 특징 ==
== 개요 ==
[[셰스카테]]의 작명법에 대해 서술한 문서이다. [[셰스카테인]]의 보편적인 이름은 성 + 중명 + 명 형식으로 이루어진다.


보통 ()은 풀르어에서 따오며, 가끔씩은 파인어나 자소크어에서 따오기도 한다.
* 성(性): 부모의 성 중 양자택일하나, 보통 [[셰스카테]]에선 아버지의 성을 따른다.
* 중명(中名): 부모의 중명을 합쳐서 짓는다. 모계명 두음+모음+부계명 말음의 형식을 가지며, 모음은 아래 규칙에 따라 결정된다.


== 이름을 짓는 형식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 || -a || -e || -i || -o || -u || -y
|-
! a-
| á || e || a || o || y || rowspan="5" | y
|-
! e-
| a || e, é<ref>보통 e를 더 많이 쓴다</ref> || e || o || ü
|-
! i-
| a || i || í || o || u
|-
! o-
| a || ö || y || ó || u
|-
! u-
| a || ö || i ||  ö || ú
|-
! y-
| colspan="5" | y || ý
|}


[[셰스카테]]의 이름 형식은 다음과 같다:
* 명(名): 이름은 원하는대로 지으면 된다. 다만 보통은 [[풀르어]]로 짓고, 가끔씩은 [[파인어]]나 [[자소크어]]를 사용한다.


=== 성(性) ===
== 도보게 ==
 
== 각주 ==
성은 부모님의 성을 따른다.
 
보통 셰스카테에선 아버지의 성을 따른다.
 
 
예를 들어 아버지와 어머니의 성이 각각 Jul, Hal이면 둘 중에 하나를 골라 지으면 된다는 것이다
 
=== 중명(中名) ===
 
중명은 아버지와 어머니의 중명을 합쳐 만든다.
 
첫 자음은 어머니의 중명에서, 중간 모음은 규칙에 따라 만들고, 마지막 자음은 아버지의 중명에서 따온다.
 
따라서 미들 네임의 모습은 (어머니의 중명 첫글자) + (모음 규칙) + (아버지의 중명 마지막 글자)가 되는 것이다.
 
 
=== 중간 모음 규칙 ===
 
중간 모음 규칙은 다음과 같다:
 
==== a ====
 
a + a = á
 
a + e = e
 
a + i = a
 
a + o = o
 
a + u = y
 
==== e ====
 
e + a = a
 
e + e = é
 
e + i = i
 
e + o = o
 
e + u = ü
 
==== i ====
 
i + a = a
 
i + e = i
 
i + i = í
 
i + o = o
 
i + u = u
 
==== o ====
 
o + a = a
 
o + e = ö
 
o + i = y
 
o + o = ó
 
o + u = u
 
==== u ====
 
u + a = a
 
u + e = ö
 
u + i = i
 
u + o = ö
 
u + u = ú
 
==== y ====
 
y + y를 제외한 모음 = y
y + y = ý
 
=== 명(名) ===
 
이름은 원하는 대로 지으면 된다.

2023년 10월 23일 (월) 22:02 기준 최신판

+셰스카테 다이아몬드 투명배경.png
Ilad comsen gá comkreittropim Meras
셰스카테 · 셰스카테어풀르어 · 쿠므사테흐줌사테 
지리 · 국기 · 교육 · 군사 · 국제관계 · 문화
[ 관련 틀 ]

개요

셰스카테의 작명법에 대해 서술한 문서이다. 셰스카테인의 보편적인 이름은 성 + 중명 + 명 형식으로 이루어진다.

  • 성(性): 부모의 성 중 양자택일하나, 보통 셰스카테에선 아버지의 성을 따른다.
  • 중명(中名): 부모의 중명을 합쳐서 짓는다. 모계명 두음+모음+부계명 말음의 형식을 가지며, 모음은 아래 규칙에 따라 결정된다.
-a -e -i -o -u -y
a- á e a o y y
e- a e, é[2] e o ü
i- a i í o u
o- a ö y ó u
u- a ö i ö ú
y- y ý

도보게

각주

  1. 올리뵈, 키미아, 루에나데스, 리브렌스카
  2. 보통 e를 더 많이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