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양하라, 우리의 광활한 하늘과 땅을: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1번째 줄: 11번째 줄:
| 지위            = 국가(國歌)
| 지위            = 국가(國歌)
| 작곡            = {{국기|가베 제국}}, [[하가카트 유크비테]]
| 작곡            = {{국기|가베 제국}}, [[하가카트 유크비테]]
| 작            = {{국기|가베 제국}}, 히풀리 마가
| 작사          = {{국기|가베 제국}}, 히풀리 마가
| 언어            = {{국기그림|가베 제국}} [[가베어]]
| 언어            = {{국기그림|가베 제국}} [[가베어]]
| 듣기            =  
| 듣기            =  
17번째 줄: 17번째 줄:
| 국어_표기      = 본문 참조
| 국어_표기      = 본문 참조
}}
}}
https://www.youtube.com/watch?v=UOb1Olv_IpQ


==개요 ==
==개요 ==
{{국기|가베 제국}}의 국가이다.
{{국기|가베 제국}}의 국가이다.
원 제목이 긴지라 편의상으로 Ratak(찬양하라)라고도 불린다.
==가사==
==가사==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2022년 9월 24일 (토) 17:44 판

사트.svg 상위 문서 : 가베 제국

가베.png
찬양하라, 우리의 광활한 하늘과 땅을
Ratak to mabug`i kapa`ru`j hipur nak zaqwa
지위 국가(國歌)
언어 가베 제국 가베어
원어 표기
본문 참조
국어 표기
본문 참조

https://www.youtube.com/watch?v=UOb1Olv_IpQ

개요

가베 제국 가베 제국의 국가이다. 원 제목이 긴지라 편의상으로 Ratak(찬양하라)라고도 불린다.

가사

병음 한국어 발음 한국어

Ratak to mabug`i kapa`ru`j hipur nak zaqwa

Ratak to moqbug`i twen tatan gabe japun`

`ijfi, `aharitaj japun`g`i sakrawa to moqbu

Ko`ke det` mabug`i `orizakra nak lunakur

`ijz mawa `on qora zaqwa `on g`a `ahweli zaqwa

Salasa tas qora hyzaqa nak purnazin to g`a pur

`o`ka mabug`i lyge kiha, `o`ka `ahweli `ihzim

Fadhil mabuwa to tas g`a sijabroten `ifyt.

라탁 토 마부기 카퍼르이 히푸르 낙 자콰

라탁 토 모크부기 투엔 타탄 가베 야풍

이피 아하리타이 야풍기 사크라와 토 모크부

쾨케 데스 마부기 오리자크라 낙 루나쿠르

이즈 마와 온 코라 자콰 온 가 아휄리 자콰

살라사 타스 코라 휘자카 낙 푸르나진 가 푸르

외카 마부기 뤼게 키하 외카 아휄리 이흐짐

파드힐 마부와 토 타스 가 시야브로텐 이퓟

찬양하라, 우리의 광활한 하늘과 땅을

찬양하라, 너의 나라, 가베 제국을

영원히, 제국의 빛이 너를 축복하리라

우리의 해와 달이 없어질때까지

나는 이 땅 위에 있다. 이 신성한 땅 위에,

만세하여라 이 대지에게, 불어오는 그 바람에게

우리의 위대한 왕을 위해, 이흐짐을 위해,

우리는 미래를 향해 갈것이다.

여담

법적으론 `o`ka mabug`i lyge kiha(우리의 위대한 왕을 위해)라는 구절에서 군주가 여왕으로 바뀌면 똑같이 `o`ka mabug`i lyge ko`ni(우리의 위대한 여왕을 위해)로 바꾸어야 한다. 하지만 가베 제국의 왕조상 여왕이 군림한 적은 없었기에[3] 아직까지는 사례가 없다.

악보

Ratak.png

  1. 2025년 4월 24일 05시 46분 39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디스코드 서버에는 차단된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나 들어올 수 있습니다.
  3. 가장 최근에 군림한 여왕은 4331년의 오이모킬레국의 바렐 여왕이나, 는 이 국가가 정해지기 이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