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룸의달.png+
파룸  마테소인 뤼미에르 공화국 라네쥬교  피네트어

빠른걸 빠르게 정확한걸 정확하게

 
— 아프엘의 1법칙

개요

해당 문서에선 Application Processing Language를 줄여 '아프엘'이라고 부르겠다. 아프엘은 이전 뤼미에르 공화국파룸RIMAYA에서 만들어진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뤼미에르어로 만들어진 프로그래밍 언어가 아니다. 일부 단어는 참조가 되어있지만, 대부분은 영어이다.

아프엘 명칭

아프엘은 전체 언어 이름의 이니셜 'APL'을 뤼미에르어의 발음을 기반으로 부르는 명칭이다. 사실은 실제론 언어가 가지곤 있는 정식 명칭은 없고 Application Processing Language이라고 불리던걸 여러 프로그래머들이 '아프엘'이라고 줄여부르는 것이다.

장점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 비해서 빠르고 엄청 가볍다. 프로그램의 규모가 커지더라도 빠른 처리를 보장한다. 그리고 언어가 가볍기 때문에 적은 리소스를 가지고 있는 하드웨어에선 프로그램 자체가 무겁더라도 대부분의 경우 원할한 작동이 가능하다. 이렇게 빠른 처리가 가능하고 가볍다보니 대부분의 내장 프로그램들은 아프엘로 제작된다. 이러한 것이 가능한 이유는 2진법 개념을 버리고 4진법 개념을 도입했기 때문이다.

단점

4진법을 지원하는 하드웨어이어야 한다. 물론 2진수를 사용하는 하드웨어 시스템에서도 사용은 가능하지만, 무척 빠른 성능을 보장하진 않는다. 게다가 2진법 하드웨어에서 돌아가게 만들려면 개발자가 프로그램을 '유니버셜 가이드라인'에 맞게 코드를 작성해야한다.. 또한, 언어도 되게 어려운데 디버거까지 되게 불친절하다. 진짜 그냥 버그가 있다면, 알려주는 정보라곤 버그가 난 라인만 알려준다. 사실 이 경우는 아프엘의 구조적 문제이기도하다..

유니버셜 가이드라인

전처리기에 다음과 같이 적어야한다. 다만, 이로인해 일반 4진법 하드웨어에서의 약간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으며 2진법 환경에서 완벽한 성능을 보장하지 못한다.

  • 유니버셜 진수
BAY::TYPE > COUNT > 2 / 4 >> BAY
  • 유니버셜 비트
BIT::TYPE > GET::BAY::TYPE > IF { 2 } | 32 / 64 > ELSE { 4 } | FREE >> BIT

예시

  • Hello, World 출력! [ 4진법 ]
BAY::TYPE > 4 > BAY

program start >> none <<
{

    out.freetype >> "Hello, World!" <<

}

각주

  1. 2024년 6월 26일 21시 30분 43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디스코드 서버에는 차단된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나 들어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