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문서 : 터트족
![]() | |
사용 국가 | |
---|---|
사용 지역 | 아트레니스카 군도 |
사용 민족 | 디누산 |
언어 인구 | 약 600만명 |
어순 | VSO |
유형 | 고립어 |
언어 계통 | 무디두기어족 무디두기✟ 아가레피아✟ 파 팅우상✟ 프소븜어 하어 |
사전 | 하어_사전 |
공용어 및 표준 | |
공용어로 쓰는 나라 |
|
표기문자 | 없음[3] |
개요
하어는 터트족, 현대디누산들이 주로 사용하는 언어이며, 터트족의 비공식 공용어이다.
특징
무디두기어족에서 가장 복잡한 음운을 지니고 있으며, 프소븜어와 어순이 비슷하나, 전치수식이 되었다.
음운
양순 |
순치 |
치경 |
치경구개 |
경구개 |
연구개 |
구개수 |
성문 | |||||||||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
비 |
m ⟨m⟩ |
ɱ ⟨ɱ⟩ |
n ⟨n⟩ |
ŋ ⟨ŋ⟩ |
||||||||||||
파 열 |
p ⟨p⟩ |
b ⟨b⟩ |
t ⟨t, th⟩ |
d ⟨d, dh⟩ |
k ⟨k, kh⟩ |
ɡ ⟨g, gh⟩ |
||||||||||
파 찰 |
t͡s ⟨ts, tsh⟩ |
d͡z ⟨dz, dzh⟩ |
||||||||||||||
마 찰 |
ɸ ⟨pw⟩ |
β ⟨bw⟩ |
s ⟨s, sh⟩ |
z ⟨z, zh⟩ |
h ⟨h⟩ | |||||||||||
접 근 |
j ⟨j⟩ |
|||||||||||||||
설측 접 근 |
l ⟨l⟩ |
|||||||||||||||
전 동 |
ʀ ⟨r⟩ |
|||||||||||||||
양순연구개 | ||||||||||||||||
접 근 |
w ⟨w⟩ |
|
전설 |
후설 | ||
---|---|---|---|---|
|
평 |
원 |
평 |
원 |
고 |
i ⟨i⟩ |
u ⟨u⟩ | ||
중 고 |
e ⟨e⟩ |
o ⟨o⟩ | ||
중 저 |
ʌ ⟨aw⟩ |
|||
저 |
a ⟨a⟩ |
또한 장음기호인 x가 있다. 장단음에 따라 단어의 의미가 달라지기 때문에 장단음 구분도 음운으로 한다.
기식 표기가 기술력의 한계로인해 표에 표기되지는 않았다. 단, 기식의 차이가 있는 자음은 h를 넣어 표기한다. (tʰ, dʰ, t͡sʰ, d͡zʰ, kʰ, gʰ)
도보게
각주
- ↑ 2025년 2월 22일 23시 26분 44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 디스코드 서버에는 차단된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나 들어올 수 있습니다.
- ↑ 공식적으로는 없지만, 라틴문자를 사용해 표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