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37번째 줄: | 37번째 줄: | ||
== [[아사어족]] == | == [[아사어족]] == | ||
=== {{국기그림|아사}} [[아사어]] === | === {{국기그림|아사}} [[아사어]] === | ||
{{인용문|{{rb|키스의|九三又}} {{rb|고유|戶已}} {{rb|조건은|夕下乃}} {{rb|입술끼리|已三九女}} {{rb|만나야|木乃已}} {{rb|하고|一戶}} {{rb|특별한|刀八女}} {{rb|기술은|十三女}} {{rb|필요치|八二丁}} {{rb|않다|乃刀}}.|[[아사어]]}} | {{인용문|{{rb|키스의|九三又}} {{rb|고유|戶已}} {{rb|조건은|夕下乃}} {{rb|입술끼리|已三九女}} {{rb|만나야|木乃已}} {{rb|하고|一戶}} {{rb|특별한|刀八女}} {{rb|기술은|十三女}} {{rb|필요치|八二丁}} {{rb|않다|乃刀}}.|[[아사어]] [[거줏굴]]}} | ||
{{인용문|{{rb|키스의|Cishi}} {{rb|고유|ghojhu}} {{rb|조건은|zogo'n}} {{rb|입술끼리|jisucirni}} {{rb|만나야|manajha}} {{rb|하고|qagho}} {{rb|특별한|tuporn}} {{rb|기술은|jisurn}} {{rb|필요치|pinhotri}} {{rb|않다|nta}}.|[[아사어]] [[라틴 문자]]}} | |||
== [[은어족]] == | == [[은어족]] == |
2022년 9월 2일 (금) 02:02 판
상위 문서 : 사트/언어
개요
사트의 언어들은 몹시 다양한 문자 체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메타계의 기여자들은 표기의 편의를 위해 주로 라틴 문자를 즐겨 사용하고 있으며, 그 결과 같은 문자의 경우에도 언어 별로 다른 음가를 지니게 된 탓에 상당히 복잡하게 되었다.
따라서 해당 문서에서는 각 언어 별 로마자 표기법을 간략히 정리한 표를 제공한 후, 동일한 예문 즉 한국어 팬그램을 전사하여 서로 비교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순서는 가나다순이다.
표 양식
추가하고 싶으신 분은 아래 내용을 복사하세요.
=== {{국기그림|}} [[]] === {{인용문|{{rb|키스의|}} {{rb|고유|}} {{rb|조건은|}} {{rb|입술끼리|}} {{rb|만나야|}} {{rb|하고|}} {{rb|특별한|}} {{rb|기술은|}} {{rb|필요치|}} {{rb|않다.|}}|[[]]}}
미분류
뤼미에르어
“
키스의 고유 조건은 입술끼리 만나야 하고 특별한 기술은 필요치 않다. ” — 뤼미에르어
갑인어족
헤이어
“
키스의 고유 조건은 입술끼리 만나야 하고 특별한 기술은 필요치 않다. ” — 헤이어 국내표준
“
키스의 고유 조건은 입술끼리 만나야 하고 특별한 기술은 필요치 않다. ” — 헤이어 국제표준
디에우스어족
우이뇨르데괴자욤어
“
키스의 고유 조건은 입술끼리 만나야 하고 특별한 기술은 필요치 않다. ”
주노데어
“
키스의 고유 조건은 입술끼리 만나야 하고 특별한 기술은 필요치 않다. ” — 주노데어
메데마어족
뎅구르어
“
키스의 고유 조건은 입술끼리 만나야 하고 특별한 기술은 필요치 않다. ” — 뎅구르어
바란어
“
키스의 고유 조건은 입술끼리 만나야 하고 특별한 기술은 필요치 않다. ” — 바란어
아사어족
아사어
“
키스의 고유 조건은 입술끼리 만나야 하고 특별한 기술은 필요치 않다 .”
“
키스의 고유 조건은 입술끼리 만나야 하고 특별한 기술은 필요치 않다 .”
은어족
화칸어
“
키스의 고유 조건은 입술끼리 만나야 하고 특별한 기술은 필요치 않다. ” — 화칸어
도보게
각주
- ↑ 2025년 5월 25일 06시 24분 11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 디스코드 서버에는 차단된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나 들어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