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니스카 대전쟁: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16번째 줄: 16번째 줄:
| 제2_세력_국가와국기 = {{국호|라졔르베라}}
| 제2_세력_국가와국기 = {{국호|라졔르베라}}
| 제1_세력_지원세력 = {{국호|셰스카테령 오모나섬}}<br>{{국호|AR 세요짐}}<br>{{국호|AR 나지에셔트}}<br>{{국호|AR 프레니처}}
| 제1_세력_지원세력 = {{국호|셰스카테령 오모나섬}}<br>{{국호|AR 세요짐}}<br>{{국호|AR 나지에셔트}}<br>{{국호|AR 프레니처}}
| 제2_세력_지원세력 =  
| 제2_세력_지원세력 = {{국호|신세이 왕국}}
| 제1_세력_지휘관 = {{국기그림|셰스카테}} 비쉬 루스 흐춤<ref>Vex rus Chzum, [[대통령]]</ref><br>{{국기그림|셰스카테}} 쇼우스 델 아우스판<ref>Schoús del Aúsfan, [[셰스카테 국군|국방부]]장관</ref><br>{{국기그림|셰스카테}} 발리스트 발 어슈텐<ref>Balest val Ouschten, [[셰스카테/해군|해군]] 주임원사</ref><br>{{국기그림|셰스카테}} 차소켈 텐 카이스터<ref>Zasoquekel ten Keisty, [[셰스카테/육군|육군]] 주임원사</ref><br>{{국기그림|셰스카테}} 하이스 델 커스로슈<ref>Heis del Cousreux, [[셰스카테/공군|공군]] 주임원사</ref><br>{{국기그림|셰스카테}} 셰스만 반 커스로슈 <ref>Schesman van Cousreux, [[셰스카테/특사부|특사부]] 주임원사</ref><br>
| 제1_세력_지휘관 = {{국기그림|셰스카테}} 비쉬 루스 흐춤<ref>Vex rus Chzum, [[대통령]]</ref><br>{{국기그림|셰스카테}} 쇼우스 델 아우스판<ref>Schoús del Aúsfan, [[셰스카테 국군|국방부]]장관</ref><br>{{국기그림|셰스카테}} 발리스트 발 어슈텐<ref>Balest val Ouschten, [[셰스카테/해군|해군]] 주임원사</ref><br>{{국기그림|셰스카테}} 차소켈 텐 카이스터<ref>Zasoquekel ten Keisty, [[셰스카테/육군|육군]] 주임원사</ref><br>{{국기그림|셰스카테}} 하이스 델 커스로슈<ref>Heis del Cousreux, [[셰스카테/공군|공군]] 주임원사</ref><br>{{국기그림|셰스카테}} 셰스만 반 커스로슈 <ref>Schesman van Cousreux, [[셰스카테/특사부|특사부]] 주임원사</ref><br>
| 제2_세력_지휘관 =  
| 제2_세력_지휘관 =  
114번째 줄: 114번째 줄:
* AR식 경제체계 도입 및 AR 산업복합체 설치로 본국과의 지리적 격차 대안 마련
* AR식 경제체계 도입 및 AR 산업복합체 설치로 본국과의 지리적 격차 대안 마련
* AR 레나(Ȑ) 통용 및 AR 경제권 편입을 통한 시장 접근성 향상
* AR 레나(Ȑ) 통용 및 AR 경제권 편입을 통한 시장 접근성 향상
=== {{국호|신세이 왕국}} ===
[[신세이 왕국]]은 초기에는 국내 [[5200년대 신세이 왕국 군벌시대|전란]]을 진압해야하기에 참전이나 관련 의사를 표명할 수 없었지만 하이슈 하쿠에이의 송산군벌이 다시금 신세이도를 통합하면서 조금씩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이후,하이슈 하쿠에이에게 반기를 드는 세력들이 결집하자 위기감을 느껴 이를 전쟁으로 해소하고자 한다.
결국 신세이 왕국은 초기 의사와 달리 [[라졔르베라]]측으로 참전했다.


== 도보게 ==
== 도보게 ==
=== 각주 ===
=== 각주 ===

2023년 7월 10일 (월) 23:44 판

+셰스카테 다이아몬드 투명배경.png
Ilad comsen gá comkreittropim Meras
셰스카테 · 셰스카테어풀르어 · 쿠므사테흐줌사테 
지리 · 국기 · 교육 · 군사 · 국제관계 · 문화
[ 관련 틀 ]
+라졔르베라 국장.png
LAŽERVERA
라졔르베라 · 라졔르베라어 · 문화 
지리 · 국기 · 교육 · 군사 · 국제관계
+ 레니스카 대전쟁[2]
Fjunsul'á Reniska[3]
Reniska Dadymógotart[4]
[[파일:]]
{{{전쟁_그림_설명}}}
날짜
장소
셰스카테 동부 레쳇파룸 주, 레체테베카인로스 주
원인
라졔르베라로 계속 넘어오는 셰스카테의 불법 이민자
라졔르베라의 요구에 대한 셰스카테의 무응답
교전국 셰스카테 셰스카테 라졔르베라 라졔르베라
셰스카테 셰스카테 라졔르베라 라졔르베라
지원 세력 셰스카테령 오모나섬 셰스카테령 오모나섬
AR 세요짐 AR 세요짐
AR 나지에셔트 AR 나지에셔트
AR 프레니처 AR 프레니처
신세이 왕국 신세이 왕국
상세 정보
[ 펼치기 · 접기 ]
지휘관 셰스카테 비쉬 루스 흐춤[5]
셰스카테 쇼우스 델 아우스판[6]
셰스카테 발리스트 발 어슈텐[7]
셰스카테 차소켈 텐 카이스터[8]
셰스카테 하이스 델 커스로슈[9]
셰스카테 셰스만 반 커스로슈 [10]
병력
피해 규모
민간인
사상자
결과
'
영향

개요

레니스카 대전쟁셰스카테의 경제난으로 인해 생긴 이민자 문제를 셰스카테가 대책을 안 세우고 무응답으로 일관하자 라졔르베라가 못참고 쳐들어오면서 시작된 전쟁이다.

초기

상황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셰스카테 대공황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셰스카테라졔르베라가 계속해서 불법 이민자 문제에 대한 대책을 세우라는 말을 자존심 상할 것 같아서 계속해서 무시해왔다.

셰스카테는 원래 자기 나라에 자존심이 굉장히 센 나라여서 해결하겠다고 말하면 자신이 힘드다는걸 인정한 셈이라고 생각을 했던 것이다.


라졔르베라셰스카테에게 5261년부터 5265년까지 계속 불법 이민자 문제에 대한 대책을 요구를 해왔으나 무시하고 답장이 오더라도 나중에 해결하겠다라는 말 밖에 없었다.계속해서 셰스카테가 무응답으로 일관하자 못참고 전쟁을 선포했다.

초중기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레체테베카인로스 자치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파룸카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셰스카테경제난 때문에 어찌하지도 못한채 계속 후퇴를 했어야 했고, 레체테베카인로스레쳇파룸 일부를 잃게 되었다.


그리고 그곳에 괴뢰국 2개가 세워졌다.

라졔르베라의 야욕

라졔르베라는 본래 불법 이민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쟁을 일으킨 것 이었지만, 괴뢰국을 2개나 세움으로써, 본래 명분을 잃기 시작했다.

중기

셰스카테령 오모나섬이 이 전쟁에 참여했다. 셰스카테의 계획은 라졔르베라를 뒤에서 공격하면 라졔르베라가 흔들릴 것이라 생각했다. 하지만, 라졔르베라는 흔들리지 않았고, 오히려 공격은 더 거세졌다. 이때 셰스카테는 자신의 힘만으로는 라졔르베라를 이길 수 없다고 생각을 하고, 다른 나라에 지원 요청을 하자는 의견들이 나오게 된다.


하지만, 5268년, 셰스카테령 오모나섬의 공격이 성공했고, 라졔르베라는 약간 뒤로 후퇴하게 되었다.

그래도 상황이 좋아지지 않자, 셰스카테는 결국 다른 나라에 지원 요청을 하게 된다.

초말기

말기

결과

반응

그래그래 공화국 그래그래 공화국

그래그래 공화국의 마지노선.png

5270년, 그래그래 공화국의 그래통령 라블 로이스는 셰스카테라졔르베라의 전쟁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이 전쟁은 본래 불법 이민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쟁이었다. 그러나 현재 라졔르베라는 명분과는 상관없이 본인들의 침략 야욕을 노골화해 셰스카테를 공격 중이다. 우리의 헌법 정신에 따라 이를 침략적 전쟁으로 간주하며 군사를 소집하고 있는 중이다. 라졔르베라의 마지막 양심을 판단하기 위해 이 선을 넘는다면 침략적 전쟁을 인정하는 것으로 보고 우리 또한 참전하겠다."

 
그래그래 공화국의 그래통령, 라블 로이스 (5270년)

그 뒤 지도에서 붉은색 선을 그어 국민들 앞에 공개하였다. 이러한 방위선, 일명 로이스 라인을 넘긴다면 그래그래 공화국 이 전쟁에 참전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AR 그룹 AR 그룹

AR 그룹은 과거, 자소크-이렘나 전쟁에서 AR 그룹의 전신인 자텐다 황금전단에 협력하였던 셰스카테 정부의 현 상황을 인지했다. AR 그룹셰스카테의 현상을 감안하여 새로운 복합적 경제 플랜을 제시했다. 그러나, 잠재적 고객인 라졔르베라와의 관계를 중시하여 군사적인 지원을 주지 않았다.

AR 그룹의 기업국가중 3개국이 셰스카테를 지원하였으며, 그 대가로 AR 그룹 물품에 대한 관세 영구 철폐협약을 제시하였다.

AR 세요짐 AR 세요짐

AR 세요짐셰스카테 서부[11]에 다음과 같은 경제 플랜을 제시했다.

  • AR 세요짐의 현지 자회사를 통한 인프라 재건축
  • 곡물/식량 유통망을 인수를 통한 셰스카테 서부 경제 회복 및 안정적 독점체제 구축
  • 거대 서비스복합 업체 발족을 통한 국내 안정화 도모

AR 나지에셔트 AR 나지에셔트

AR 나지에셔트셰스카테 [12]에 다음과 같은 경제 플랜을 제시했다.

  • 구난 시설 및 유통 물류 체계 인수를 통한 기아문제 해결
  • AR 나지에셔트 직영 자원채집지사 설립 및 채굴권 인수

AR 프레니처 AR 프레니처

AR 프레니처는 본국이랑 연락 끊긴 포투에 다음과 같은 경제 플랜을 제시했다.

  • AR식 경제체계 도입 및 AR 산업복합체 설치로 본국과의 지리적 격차 대안 마련
  • AR 레나(Ȑ) 통용 및 AR 경제권 편입을 통한 시장 접근성 향상

신세이 왕국 신세이 왕국

신세이 왕국은 초기에는 국내 전란을 진압해야하기에 참전이나 관련 의사를 표명할 수 없었지만 하이슈 하쿠에이의 송산군벌이 다시금 신세이도를 통합하면서 조금씩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이후,하이슈 하쿠에이에게 반기를 드는 세력들이 결집하자 위기감을 느껴 이를 전쟁으로 해소하고자 한다.

결국 신세이 왕국은 초기 의사와 달리 라졔르베라측으로 참전했다.

도보게

각주

  1. 올리뵈, 키미아, 루에나데스, 리브렌스카
  2. 또는 라졔르베라 - 셰스카테 전쟁
  3. 또는 Fjunné Lazervera - Scheskatté
  4. 또는 Lažervera - Šeskate Gotart
  5. Vex rus Chzum, 대통령
  6. Schoús del Aúsfan, 국방부장관
  7. Balest val Ouschten, 해군 주임원사
  8. Zasoquekel ten Keisty, 육군 주임원사
  9. Heis del Cousreux, 공군 주임원사
  10. Schesman van Cousreux, 특사부 주임원사
  11. 레쳇코모숨 주, 레쳇메레 주, 비고 주
  12. 레쳇파룸 주, 레체테베카인로스 주, 셰스카테령 오모나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