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문서 : 아사
자형 | |||||||||||
---|---|---|---|---|---|---|---|---|---|---|---|
木 | 片 | 八 | 匕 | 方 | 凡 | 乃 | 斗 | 刀 | 力 | 三 | 夕 |
m | P | p | b | f | v | n | T | t | d | s | z |
女 | 尺 | 丁 | 丈 | 山 | 才 | 二 | 川 | 九 | 十 | 尸 | 已 |
ň | Ť | ť | ď | š | ž | ñ | C | c | j | ç | y |
兀 | 口 | 工 | 下 | 火 | 戶 | 午 | 曰 | 一 | 于 | 乙 | 又 |
ŋ | K | k | g | ķ | ģ | w | Q | q | r | x | h |
개요
일람
문자 | 이름 | 소리 | 문자 | 이름 | 소리 | |
---|---|---|---|---|---|---|
木 | 木 | mo̞k̚ | 片 | ɓ̥ø̞n | ||
八 | ɓ̥ɒɳ | 匕 | ɓy(ʝ) | |||
方 | ɓɒŋ | 凡 | ɓom | |||
乃 | 乃 | nø̞(ʝ) | 斗 | ɗu(β) | ||
刀 | ɗo̞(ʁ) | 力 | ɳø̞k̚ | |||
三 | sɒm | 夕 | so̞k̚ | |||
女 | 女 | ɲø̞ː | 尺 | ᶑ̥o̞k̚ | ||
丁 | ᶑ̥o̞ɴ | 丈 | ᶑɒŋ | |||
山 | sɒn | 才 | ᶑø̞(ʝ) | |||
二 | 二 | ɲy(ʝ) | 川 | ᶑ̥o̞n | ||
九 | ɠu(β) | 十 | ʂyp̚ | |||
尸 | ʂy(ʝ) | 已 | ʛy(ʝ) | |||
兀 | 兀 | ʁo̞ɳ | 口 | ɠu(ɸ) | ||
工 | ɠo̞ŋ | 下 | ʛ̥ɒ(ʁ) | |||
火 | ɸɒ(ʛ) | 戶 | χo̞(ʁ) | |||
午 | 午 | ʛo̞(ʁ) | 曰 | ʛɒɳ | ||
一 | ʝyɳ | 于 | ʛu(β) | |||
乙 | ɣuɳ | 又 | ʁu(β) |
역사
고줏굴은 신성문자 중 일부를 취해 개량한 형태인데, 속기하기 쉽도록 최대한 적은 획수의 글자들을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고줏굴을 토대로 발음을 재구해 본 결과 아사식 독음은 의외로 목토어와 유사하다는 것이 밝혀지기도 했는데, 이 때문에 아사에 신성문자가 전해진 것은 생각보다도 훨씬 이른 것으로 추측된다.
표기법
로마자
“
키스의 고유 조건은 입술끼리 만나야 하고 특별한 기술은 필요치 않다 .”
“
키스의 고유 조건은 입술끼리 만나야 하고 특별한 기술은 필요치 않다 .”
한글
도보게
각주
- ↑ 2025년 4월 28일 18시 20분 08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 디스코드 서버에는 차단된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나 들어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