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리토호스 타코뤼 국기 원.png+

📑기록들

🌍국가들

Rype Berh~
오늘은 2350년 4월 2일[1]입니다.

세멘티 국장.png세멘티네라크뤼스 국장.png
세멘티 공국 | 세멘티-네라크뤼스 공국 | 역사 | 지리 및 행정구역 | 문화 | 종교 | 경제 | 외교 | 종족 | 언어 | 생태와 생물군계 | 마법
밀리토호스 타코뤼 왕국 밀리토호스 타코뤼 왕국 | 아르토이트 제국 아르토이트 제국
+ 세멘티어
Ellend Sementie (IPA: elːend sementˀʰɪ)
지도 오른쪽 아래의 파란색
지도 오른쪽 아래의 파란색
사용 국가 세멘티 왕국 세멘티 왕국
사용 지역 메디아 해협지대, 펠레마 중부 해안 일부[2]
사용 민족 세멘티 왕국세멘티인
밀리토호스 타코뤼 왕국코르인
밀리토호스 타코뤼 왕국옐 퀼로인
야마토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아살리스탄 자수르만인
언어 인구 약 8,000,000명
어순 SVO
언어 계통 파랑제어족
 해협파랑어파
  네잔테어군(남부전쟁단 방언)
   해협 파랑제어
    스레니아일-세멘티어
     세멘티어
초기형태 파랑 기병대 파랑제어
언어코드 PA-SM
사전 [ 세멘티어_사전]
공용어 및 표준
공용어로
쓰는 나라
세멘티 왕국 세멘티 왕국
표기문자 파랑 문자

세멘티어의 각 언어별 명칭은 다음과 같다.

언어 명칭+
세멘티 공국 세멘티-네라크뤼스 공국 세멘티어 Ellend Sementie
바샨니 바샨니어 Seinichishiy
이렘나 철랑대 이렘나어 i'Leni sk'Shemnatiy
AR 그룹 자텐다어 Aláne 'Zementip
대한민국 한국어 세멘티어
안드로 안드로어 tpapsxldj
메다 메다어 ncics'djt

개요

세멘티어세멘티 공국세멘티-네라크뤼스 공국의 공용어이다. 같은 파랑제어족이렘나어자텐다어와의 상호소통은 불가능하며, 미코로스 아케뒤의 차용어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음운


자음 +

양순
순치
치경
후치경
경구개
연구개
성문
















⟨m⟩




n
⟨n⟩









p
⟨p[3]
b
⟨b⟩


t
⟨t[4][3]
d
⟨d⟩




k
⟨k⟩
ɡ
⟨g⟩









t͡ʃ
⟨c⟩










f
⟨f[3]
v
⟨v[3]
s
⟨s⟩

ʃ
⟨sh⟩
ʒ
⟨z⟩




h
⟨h⟩











j
⟨y⟩



설측







l
⟨l⟩












ɾ̊
⟨rh⟩
ɾ
⟨r⟩








양순연구개



w
⟨vh⟩
+ 모음


전설
근전설
중설
후설










i
⟨i⟩










ɪ
⟨i⟩
ʏ
⟨y⟩

ʊ̈
⟨u⟩



e
⟨e⟩
⟨ẽ[5]






o
⟨o/ó⟩
⟨õ[5]

a
⟨a/á⟩
⟨ã[5]






알파벳과 독음

다음 표는 세멘티어의 알파벳과 독음이다. 로마자 사용자의 이해가 편하도록 세멘티어의 순서가 아닌 로마자 순서로 배치해놓았다.

세멘티어의 알파벳과 독음
알파벳 명칭 발음기호
A a Arka /a/
Á, á Arka Shet Liãt /a/
à ã Arka Shãte /ã/
B b /b/
C c /t͡ʃ/
D d /d/
E e /e/
Ẽ ẽ /ẽ/
F f /fʰ/
G g /ɡ/
H h /h/
I i /ɪ/
K k /k/
L l /l/
M m /m̥/
N n /n/
O o /o/
Ó ó /o/
Õ õ /õ/
P p /pʰ/
R r /ɾ/
Rh rh /ɾʰ/
S s /s/
Sh Sh /ʃ/
T t /t̬ʰ/
U u /ʊ̟/
Ü ü /ʏ/
V v /vʰ/
Vh vh /w/
Y y /j/
Z z /ʒ/

세멘티어는 특정 자음과 모음의 조합으로 특이한 발음을 내는 경우가 있다.

세멘티어의 발음표
알파벳 명칭 발음기호
ülis[6] /ʏlɪʒ‿/
e[7] /ɪj‿/, /‿/[8]
ie /ɪj‿/, /‿/[9]
ile[10] /ɪj‿/
ille /ɪj‿/
s vhi /sʏ/
z vhi /ʒʏ/

지역 방언과 음운 변동

세멘티어는 사용인구가 적고 세멘티의 도시 위주로 사용자가 몰려있다는 특성에 의해 방언 격차가 거의 없었으나, 세멘티 왕국이 설립된 이후로 타 종족이 세멘티어를 공용어로 배우기 시작하면서 이질적인 방언이 발생하게 되었다.

세멘티어

표준 세멘티어

표준 세멘티어세멘티 왕관령네라크뤼스 공국의 스레니아일에서만 쓰이는 방언으로 모든 방언 중 가장 사용 지역[11]이 적다.

해안 세멘티 방언

해안 세멘티 방언은 밀리토호스 타코뤼 왕국에 거주하는 세멘티인의 방언으로 미코로스 아케뒤의 차용어가 표준어에 비해 더 많은 것이 특징이다.

세르메망 방언

세르메망 방언은 세르메망 곶에서 쓰이는 방언으로, 외래어의 차용이 거의 없는 편이다.

남토이트 방언

남토이트 방언은 남토이트 기사단에서 쓰이는 세멘티인 이민자들이 사용하는 방언으로, 문법이 간략화되고 아르토이트어 계통의 어휘들이 상당수의 어휘를 대체한 것이 특징이다.

신 세멘티 방언

신 세멘티 방언은 어족간의 구분이 아닌, 세멘티 왕국의 설립 이래 새롭게 분화된 방언들의 모임을 말한다.

특이하게도 트레페유 왕국직할도시카르니에 대공국에서는 독자적인 방언이 발달하지 않았는데, 이 지역은 자텐다인들이 인구의 상당수를 차지하게 된 지역으로 자텐다계의 우월한 상업 네트워크에 포함되어 러시져미르 자텐다어를 사용하는 지역이 되었다.

셀레드라유 방언

셀레드라유 방언은 내륙 지역에서 쓰이는 세멘티어의 방언이다. 방언 구사자의 대다수는 세멘티어를 제 2언어로 구사하는 코르인이다.

아르데마냥 방언

아르데마냥 방언은 내륙 지역에서 쓰이는 세멘티어의 방언이다. 방언 구사자의 대다수는 세멘티어를 제 2언어로 구사하는 코르인아살리스탄 자수르만인이다. 텐메이어자수르만어 계통의 어휘가 많이 섞인 것이 특징이다.

에르카 방언

아르데마냥 방언은 해안 지역에서 쓰이는 세멘티어의 방언이다. 방언 구사자의 대다수는 세멘티어를 제 1언어로 구사하는 코르인들이며, 미코로스 아케뒤의 차용어가 보통의 세멘티어 대비 매우 많아 사실상 문법 및 기초 단어만 세멘티어화 된 코르어라고 불러도 무방한 수준이다.

각주

  1. 2024년 6월 26일 13시 52분 04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남토이트 기사단이 있었던 지역 일부, 이젠 거의 쓰이지 않는다.
  3. 3.0 3.1 3.2 3.3 정확히는 [ʰ] 소리가 덧붙는 유기음이다.
  4. 정확히는 [ˀ] 소리가 덧붙는 방출음이다.
  5. 5.0 5.1 5.2 비모음
  6. 수동태를 나타내는 문법상의 경우에만
  7. 문법상의 경우에만
  8. n 또는 m이 앞에 온 경우
  9. n 또는 m이 앞에 온 경우
  10. 명사 또는 파생형 단어를 나타내는 문법상의 경우에만
  11. 사용 인구는 약 350만명으로 전체의 절반에 조금 못미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