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이 글은 파인어의 문법을 설명하는 글이다.
음운
양순 |
순치 |
치경 |
후치경 |
권설 |
경구개 |
연구개 | ||||||||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
비 |
m ⟨m⟩ |
n ⟨n⟩ |
ɲ ⟨ñ⟩ |
|||||||||||
파 열 |
p ⟨p⟩ |
b ⟨b⟩ |
t ⟨t⟩ |
d ⟨d⟩ |
k ⟨c⟩ |
ɡ ⟨g⟩ | ||||||||
파 찰 |
t͡s ⟨ts⟩ |
t͡ʃ ⟨tsz⟩ |
d͡ʒ ⟨dsz⟩ |
|||||||||||
마 찰 |
f ⟨f⟩ |
v ⟨v⟩ |
s ⟨s/c⟩ |
z ⟨z⟩ |
ʃ ⟨sz⟩ |
ʂ ⟨rsz⟩ |
ʐ ⟨rz⟩ |
ɣ ⟨r⟩ | ||||||
설측 마 찰 |
ɬ ⟨ll⟩ |
|||||||||||||
접 근 |
j ⟨j⟩ |
|||||||||||||
설측 접 근 |
l ⟨l⟩ |
|||||||||||||
전 동 |
r ⟨rr⟩ |
|
전설 |
후설 | ||
---|---|---|---|---|
|
평 |
원 |
평 |
원 |
고 |
i ⟨i⟩ |
y ⟨ü⟩ |
u ⟨u⟩ | |
중 고 |
e ⟨e⟩ |
ø ⟨ö⟩ |
o ⟨o⟩ | |
중 저 |
ɔ ⟨õ⟩ | |||
저 |
a ⟨a⟩ |
문법
어순
파인어는 SVO 어순의 언어이다.
조사-단어 생략 및 축약 현상
1. 단모음 조사 앞 같은 모음이 오면 (^) 로 축약한다.
Ex) Goro o cafe > Gorôcafe : 뜨거운 커피
2. 단모음 조사 뒤 같은 모음이 오면 (') 로 축약한다.
Ex) ifoso o oraoso > ifosô'raoso : 중요한 법
3. Le + a 는 L'e 로 축약한다
Ex) L'e vezonocis? : 내가 보이니?
A 동사
A 동사는 동사 + a 의 형태로 구성된 동사로, (동사 원형)[3] + A 동사 + 명사 의 형태로 사용한다.
Ex) Sios dorrer ementespenovo a gesoes.[4]
회화
- Svezolle : 안녕(하세요) - 만날 때.
- Silobe : 안녕(히가세요) - 헤어질 때.
- Üleig : 고마워,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 Leoves : 미안, 미안합니다, 죄송합니다.
각주
- ↑ 2025년 4월 7일 03시 53분 13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 디스코드 서버에는 차단된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나 들어올 수 있습니다.
- ↑ 필요한 동사와 불필요한 동사가 있음.
- ↑ 그는 잠을 자면 눈이 올 것이라 생각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