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피니투라-페투치아-레조넌스 제국 𝐓𝐚𝐢𝐧𝐚𝐭𝐢𝐨 𝐝𝐢𝐞 𝐏𝐢𝐧𝐢𝐭𝐮𝐫𝐚-𝐏𝐞𝐭𝐮𝐜𝐢𝐚-𝐑𝐞𝐳𝐨𝐧𝐲𝐧𝐬 | ||||
[ 펼치기 · 접기 ] |
+음율마법 Ριφα[1] |
---|
공명론 |
문서 |
음율마법 개론, 세칙론 |
4대 이론 |
공명론, 간섭론, 결련론, 가사론 |
구조론 |
실용마법, 고등마법 합창마법, 독창마법 |
경계론 |
첫번째 경계, 두번째 경계 |
기타 |
시띵교, 피페레 제국 |
|
개요
음율마법(피페레어:rifa)은 시띵교에서 말하는 세칙의 존재를 현실적으로 증명하는 수단이자, 피페레 제국에서 가장 범용적이고, 많이 통용되는 마법이기도 하다. 음율마법의 창시자는 시띵이며, 이를 현재의 마법으로서 가공한 이는 세번째 아도르카인 아르마르 3세가 노래를 통한 마법의 발현을 정리하고, 악보의 형태로 만든 이는 레조넌스의 셀렌드리아 출신인 아르간시아 셀렌드리아 파테마오스가 음율을 정립하고, 마법으로서 발동할 수 있도록 악보를 정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시띵교에서 공인은 아르마르 12세가 하였다.
음율마법은 기본적으로 발성을 통한 파동이 세상에 존재하는 세칙과 공명하여 이 공명을 통제해 마법을 발동한다. 그리하여 마법의 기본 실행조건에 해당하는 공명을 발생시키는 이론이 공명론 이며, 이 공명상태를 공명 그 자체에서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통제하는 것을 간섭론이고, 간섭을 통해 마법의 실행을 위한 기반조건을 모두 완성시키면 이것에 살을 붙여서 완성된 마법을 만드는 것이 결렬론이다. 따라서 공명상태에 간섭을 통하여 결렬을 이용해 완성된 마법을 만들면, 마법식에 해당하는 악보는 완성된 음악의 형태가 된다.
개론
음율마법은 특수한 발성을 통하여 세칙과 대응해 공명상태를 이루는 것에서 모든 마법의 근본이 된다. 여기서 시띵교#세칙은 음율마법에 의한 해석에 따라서 모든 공간과 시간선상에서 가장 절대적인 질서로서 규정되고, 세칙의 크기는 세칙은 이 세상에서 가장 큰것보다도 크고, 생각하는것 보다도 크다. 라고 규정한다. 따라서, 그 크기를 기본적으로 무한으로 상정한다. 기호로 상정할때는 "Ⲱ, κ"으로 한다. 물론 세칙이 무한한지에 대해서는 알 수 없으나, 우리가 음율마법을 사용함에 있어서 그 세칙을 모두 사용한다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무한으로 상정해도 어떠한 마법을 사용함에 있어서 문제가 없기때문에 무한으로 상정하는 것이다.
다만, 세칙은 기본적으로 "외부의 변화나 영향에 대해서 그 본질을 잃지 아니하고, 계속 보존된다." 라는 세칙의 기본 성질에 의거하여 후술될 공명이나 간섭에 의해 그 본질이 훼손되는 것은 아니다. 음율마법이 세칙과 대응할때는 의 공식에 따라서 공명 상태를 만들 수 있다.
음율마법은 다음과 같은 공명상태의 그래프를 기본으로 한다. 공명마법은 붉은 그래프 Μ과 푸른 그래프 Ⲱ이 만나 의 수식을 이루도록 하고 있으며, 두 그래프가 하나의 x축을 따르는 보라색 선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위에 나타난 그래프는 여러 공명상태 중에서도 상쇄공명상태로, 가장 기본이 되는 공명상태에 해당한다. 다음과 같은 공명상태를 통제하고 이용하고 연결하여 완성된 음악, 즉 온전한 마법을 구사하고자 있는것이 공명론, 간섭론, 결련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