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상위 문서|사트/언어}} {{사트}} == 개요 == 사트의 언어들은 몹시 다양한 문자 체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메타계의 기여자들은 표기의 편의를 위해 주로 라틴 문자를 즐겨 사용하고 있으며, 그 결과 같은 문자의 경우에도 언어 별로 다른 음가를 지니게 된 탓에 상당히 복잡하게 되었다. 따라서 해당 문서에서는 각 언어 별 로마자 표기법을 간략히...) |
(→자소크어족) |
||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2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사트/언어|사트의 언어들]]은 몹시 다양한 문자 체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메타계의 기여자들은 표기의 편의를 위해 주로 [[라틴 문자]]를 즐겨 사용하고 있으며, 그 결과 같은 문자의 경우에도 언어 별로 다른 음가를 지니게 된 탓에 상당히 복잡하게 되었다. | [[사트/언어|사트의 언어들]]은 몹시 다양한 문자 체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메타계의 기여자들은 표기의 편의를 위해 주로 [[라틴 문자]]를 즐겨 사용하고 있으며, 그 결과 같은 문자의 경우에도 언어 별로 다른 음가를 지니게 된 탓에 상당히 복잡하게 되었다. | ||
따라서 해당 문서에서는 각 언어 별 로마자 표기법을 간략히 정리한 표를 제공한 후, 동일한 예문 즉 | 따라서 해당 문서에서는 각 언어 별 로마자 표기법을 간략히 정리한 표를 제공한 후, 동일한 예문 즉 한국어 팬그램을 전사하여 서로 비교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순서는 가나다순이다. | ||
== 표 양식 == | == 표 양식 == | ||
추가하고 싶으신 분은 아래 내용을 복사하세요. | 추가하고 싶으신 분은 아래 내용을 복사하세요. | ||
{| | <pre>=== {{국기그림|}} [[]] === | ||
{{인용문|{{rb|키스의|}} {{rb|고유|}} {{rb|조건은|}} {{rb|입술끼리|}} {{rb|만나야|}} {{rb|하고|}} {{rb|특별한|}} {{rb|기술은|}} {{rb|필요치|}} {{rb|않다.|}}|[[]]}}</pre> | |||
| | |||
== 미분류 == | |||
| | === {{국기그림|뤼미에르 공화국}} [[뤼미에르어]] === | ||
| |||||||||||||||||||||||| | {{인용문|{{rb|키스의|kiseui}} {{rb|고유|gou}} {{rb|조건은|jokenen}} {{rb|입술끼리|yipsulkiri}} {{rb|만나야|mannaya}} {{rb|하고|hago}} {{rb|특별한|tukbyeolhan}} {{rb|기술은|gisulen}} {{rb|필요치|pilyochi}} {{rb|않다.|anda.}}|[[뤼미에르어]]}} | ||
| | |||
== [[갑인어족]] == | |||
| | === {{국기그림|앙둔 제국}} [[헤이어]] === | ||
| |||||||||||||||||||||||| | {{인용문|{{rb|키스의|Qrisrvi}} {{rb|고유|gozu}} {{rb|조건은|jokrvnvn}} {{rb|입술끼리|ipsrulkriri}} {{rb|만나야|mannaza}} {{rb|하고|xago}} {{rb|특별한|yvkpivlhan}} {{rb|기술은|gisrurvn}} {{rb|필요치|firioci}} {{rb|않다.|anya.}}|[[헤이어]] 국내표준}} | ||
| | |||
{{인용문|{{rb|키스의|Hkiseoi}} {{rb|고유|goyu}} {{rb|조건은|dzokeoneon}} {{rb|입술끼리|ipsulkiri}} {{rb|만나야|mannaya}} {{rb|하고|khago}} {{rb|특별한|theockpyeolhan}} {{rb|기술은|gisureon}} {{rb|필요치|phiryotsi}} {{rb|않다.|antha.}}|[[헤이어]] 국제표준}} | |||
| | |||
| | == [[동레니스카제어]] == | ||
| | === {{국기그림|아사}} [[아사어]] === | ||
|} | {{인용문|{{rb|키스의|九三又}} {{rb|고유|戶已}} {{rb|조건은|夕下乃}} {{rb|입술끼리|已三九女}} {{rb|만나야|木乃已}} {{rb|하고|一戶}} {{rb|특별한|刀八女}} {{rb|기술은|十三女}} {{rb|필요치|八二丁}} {{rb|않다|乃刀}}.|[[아사어]] [[고줏굴]]}} | ||
{{인용문|{{rb|키스의|CSŖ}} {{rb|고유|ĢY}} {{rb|조건은|ZGN}} {{rb|입술끼리|YSCŇ}} {{rb|만나야|MNY}} {{rb|하고|QĢ}} {{rb|특별한|TPŇ}} {{rb|기술은|JSŇ}} {{rb|필요치|PŇŤ}} {{rb|않다|NT}}.|[[아사어]] [[라틴 문자]]}} | |||
== [[디에우스어족]] == | |||
=== {{국기그림|주아트리아 산업단지}} [[우이뇨르데괴자욤어]] === | |||
{{인용문|{{rb|키스의|Khesy}} {{rb|고유|ghoyu}} {{rb|조건은|jhokanan}} {{rb|입술끼리|yipsulkiri}} {{rb|만나야|mannaya}} {{rb|하고|hago}} {{rb|특별한|thakpyalhan}} {{rb|기술은|ghisuran}} {{rb|필요치|phiryochi}} {{rb|않다.|antha.}}|[[우이뇨르데괴자욤어]]}} | |||
=== {{국기그림|주노데}} [[주노데어]] === | |||
{{인용문|{{rb|키스의|Khesy}} {{rb|고유|ghoyu}} {{rb|조건은|jhokanan}} {{rb|입술끼리|yipsulkiri}} {{rb|만나야|mannaya}} {{rb|하고|hago}} {{rb|특별한|thakpyalhan}} {{rb|기술은|ghisuran}} {{rb|필요치|phiryochi}} {{rb|않다.|antha.}}|[[주노데어]]}} | |||
== [[메데마어족]] == | |||
=== {{국기그림|미세자리아 연합}} [[뎅구르어]] === | |||
{{인용문|{{rb|키스의|Kiśuui}} {{rb|고유|goyů}} {{rb|조건은|jogonun}} {{rb|입술끼리|yipsůlkiri}} {{rb|만나야|mannaya}} {{rb|하고|hago}} {{rb|특별한|tupyåran}} {{rb|기술은|gisůrun}} {{rb|필요치|piryoći}} {{rb|않다.|antha.}}|[[뎅구르어]]}} | |||
=== {{국기그림|바란}} [[바란어]] === | |||
{{인용문|{{rb|키스의|Kiesauier}} {{rb|고유|kojur}} {{rb|조건은|zogonaune}} {{rb|입술끼리|jiefßulkierier}} {{rb|만나야|mannajar}} {{rb|하고|hagor}} {{rb|특별한|taupjorane}} {{rb|기술은|kiesuraune}} {{rb|필요치|pirjotsch}} {{rb|않다.|anthar.}}|[[바란어]]}} | |||
== [[무디두기어족]] == | |||
=== {{국기그림|디누단마}} [[무디두기]] === | |||
{{인용문|{{rb|키스의|kisui}} {{rb|고유|kuiu}} {{rb|조건은|sukunun}} {{rb|입술끼리|imusunukini}} {{rb|만나야|mannaia}} {{rb|하고|aku}} {{rb|특별한|tukumiunuan}} {{rb|기술은|kisunun}} {{rb|필요치|miniutusi}} {{rb|않다.|anta}}|[[무디두기]]}} | |||
=== {{국기그림|디누단마}} [[퍈프소븜]] === | |||
{{인용문|{{rb|키스의|kis'ui}} {{rb|고유|koju}} {{rb|조건은|tsogonun}} {{rb|입술끼리|ipsulkiri}} {{rb|만나야|mannaja}} {{rb|하고|xago}} {{rb|특별한|tkbjolxan}} {{rb|기술은|kisulun}} {{rb|필요치|piljotsi}} {{rb|않다.|anta}}|[[퍈프소븜]]}} | |||
=== {{국기그림|드락사예 신국}} [[프소븜어#현대 드락사예 퍈프소븜|현대 드락사예 퍈프소븜]] === | |||
{{인용문|{{rb|키스의|kis'ui}} {{rb|고유|koiu}} {{rb|조건은|tsogonun}} {{rb|입술끼리|ipsulkiri}} {{rb|만나야|mannaia}} {{rb|하고|ʔago}} {{rb|특별한|tkbiolʔan}} {{rb|기술은|kisurun}} {{rb|필요치|piriotsi}} {{rb|않다.|anta}}|[[프소븜어#현대 드락사예 퍈프소븜|현대 드락사예 퍈프소븜]]}} | |||
== [[은어족]] == | |||
=== {{국기그림|은 장성연맹}} [[화칸어]] === | |||
{{인용문|{{rb|키스의|Kisshi}} {{rb|고유|goyu}} {{rb|조건은|jokonun}} {{rb|입술끼리|yipsulkiri}} {{rb|만나야|mannaya}} {{rb|하고|xago}} {{rb|특별한|tukpyolhan}} {{rb|기술은|gisurun}} {{rb|필요치|piryoci}} {{rb|않다.|anta.}}|[[화칸어]]}} | |||
== [[자소크어족]] == | |||
=== {{국기그림|무르무르섬}} [[무르무르어]] === | |||
{{인용문|{{rb|키스의|Cíthai}} {{rb|고유|góghu}} {{rb|조건은|dhogánan}} {{rb|입술끼리|ipthúncinhi}} {{rb|만나야|mannágha}} {{rb|하고|chágo}} {{rb|특별한|tacphánhan}} {{rb|기술은|githúnhan}} {{rb|필요치|pinhóci}} {{rb|않다.|anta.}}|[[자소크어]]}} | |||
=== {{국기그림|시메타시스}} [[시메타시스어]] === | |||
{{인용문|{{rb|키스의|Kisiie}} {{rb|고유|Goue}} {{rb|조건은|Zoegunin}} {{rb|입술끼리|Ibsulkirie}} {{rb|만나야|mannaae}} {{rb|하고|hago}} {{rb|특별한|ticbueran}} {{rb|기술은|Gisurin}} {{rb|필요치|piroechie}} {{rb|않다.|anta.}}|[[자소크어]]}} | |||
=== {{국기그림|자소크 철학단}} [[자소크어]] === | |||
{{인용문|{{rb|키스의|kisiïe}} {{rb|고유|goü}} {{rb|조건은|zögynin}} {{rb|입술끼리|ivsulkirie}} {{rb|만나야|mannaä}} {{rb|하고|hago}} {{rb|특별한|tiquvÿran}} {{rb|기술은|gisurin}} {{rb|필요치|piröcie}} {{rb|않다.|anta.}}|[[자소크어]]}} | |||
== [[한카엔지어족]] == | |||
=== {{국기그림|흉내이리}} [[람페어]] === | |||
{{인용문|{{rb|키스의|ᨀᨗᨔᨛᨕᨗ}} {{rb|고유|ᨁᨚᨐᨘ}} {{rb|조건은|ᨍᨚᨁᨛᨊᨛ}} {{rb|입술끼리|ᨐᨗᨔᨘᨀᨗᨒᨗ}} {{rb|만나야|ᨆᨊᨐ}} {{rb|하고|ᨖᨁᨚ}} {{rb|특별한|ᨈᨛᨄᨛᨒ}} {{rb|기술은|ᨁᨗᨔᨘᨒᨛ}} {{rb|필요치|ᨄᨗᨒᨚᨌᨗ}} {{rb|않다.|ᨕᨊᨈ᨟}}|[[람페어]] [[람페 문자]]}} | |||
{{인용문|{{rb|키스의|Kisyqi}} {{rb|고유|goju}} {{rb|조건은|zogyny}} {{rb|입술끼리|jisukili}} {{rb|만나야|manaja}} {{rb|하고|hago}} {{rb|특별한|typyla}} {{rb|기술은|gisuly}} {{rb|필요치|piloci}} {{rb|않다.|qanata.}}|[[람페어]] [[라틴 문자]]}} | |||
=== {{국기그림|목토인}} [[목토어]] === | |||
{{인용문|{{rb|키스의|kisyyi}} {{rb|고유|koru}} {{rb|조건은|tsokynyn}} {{rb|입술끼리|qipsulkiri}} {{rb|만나야|hmannara}} {{rb|하고|qago}} {{rb|특별한|tykpryhlan}} {{rb|기술은|kisuhryn}} {{rb|필요치|pihrotsi}} {{rb|않다.|qanta.}}|[[목토어]]}} | |||
== 고립어 == | |||
=== {{국기그림|가베 제국}} [[가베어]] === | |||
{{인용문|{{rb|키스의|ksɰ|kisɰe}} {{rb|고유|gj|goju}} {{rb|조건은|zknn|zokʌnɯn}} {{rb|입술끼리|jpslkr|jipsulkiri}} {{rb|만나야|mnj}} {{rb|하고|hg}} {{rb|특별한|tqbjrhn}} {{rb|기술은|gsln}} {{rb|필요치|prz}} {{rb|않다.|ʔnt}}|[[가베어]]}} | |||
== 도보게 == | == 도보게 == | ||
* [[한글 표기법]] | |||
== 각주 == | == 각주 == |
2022년 11월 11일 (금) 14:22 기준 최신판
상위 문서 : 사트/언어
개요
사트의 언어들은 몹시 다양한 문자 체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메타계의 기여자들은 표기의 편의를 위해 주로 라틴 문자를 즐겨 사용하고 있으며, 그 결과 같은 문자의 경우에도 언어 별로 다른 음가를 지니게 된 탓에 상당히 복잡하게 되었다.
따라서 해당 문서에서는 각 언어 별 로마자 표기법을 간략히 정리한 표를 제공한 후, 동일한 예문 즉 한국어 팬그램을 전사하여 서로 비교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순서는 가나다순이다.
표 양식
추가하고 싶으신 분은 아래 내용을 복사하세요.
=== {{국기그림|}} [[]] === {{인용문|{{rb|키스의|}} {{rb|고유|}} {{rb|조건은|}} {{rb|입술끼리|}} {{rb|만나야|}} {{rb|하고|}} {{rb|특별한|}} {{rb|기술은|}} {{rb|필요치|}} {{rb|않다.|}}|[[]]}}
미분류
뤼미에르어
“
키스의 고유 조건은 입술끼리 만나야 하고 특별한 기술은 필요치 않다. ” — 뤼미에르어
갑인어족
헤이어
“
키스의 고유 조건은 입술끼리 만나야 하고 특별한 기술은 필요치 않다. ” — 헤이어 국내표준
“
키스의 고유 조건은 입술끼리 만나야 하고 특별한 기술은 필요치 않다. ” — 헤이어 국제표준
동레니스카제어
아사어
“
키스의 고유 조건은 입술끼리 만나야 하고 특별한 기술은 필요치 않다 .”
“
키스의 고유 조건은 입술끼리 만나야 하고 특별한 기술은 필요치 않다 .”
디에우스어족
우이뇨르데괴자욤어
“
키스의 고유 조건은 입술끼리 만나야 하고 특별한 기술은 필요치 않다. ”
주노데어
“
키스의 고유 조건은 입술끼리 만나야 하고 특별한 기술은 필요치 않다. ” — 주노데어
메데마어족
뎅구르어
“
키스의 고유 조건은 입술끼리 만나야 하고 특별한 기술은 필요치 않다. ” — 뎅구르어
바란어
“
키스의 고유 조건은 입술끼리 만나야 하고 특별한 기술은 필요치 않다. ” — 바란어
무디두기어족
무디두기
“
키스의 고유 조건은 입술끼리 만나야 하고 특별한 기술은 필요치 않다. ” — 무디두기
퍈프소븜
“
키스의 고유 조건은 입술끼리 만나야 하고 특별한 기술은 필요치 않다. ” — 퍈프소븜
현대 드락사예 퍈프소븜
“
키스의 고유 조건은 입술끼리 만나야 하고 특별한 기술은 필요치 않다. ”
은어족
화칸어
“
키스의 고유 조건은 입술끼리 만나야 하고 특별한 기술은 필요치 않다. ” — 화칸어
자소크어족
무르무르어
“
키스의 고유 조건은 입술끼리 만나야 하고 특별한 기술은 필요치 않다. ” — 자소크어
시메타시스어
“
키스의 고유 조건은 입술끼리 만나야 하고 특별한 기술은 필요치 않다. ” — 자소크어
자소크어
“
키스의 고유 조건은 입술끼리 만나야 하고 특별한 기술은 필요치 않다. ” — 자소크어
한카엔지어족
람페어
“
키스의 고유 조건은 입술끼리 만나야 하고 특별한 기술은 필요치 않다. ”
“
키스의 고유 조건은 입술끼리 만나야 하고 특별한 기술은 필요치 않다. ”
목토어
“
키스의 고유 조건은 입술끼리 만나야 하고 특별한 기술은 필요치 않다. ” — 목토어
고립어
가베어
“
키스의 고유 조건은 입술끼리 만나야 하고 특별한 기술은 필요치 않다. ” — 가베어
도보게
각주
- ↑ 2025년 5월 24일 15시 49분 34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 디스코드 서버에는 차단된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나 들어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