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사트}} {{디누단마}} == 품사 == '''품사'''<small>(xar)</small>란, 단어를 성질에 따라 구분한 것을 말한다. 퍈프소븜에는 7개의 품사가 있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colspan="8" | 퍈프소븜의 품사 |- | colspan="4" | 체언 <small>(xar sjel)</small> | colspan="2" | 명사 <small>(xar psan)</small> | colspan="2" | 대명사 <small>(xar psan pi)</small> |- | colspan="4" | 수식언 <small>(xar nar)</small>...) |
잔글 (→품사) |
||
18번째 줄: | 18번째 줄: | ||
| colspan="4" | 조사 <small>(xar sa:b)</small> | | colspan="4" | 조사 <small>(xar sa:b)</small> | ||
|- | |- | ||
| colspan="4" | 용언 <small>(xar | | colspan="4" | 용언 <small>(xar y)</small> | ||
| colspan="2" | 동사 <small>(xar y:)</small> | | colspan="2" | 동사 <small>(xar y:)</small> | ||
| colspan="2" | 형용사 <small>(xar stin)</small> | | colspan="2" | 형용사 <small>(xar stin)</small> |
2022년 10월 29일 (토) 20:10 판
+ | |
무디두기 / 퍈프소븜 / 특산품 |
품사
품사(xar)란, 단어를 성질에 따라 구분한 것을 말한다. 퍈프소븜에는 7개의 품사가 있다.
퍈프소븜의 품사 | |||||||
---|---|---|---|---|---|---|---|
체언 (xar sjel) | 명사 (xar psan) | 대명사 (xar psan pi) | |||||
수식언 (xar nar) | 관형부사 (xar u) | ||||||
관계언 (xar kmun) | 조사 (xar sa:b) | ||||||
용언 (xar y) | 동사 (xar y:) | 형용사 (xar stin) | |||||
독립언 (xar sjel fun) | 감탄사 (xar a:) |
체언
체언은 문장에서 주어나 목적어가 되는 낱말을 뜻한다.
명사
명사는 사람, 사물등의 이름을 뜻한다.
- 예시
- 일반적 명사 (xar psan uef)
- san (사람)
- san kwin (광부)
- mur (3)
- 고유적 명사 (xar psan uiv)
- stsi (스치)
- dzinramen sunxanmat(진라면순한맛)
대명사
대명사는 명사를 대신하여 쓰는 말이다.
- 예시
- 인칭대명사 (xar pi san)
- zo (나)
- dal (너)
- pi (그, 그녀, 그것)
- 지시대명사 (xar pi oto)
- pi (그)
- bi (이)
- bit (저)
- clwan (어떤)
- 의문사 (xar clawn)
- tyn clwan (언제)
- ma clwan (어디)
- san clwan (누구)
- clwan (무엇)
- kas (어떻게)
- lwa (왜)
- nyn clwan (얼마나, 몇)
수식언
수식언은 체언, 용언, 문장 전체를 수식하는 말이다.
관형부사
관형부사는 체언, 용언, 문장, 관형부사를 수식한다. 품사중 관형사와 부사를 하나로 묶어서 부르는 말이다.
- 예시
- umun (좋은)
- tyn ama bi (오늘)
- fu (매우) 등등
용언
용언은 문장에서 서술어의 기능을 하는 동사와 형용사를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동사
동사는 동작이나 작용을 나타내는 품사이다.
- 예시
- yksjub (보다)
- yrar 혹은 yfjan (말하다)
- yiro (기계를 쓰다, 사용하다)
형용사
형용사는 물질의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낸다.
- 예시
- stymun (좋다)
- styrar (먹음직스럽다)
- stynas (파랗다)
독립언
독립언은 다른 조사 없이도 단독적으로 쓸 수 있는 말이다.
감탄사
- 예시
- alu: (안녕)
- a: (아)
- cuccuc (꺼이 꺼이 웃는 모습)
- uaua (응애, 흑흑)
- xo: (헉)
rvot (말포이에게 하는 말)
도보게
각주
- ↑ 2025년 4월 20일 11시 13분 13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 디스코드 서버에는 차단된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나 들어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