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104번째 줄: 104번째 줄:
|<small>[ɳ̊]</small><br><small>⟨rnh⟩</small>
|<small>[ɳ̊]</small><br><small>⟨rnh⟩</small>
|<small>[ɳ]</small><br><small>⟨rn⟩</small>
|<small>[ɳ]</small><br><small>⟨rn⟩</small>
|<small>[ȵ̊]</small><br><small>⟨njh⟩</small>
|<small>[ȵ̊]</small><br><small>⟨nc⟩</small>
|<small>[ȵ]</small><br><small>⟨nj⟩</small>
|<small>[ȵ]</small><br><small>⟨nj⟩</small>
|<small>[ɲ̊]</small><br><small>⟨gnh⟩</small>
|<small>[ɲ̊]</small><br><small>⟨gnh⟩</small>

2022년 6월 10일 (금) 18:11 판

사트.svg 상위 문서 : 은 장성연맹

+ 쁘깐어
Fkan (IPA: fkan)
사용 국가 은 장성연맹 은 장성연맹
사용 지역 티카 전역
사용 민족 쁘메뿍뜬
언어 인구 651,673명(4700년)
어순 OVS
언어 계통 티카어족
 슈야누어파
  북슈야누어군
   쁘깐어
초기형태 원시 티카조어
사전 [ 쁘깐어_사전]
공용어 및 표준
공용어로
쓰는 나라
은 장성연맹 은 장성연맹
표기문자 쁨른 문자, 라틴 문자

개요

쁘깐어(쁘깐어: Fkan)은 장성연맹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 은 장성연맹의 국어이자 공용어이고, 티카 군도 쁘메뿍뜬들의 통용어이다. 티카어족에 속하는 포합어이며, 기본 어순은 OVS이다. 원래 이름은 티카어족 방언연속체의 중간 지점에 해당하여 공용어가 될 수 있었다. 쁘깐어 어휘는 다음 링크를 참조하기 바란다. [1] (비었음)

명칭

명칭
은 장성연맹
쁘깐어
Fkan
앙둔 제국
헤이어
Fkran, Vnbuju
대한민국
한국어
쁘깐어
영국
영어
Fkan language
안드로
안드로어
QmRksdj
메다
메다어
;;gkkfsjt

역사

음운

자음
양순 순치 치경 후치경 권설 치경구개 연구개 경구개 구개수 인두 후두개 성문
[m̥]
⟨mh⟩
[m]
⟨m⟩
[ɱ̊]
⟨mk⟩
[ɱ]
⟨mg⟩
[n̪̊]
⟨nnh⟩
[n̪]
⟨nn⟩
[n̥]
⟨nh⟩
[n]
⟨n⟩
[n̠̊]
⟨lnh⟩
[n̠]
⟨ln⟩
[ɳ̊]
⟨rnh⟩
[ɳ]
⟨rn⟩
[ȵ̊]
⟨nc⟩
[ȵ]
⟨nj⟩
[ɲ̊]
⟨gnh⟩
[ɲ]
⟨gn⟩
[ŋ̊]
⟨nk⟩
[ŋ]
⟨ng⟩
[ɴ̥]
⟨nq⟩
[ɴ]
⟨nx⟩
파열 [p]
⟨p⟩
[b]
⟨b⟩
[p̪]
⟨mp⟩
[b̪]
⟨mb⟩
[t̪]
⟨nt⟩
[d̪]
⟨nd⟩
[t]
⟨t⟩
[d]
⟨d⟩
[t̠]
⟨lt⟩
[d̠]
⟨ld⟩
[ʈ]
⟨rt⟩
[ɖ]
⟨rd⟩
[ȶ]
⟨tj⟩
[ȡ]
⟨dj⟩
[c]
⟨kj⟩
[ɟ]
⟨gj⟩
[k]
⟨k⟩
[ɡ]
⟨g⟩
[q]
⟨q⟩
[ɢ]
⟨x⟩
[q̠]
⟨lq⟩
[ɢ̠]
⟨lx⟩
[ʡ]
⟨'⟩
[ʔ]
⟨'h⟩
파찰 [pɸ]
⟨pph⟩
[bβ]
⟨bbh⟩
[p̪f]
⟨pf⟩
[b̪v]
⟨bv⟩
[t̪θ]
⟨nth⟩
[d̪ð]
⟨ndh⟩
[t͡s]
⟨ts⟩
[d͡z]
⟨dz⟩
[t͡ʃ]
⟨tsh⟩
[d͡ʒ]
⟨dzh⟩
[ʈ͡ʂ]
⟨rts⟩
[ɖ͡ʐ]
⟨rdz⟩
[t͡ɕ]
⟨tsj⟩
[d͡ʑ]
⟨dzj⟩
[c͡ç]
⟨cch⟩
[ɟ͡ʝ]
⟨jjh⟩
[k͡x]
⟨kkh⟩
[ɡ͡ɣ]
⟨ggh⟩
[q͡χ]
⟨qqh⟩
[ɢ͡ʁ]
⟨xxh⟩
[ʔ͡h]
⟨'hh⟩
설측
파찰
[t͡ɬ]
⟨tl⟩
[d͡ɮ]
⟨dl⟩
[k͡ʟ̝̊]
⟨kl⟩
[ɡ͡ʟ̝]
⟨gl⟩
마찰 [ɸ]
⟨ph⟩
[β]
⟨bh⟩
[f]
⟨f⟩
[v]
⟨v⟩
[θ]
⟨th⟩
[ð]
⟨dh⟩
[s]
⟨s⟩
[z]
⟨z⟩
[ʃ]
⟨sh⟩
[ʒ]
⟨zh⟩
[ʂ]
⟨rs⟩
[ʐ]
⟨rz⟩
[ɕ]
⟨sj⟩
[ʑ]
⟨zj⟩
[ç]
⟨ch⟩
[ʝ]
⟨jh⟩
[x]
⟨kh⟩
[ɣ]
⟨gh⟩
[χ]
⟨qh⟩
[ʁ]
⟨xh⟩
[ħ]
⟨hw⟩
[ʕ]
⟨'w⟩
[ʜ]
⟨hr⟩
[ʢ]
⟨'r⟩
[h]
⟨hh⟩
[ɦ]
⟨h⟩
설측
마찰
[ɬ]
⟨sl⟩
[ɮ]
⟨zl⟩
[ɭ̝̊]
⟨rsl⟩
[ɭ̝]
⟨rzl⟩
[ʎ̝̊]
⟨chl⟩
[ʎ̝]
⟨jhl⟩
[ʟ̝̊]
⟨khl⟩
[ʟ̝]
⟨ghl⟩
접근 [ʋ]
⟨vw⟩
[ɹ̊]
⟨sr⟩
[ɹ]
⟨zr⟩
[ɹ̠]
⟨lzr⟩
[ɻ̊]
⟨rsr⟩
[ɻ]
⟨rzr⟩
[j]
⟨j⟩
[ɰ]
⟨wj⟩
[ʔ̰]
⟨'j⟩
설측
접근
[l̊]
⟨lh⟩
[l]
⟨l⟩
[l̠]
⟨ll⟩
[ɭ̊]
⟨rlh⟩
[ɭ]
⟨rl⟩
[ȴ]
⟨lj⟩
[ʎ]
⟨ly⟩
[ʟ]
⟨lg⟩
[ʟ̠]
⟨lx⟩
[ⱱ̟]
⟨bhr⟩
[ⱱ]
⟨vr⟩
[ɾ̪]
⟨nr⟩
[ɾ̊]
⟨rh⟩
[ɾ]
⟨r⟩
[ɾ̠]
⟨lr⟩
[ɽ̊]
⟨rrh⟩
[ɽ]
⟨rr⟩
[ɟ̆]
⟨rj⟩
[ʀ̆]
⟨rx⟩
[ʡ̮]
⟨r'⟩
설측
[ɺ]
⟨rrl⟩
[ɺ̠]
⟨lrl⟩
[ɭ̆]
⟨rll⟩
[ʎ̮]
⟨lly⟩
[ʟ̆]
⟨llg⟩
전동 [ʙ]
⟨br⟩
[ʙ̪]
⟨mbr⟩
[r̪]
⟨nrr⟩
[r̥]
⟨hrh⟩
[r]
⟨hrr⟩
[ɽ̊͡r̥]
⟨rhh⟩
[ɽ͡r]
⟨rhr⟩
[ʀ̟˖]
⟨ryh⟩
[ʀ]
⟨ry⟩
[ʜ]
⟨hr⟩
[ʢ]
⟨'r⟩
내파 [ɓ̥]
⟨pp⟩
[ɓ]
⟨bb⟩
[ɗ̥]
⟨tt⟩
[ɗ]
⟨dd⟩
[ᶑ̥]
⟨rtt⟩
[ᶑ]
⟨rdd⟩
[ʄ̊]
⟨cc⟩
[ʄ]
⟨jj⟩
[ɠ̊]
⟨kk⟩
[ɠ]
⟨gg⟩
[ʛ̥]
⟨qq⟩
[ʛ]
⟨xx⟩
흡착 [ʘ]
⟨pw⟩
[ǀ]
⟨thw⟩
[ǃ]
⟨tw⟩
[‼]
⟨rw⟩
[ǂ]
⟨cw⟩
[ʞ]
⟨kw⟩
양순
연구개
양순
경구개
양순
치경
치경
연구개
후치경
연구개
[ŋm]
⟨ngm⟩
[nm]
⟨nm⟩
파열 [kp]
⟨kp⟩
[ɡb]
⟨gb⟩
마찰 [ʍ]
⟨wh⟩
[ɧ]
⟨hc⟩
[ɧ̬]
⟨hj⟩
접근 [w]
⟨w⟩
[ɥ]
⟨yj⟩
설측
접근
[ɫ]
⟨lyl⟩
내파 [ɠ̊ɓ̥]
⟨kkp⟩
[ɠɓ]
⟨ggb⟩
모음
전설 근전설 중설 근후설 후설
[i]
⟨i⟩
[y]
⟨ui⟩
[ɨ]
⟨iy⟩
[ʉ]
⟨uy⟩
[ɯ]
⟨iu⟩
[u]
⟨u⟩
근고 [ɪ]
⟨ii⟩
[ʏ]
⟨uii⟩
[ɪ̈]
⟨iiy⟩
[ʊ̈]
⟨uuy⟩
[ɯ̽]
⟨iuu⟩
[ʊ]
⟨uu⟩
중고 [e]
⟨e⟩
[ø]
⟨oi⟩
[ɘ]
⟨ey⟩
[ɵ]
⟨oy⟩
[ɤ]
⟨io⟩
[o]
⟨o⟩
[e̞]
⟨ee⟩
[ø̞]
⟨oii⟩
[ə]
⟨y⟩
[ɤ̞]
⟨ioo⟩
[o̞]
⟨oo⟩
중저 [ɛ]
⟨ai⟩
[œ]
⟨oe⟩
[ɜ]
⟨eey⟩
[ɞ]
⟨ooy⟩
[ʌ]
⟨eoo⟩
[ɔ]
⟨eo⟩
근저 [æ]
⟨ae⟩
[ɐ]
⟨ay⟩
[a]
⟨a⟩
[ɶ]
⟨oee⟩
[ä]
⟨aa⟩
[ɑ]
⟨ea⟩
[ɒ]
⟨oa⟩

문자

쁨른 문자
자형
명칭 로마자 전사 한글 발음

문법

회화

여담

도보게

각주

  1. 2024년 6월 26일 13시 51분 44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디스코드 서버에는 차단된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나 들어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