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라스타국기.svg
Tempran Nuit Esrastien
역사 지리 군사 정치 경제
행정 사회 외교 문화 마법
틀 수정하기

개요

에스라스타의 4670년대는 베하니아 항구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가장 항해가 활발하던 시기였다. 이에 당시 에스라스타 해양청 청장이었던 이데사야 아도르프는 왕정의회에 대에스라스타 해양정책이라는 원대한 정책을 내놓았으며, 이로부터 1년 뒤 해양정책의 첫번째 단계였던 사설탐험대가 허가됐다.

대에스라스타 해양정책 제1령 남부 해양정책

첫 발의일로부터 약 300년 만인 4905년 2월 12일, 드디어 남부 해양정책(pino-edradeskadel)이 발효되었다.

4921년 4월 13일, 탐사인원이 29명으로 역대 최대 규모의 탐험대가 베시틴구르스미네에서 출행했다. 남부 해양탐험대는 반도를 발견하였으며, 2000여명의 인력을 배치하여 도시의 기반을 다지게끔 하였다. 4936년 5월 13일, 탐험대는 귀국을 위해 에스라스타 구르스미네 항구에 도착했고, 이듬해인 4947년 3월 1일에는 발견한 반도 지역애 디메르테스 자치령이 건국되며, 제1령은 완수되었다.

대에스라스타 해양정책 제2령 북부 해양정책

첫 발의일로부터 약 330년이 지난 4926년 1월 10일 드디어 북부 해양정책(kue-edradeskadel)이 발효되었다.

4937년 5월 말, 북부 해양탐험대가 비공개 출행했으며 4947년 3월 2일에 도착했다. 이후 유포된 기밀문서에 따르면 탐사인원은 27명이고 사망자는 11명, 중상자는 9명이었다.

북부 해양탐험대는 군도를 발견했고,근처에서 발견한 국가의 군락에 외교사절단을 파견했다.

대에스라스타 해양정책 제2-1령 북부 해양재정책

제2령이 사실상 수포로 돌아가자 해양청은 기항지 없이 바로 북메디아 서부로 가기로 결정하였다.

대에스라스타 해양정책 제3령 동부 해양정책

첫 발의일로부터 약 430년이 지난 5034년 7월 9일, 동부 해양정책(rais-edradeskadel)이 발효되었다.

각주

  1. 2024년 6월 18일 04시 14분 57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디스코드 서버에는 차단된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나 들어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