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 |
(→문자) |
||
17번째 줄: | 17번째 줄: | ||
==음운== | ==음운== | ||
==문자== | ==문자== | ||
피페레어의 문자는 역사적으로 2개가 있는데, 현재 사용하는 제라시아 문자와 과거 사용하였던 로스니아 문자가 있다. 현재는 제라시아 문자가 절대적으로 더욱 많이 통용되는 편이다. | |||
===제라시아 문자===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
|+ 제라시아 문자 | |+ 제라시아 문자 | ||
70번째 줄: | 72번째 줄: | ||
|} | |} | ||
===로스니아 문자=== | ===로스니아 문자=== | ||
2022년 9월 28일 (수) 16:57 판
+ | ||||
피니투라-페투치아-레조넌스 제국 𝐓𝐚𝐢𝐧𝐚𝐭𝐢𝐨 𝐝𝐢𝐞 𝐏𝐢𝐧𝐢𝐭𝐮𝐫𝐚-𝐏𝐞𝐭𝐮𝐜𝐢𝐚-𝐑𝐞𝐳𝐨𝐧𝐲𝐧𝐬 | ||||
[ 펼치기 · 접기 ] |
개요
피페레어(피페레어:Pipere lenia)는 주로 피피레 제국에서 사용하는 아트리아 문화권의 콰미드 문화에 속하는 언어이다. 화자는 약 8천만명이 넘으며 제2 외국어까지 합치면 약 1억명 정도의 화자가 존재한다. 피페레 제국의 공용어이기도 하다.
주로 페투치아 방언에 그 기반을 두고 있으며, 로토시아에서 쓰던 말씨를 기반으로 페투치아에서 공용어로 지정되었고, 지금에 와선 피페레 제국 전역에서, 해외에 거주하는 재외국민 또한 사용한다. 제2 외국어로 피페레어를 선호하는 국가는 한카 교회국이 있다. 문자로는 현실의 그리스 문자가 [1] 베이스인 제라시아 문자이다. 과거엔 좀 더 원시적 형태의 고전문자인 로스니아 문자도 사용하였다.
역사적 기원을 따지자면 약 4000년 전인 니케르 문화에서 그 기원을 보고 있으며 후 혼란시대라 불리는 자소크력 제2천년기 시대까지 원형이 유지되며 이어져 오다가, 당시의 평화시대가 깨지고 혼란의 시대로 접어들며 언어의 극적 변화가 이루어졌고 문명시대에 들어서며 현재 사용하는 언어의 직계라 여겨지는 로스니아 문자를 사용하는 초기 로토시아 방언이 등장하였다.
역사
- 니케르 문화 방언: 피페레의 최초 역사라 여겨지는 니케르 강 유역의 문명에서 발생한 언어로, 자세한 내용이 전해지진 않지만 최초의 피페레어의 조상 정도로 여겨지고 있다. 콰미드 문화에서 등장하는 최초의 문명이며 오래된 어휘들의 기원이 되기도 한다.
- 고대 시트리나 유역 방언: 니케르 천에서 북상해 시트리나 강에 정착한 이들이 사용한 언어로, 지금의 피페레어의 직계조상이 되는 언어이다. 시트리나 강의 초기 공동체들이 사용하던 언어로 가지각색의 문자는 원시적 형태의 로스니아 문자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통일된 형태가 아닌 원시적 언어이다.
- 중세 시트리나 유역 방언: 최초로 통일된 언어로서 여겨지며, 당시 시트리나 강 유역에 존재하던 모든 도시국가들이 사용하던 언어이다. 공식적인 문서기록은 모두 어느정도 통일된 양식의 언어로 적혀지며 고전 로토시아 방언 초기까지 이어지던 로스니아 문자의 완성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평화가 깨지고 후 혼란시대에 접어들며 상업활동이 줄어들자 권위를 잃게된다.
- 고전 로토시아 방언: 고전 로토시아 방언은 로토시아에서 사용하던 방언이다. 당시 로토시아는 다른 여타 도시들과 같은 도시였으나 시띵의 등장으로 인해 로토시아 도시 자체의 권위가 상승하며 언어의 위치도 격상되었고 여러 분산되어있던 도시들과 교류가 생기며 큰 변화를 겪는다. 이때 로스니아 문자는 확장되어 조금 다른 어휘를 표현하기 위해 글자 위에 점이나 작은 선을 긋는 등의 언어적 풍성함이 이루어졌다. 이때 변화는 지금의 화자와 이때의 화자가 간단한 인사까지 나눌 수 있을정도로 비슷해졌었다.
- 중세 로토시아 방언: 당시 로토시아는 제국 선포 이후, 가장 발전한 도시이자 중심도시가 되었고 이때부터 제라시아 문자를 사용하게 되며 지금의 언어의 기본을 갖추었다. 지금의 화자와 대화가 가능할 정도이며, 중세 로토시아 방언은 거의 완전히 통일 피페레어로 계승된다.
- 통일 피페레어: 통일 피페레어는 현재 사용하는 언어로, 중세 로토시아 방언을 계승하여 생긴 지금의 문자이다. 제라시아 문자를 사용하며 약 4000여년에 달하는 역사를 지니게 된 언어이기도 하다.
지위
음운
문자
피페레어의 문자는 역사적으로 2개가 있는데, 현재 사용하는 제라시아 문자와 과거 사용하였던 로스니아 문자가 있다. 현재는 제라시아 문자가 절대적으로 더욱 많이 통용되는 편이다.
제라시아 문자
대문자 | 소문자 | 이름 | 발음 | 로마자 표기 |
---|---|---|---|---|
Α | α | 알파 αλπη |
[a] | A,a |
Β | β | 베타 βετα |
[b] | B,a |
Ψ | ψ | 크시 ψσι |
[c] | C,c |
Δ | δ | 델타 δελτα |
[d] | D,d |
Ε | ε | 엡실론 επσιλον |
[e] | E,e |
Φ | φ | 피사 φισα |
[f] | F,f |
Γ | γ | 감마 γαμμα |
[g] | G,g |
Η | η | 헤트 ηατε |
[haː] | H,h |
Ι | ι | 요타 ιοτα |
[i] | I,i |
Κ | κ | 카파 καππα |
[k] | K,k |
Λ | λ | 람다 λαμδα |
[l] | L,l |
Μ | μ | 무아 μυα |
[m] | M,m |
Ν | ν | 누아 νυα |
[n] | N,n |
Ο | ο | 오인 οιν |
[o] | O,o |
Π | π | 페시 πασι |
[p] | P,p |
Ϙ | ϟ | 쿼파 ϟυππα |
[q] | Q,q |
Ρ | ρ | 로아 ροα |
[r] | R,r |
Σ | σ | 싱마 σινγμα |
[s] | S,s |
Τ | τ | 타우 ταυ |
[t] | T,t |
Ѵ | ѵ | 베카 ѵεκα |
[v] | V,v |
Υ | υ | 웁실론 υπσιλον |
[u] | U,u |
Ω | ω | 지메가 ωμεγα |
[ziː] | Z,z |
⳼ | 소메톨 σομετολ |
없음 | - |
로스니아 문자
- ↑ 한개의 글자 말곤 모두 그리스 문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