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117번째 줄: 117번째 줄:
| f10 = .
| f10 = .
}}
}}
 
슬래시를 사이로 단음과 장음으로
==== y의 발음 ====
==== y의 발음 ====
y는 ji의 축약으로, 여기에서의 i는 앞 모음과 관계없이 /i/로 발음한다. ý의 경우엔 y의 장음이다.
y는 ji의 축약으로, 여기에서의 i는 앞 모음과 관계없이 /i/로 발음한다. ý의 경우엔 y의 장음이다.
==체언==
==체언==
===명사===
===명사===

2024년 2월 11일 (일) 21:57 기준 최신판

사트.svg 상위 문서 : 파셀어

음운

자음


자음 +

양순
순치
치경
후치경
경구개
연구개














m
⟨m⟩



n
⟨n⟩



ɲ
⟨ň⟩



p
⟨p⟩
b
⟨b⟩


t
⟨t⟩
d
⟨d⟩


c
⟨ť⟩
ɟ
⟨ď⟩
k
⟨k⟩
ɡ
⟨g⟩






t͡s
⟨ç⟩
d͡z
⟨c⟩
t͡ʃ
⟨çs⟩
d͡ʒ
⟨cs⟩







f
⟨f⟩
v
⟨v⟩
s
⟨sz⟩
z
⟨z⟩
ʃ
⟨s⟩
ʒ
⟨zs⟩


x
⟨h⟩











j
⟨j⟩

설측







l
⟨l⟩



ʎ
⟨ľ⟩








r
⟨r⟩






양순연구개



w
⟨ll/ř⟩

l의 발음

l은 d, t뒤에서 각각 /ɮ/, /ɬ/로 발음한다.

  • llandli /wɐndɮɨ/
  • Kietlojb /kietɬojb/

ř과 ł의 차이

ř과 ł은 발음상으론 차이가 없지만, 어원에 따라 차이가 존재한다. 이는 표기에서 드러나는 것과 같이, 각각 r과 l의 변이음이기에 발생하며, 이로 인해

모음

+ 모음


전설
중설
후설








i
⟨i / í⟩
y
⟨ü / ű⟩
ɨ
⟨i / í⟩


u
⟨u / ú⟩


e
⟨e / é⟩
ø
⟨ö / ő⟩



o
⟨o / ó⟩




ɐ
⟨a / á⟩

슬래시를 사이로 단음과 장음으로

y의 발음

y는 ji의 축약으로, 여기에서의 i는 앞 모음과 관계없이 /i/로 발음한다. ý의 경우엔 y의 장음이다.

체언

명사

대명사

수사

용언

동작사

상태사

수식언

관형사

부사

  1. 2024년 6월 26일 03시 49분 42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디스코드 서버에는 차단된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나 들어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