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사트}} {{밀리토호스 타코뤼 왕국}} {{전쟁 정보 | 전쟁_명칭 = 제 4차 메디아 해협 공세 | 전쟁_원어명칭 = | 전쟁_그림 = 제4차 메디아 해협공세.jpeg | 전쟁_일시 = 3272년 2월 16일~ 3276년 8월 20일 | 전쟁_장소 = 북메디아 남부 메디아 해협 | 전쟁_원인 = 파랑 기병대의 타코뤼 지역 정복 및 남메디아 진출 | 제1_세력 = 대파랑 | 제2_세력 = 옐 타다페이스 연합 |...) |
편집 요약 없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 전쟁_명칭 = 제 4차 메디아 해협 공세 | | 전쟁_명칭 = 제 4차 메디아 해협 공세 | ||
| 전쟁_원어명칭 = | | 전쟁_원어명칭 = | ||
| 상징색 = #161b33 | |||
| 폰트색 = #ffffff | |||
| 전쟁_그림 = 제4차 메디아 해협공세.jpeg | | 전쟁_그림 = 제4차 메디아 해협공세.jpeg | ||
| 전쟁_일시 = 3272년 2월 16일~ 3276년 8월 20일 | | 전쟁_일시 = 3272년 2월 16일~ 3276년 8월 20일 | ||
12번째 줄: | 14번째 줄: | ||
| 제1_세력 = [[대파랑]] | | 제1_세력 = [[대파랑]] | ||
| 제2_세력 = 옐 타다페이스 연합 | | 제2_세력 = 옐 타다페이스 연합 | ||
| 제1_세력_국가와국기 = {{국호|파랑 기병대}}<br>{{국기그림|파랑 기병대}} [[세멘티 벽림 기사단]]<br>{{국기그림|파랑 기병대}} [[쿠베 낮은폭풍 선봉대]]<br>{{국기그림|파랑 기병대}} [[모튀르 타는하늘 기사단]]<br>{{국기그림|파랑 기병대}} [[엘도 잔혈 기병대]]<br>{{국기그림|파랑 기병대}} [[벨로프 명도 기사단]]<br>{{국기그림|파랑 기병대}} [[시레이그 숨은칼 기병대]]<br>{{국기그림|파랑 기병대}} [[비핀 녹암방패 기사단]]<br>{{국기그림|파랑 기병대}} [[샤피 용암꼬리 선봉대]]<br>{{국기그림|파랑 기병대}} [[ | | 제1_세력_국가와국기 = {{국호|파랑 기병대}}<br>{{국기그림|파랑 기병대}} [[세멘티 벽림 기사단]]<br>{{국기그림|파랑 기병대}} [[쿠베 낮은폭풍 선봉대]]<br>{{국기그림|파랑 기병대}} [[모튀르 타는하늘 기사단]]<br>{{국기그림|파랑 기병대}} [[엘도 잔혈 기병대]]<br>{{국기그림|파랑 기병대}} [[벨로프 명도 기사단]]<br>{{국기그림|파랑 기병대}} [[시레이그 숨은칼 기병대]]<br>{{국기그림|파랑 기병대}} [[비핀 녹암방패 기사단]]<br>{{국기그림|파랑 기병대}} [[샤피 용암꼬리 선봉대]]<br>{{국기그림|파랑 기병대}} [[시뤼르 용각 기사단]]<ref>동부 기사단이었으나 차출되어 남부로 내려왔다</ref><br>{{국기그림|파랑 기병대}} [[레네 강철늑대 기사단]]<ref>북부 기사단이었으나 차출되어 남부로 내려왔다</ref> | ||
| 제2_세력_국가와국기 = {{국기그림|밀리토호스 타코뤼 왕국}} [[옐 타다페이스]] 연합 | | 제2_세력_국가와국기 = {{국기그림|밀리토호스 타코뤼 왕국}} [[옐 타다페이스]] 연합 | ||
| 제1_세력_지원세력 = | | 제1_세력_지원세력 = | ||
| 제2_세력_지원세력 = {{국호|남메디아 북부 부족민 연합}} | | 제2_세력_지원세력 = {{국호|남메디아 북부 부족민 연합}} | ||
| 제1_세력_지휘관 = {{국기그림|파랑 기병대}} 제 7대 사데나<br> | | 제1_세력_지휘관 = {{국기그림|파랑 기병대}} 제 7대 사데나<br> | ||
| 제2_세력_지휘관 = {{국기그림|밀리토호스 타코뤼 왕국}} | | 제2_세력_지휘관 = {{국기그림|밀리토호스 타코뤼 왕국}} 밀리토호스 타코뤼의 건국영웅 | ||
| 제1_세력_병력 = {{국기그림|파랑 기병대}} 890,000명 | | 제1_세력_병력 = {{국기그림|파랑 기병대}} 890,000명 | ||
| 제2_세력_병력 = {{국기그림|밀리토호스 타코뤼 왕국}} ?명 | | 제2_세력_병력 = {{국기그림|밀리토호스 타코뤼 왕국}} ?명 | ||
25번째 줄: | 27번째 줄: | ||
| 제2_세력_민간인피해 = ?명 희생 | | 제2_세력_민간인피해 = ?명 희생 | ||
| 전쟁_결과 = [[옐 타다페이스 연합]]의 승리 | | 전쟁_결과 = [[옐 타다페이스 연합]]의 승리 | ||
| 전쟁_영향 = '''[[대파랑]]''' | | 전쟁_영향 = <big>'''[[대파랑]]의 종료'''</big><br>[[밀리토호스 타코뤼 국가연합]]의 발족 | ||
}} | }} | ||
== 개요 == | == 개요 == | ||
[[파랑 기병대]]가 [[남메디아]] 진출과 타코뤼 지역의 복속을 위하여 [[메디아 해협 요새]]에서 치룬 4번째 | [[파랑 기병대]]가 [[남메디아]] 진출과 타코뤼 지역의 복속을 위하여 [[메디아 해협 요새]]에서 치룬 4번째 공성전이다. | ||
== 배경 == | == 배경 == | ||
53번째 줄: | 55번째 줄: | ||
==종전== | ==종전== | ||
[[파랑 기병대]]는 와해되었고, 해협의 중심에는 [[밀리토호스 타코뤼 국가연맹]]의 건국영웅이 서있었다. 모든 전쟁을 종결시킨 영웅은 그 자리에서 | [[파랑 기병대]]는 와해되었고, 해협의 중심에는 [[밀리토호스 타코뤼 국가연맹]]의 건국영웅이 서있었다. 모든 전쟁을 종결시킨 영웅은 그 자리에서 기나긴 전쟁이 끝났음을 선언하였다. | ||
==영향== | ==영향== | ||
이 영향으로 160년동안 지속되었던 [[대파랑]]의 원인인 [[파랑 기병대]]는 와해되었으며, 3년만에 역사속으로 사라지게 된다. | 이 영향으로 160년동안 지속되었던 [[대파랑]]의 원인인 [[파랑 기병대]]는 와해되었으며, 3년만에 역사속으로 사라지게 된다. | ||
전쟁을 승전으로 이끈 [[밀리토호스 타코뤼 국가연맹]]의 건국영웅은 타코뤼 지역의 [[옐 타다페이스]]들을 규합하여 [[밀리토호스 타코뤼 국가연맹]]을 발족시킨다. 이것이 현재의 [[밀리토호스 타코뤼 왕국]]의 전신이 된다. | |||
[[밀리토호스 타코뤼 국가연맹]]의 건국영웅은 [[파랑 기병대]]의 패잔병들에게 자비를 베풀었고, 이 전투에 참여한 기병대 중 [[쿠베 낮은폭풍 선봉대]], [[모튀르 타는하늘 기사단]], [[엘도 잔혈 기병대]], [[벨로프 명도 기사단]]은 [[밀리토호스 타코뤼 국가연맹]]에 마찰없이 흡수되어 현 [[코르인]]의 조상중 하나가 된다. | [[밀리토호스 타코뤼 국가연맹]]의 건국영웅은 [[파랑 기병대]]의 패잔병들에게 자비를 베풀었고, 이 전투에 참여한 기병대 중 [[쿠베 낮은폭풍 선봉대]], [[모튀르 타는하늘 기사단]], [[엘도 잔혈 기병대]], [[벨로프 명도 기사단]]은 [[밀리토호스 타코뤼 국가연맹]]에 마찰없이 흡수되어 현 [[코르인]]의 조상중 하나가 된다. | ||
하지만, 다른 기병대들은 그와같은 자비를 누릴 수 없었으며, 대부분 분노한 피지배민들에게 살해당한다. 이때, 해협을 넘어 남메디아로 도망간 [[세멘티 벽림 기사단]]은 이후 [[밀리토호스 타코뤼 국가연맹]]에게 충성을 맹세하여 현재의 [[세멘티 공국]]이 된다. | 하지만, 다른 기병대들은 그와같은 자비를 누릴 수 없었으며, 대부분 분노한 피지배민들에게 살해당한다. 이때, 해협을 넘어 남메디아로 도망간 [[세멘티 벽림 기사단]]은 이후 [[밀리토호스 타코뤼 국가연맹]]에게 충성을 맹세하여 현재의 [[세멘티 공국]]이 된다. | ||
참전했던 기병대중 [[레네 강철늑대 기사단]]은 학살이 벌어지기 전 자신들의 소속 지역이었던 북메디아 북부로 탈출한다. [[레네 강철늑대 기사단]]은 이후 자신들이 공격했던 문명인 [[엘레르디 왕국]]과 접촉하여 안전을 보장받고, [[이렘나 철랑대]]의 전신인 [[이렘나 기사단국]]을 이룬다. | |||
== 기타 == | == 기타 == | ||
== 각주 == | == 각주 == |
2023년 1월 24일 (화) 16:21 기준 최신판
+ | |
미코로스 아케뒤 / 역사 / 지리 및 행정구역 / 문화 | |
외교 / 종족 / 마법 / 경제 / 정치 | |
타이티위그 / 세멘티 공국 |
+ 제 4차 메디아 해협 공세 | ||
---|---|---|
{{{전쟁_그림_설명}}} | ||
날짜 | ||
3272년 2월 16일~ 3276년 8월 20일 | ||
장소 | ||
북메디아 남부 메디아 해협 | ||
원인 | ||
파랑 기병대의 타코뤼 지역 정복 및 남메디아 진출 | ||
교전국 | 대파랑 | 옐 타다페이스 연합 |
![]() ![]() ![]() ![]() ![]() ![]() ![]() ![]() ![]() ![]() ![]() |
||
지원 세력 | ![]() | |
상세 정보 | ||
[ 펼치기 · 접기 ] |
지휘관 | ![]() |
|
---|---|---|
병력 | ![]() |
|
피해 규모 | ![]() |
|
민간인 사상자 |
?명 희생 | |
결과 | ||
옐 타다페이스 연합의 승리 | ||
영향 | ||
대파랑의 종료 밀리토호스 타코뤼 국가연합의 발족 |
개요
파랑 기병대가 남메디아 진출과 타코뤼 지역의 복속을 위하여 메디아 해협 요새에서 치룬 4번째 공성전이다.
배경
발단
개전
비파닌 전투
파랑 기병대는 해협의 바로 앞쪽에서 옐 타다페이스들의 지원병을 격추시키는데 성공하였고, 이것은 해협 요새의 전쟁수행능력을 감소시켰다. 성 안의 사람들은 3년동안 외부의 공급 없이 험난한 공성전을 치루게 된다.
요새 포위전
제 7대 사데나의 사망
갑작스러운 역전
제 7대 사데나가 죽자, 구심점을 잃은 파랑 기병대는 흔들리기 시작했고, 밀리토호스 타코뤼 국가연맹의 건국영웅은 그 기회를 놓치지 않고 대부분의 기병대들을 와해시킨다.
종전
파랑 기병대는 와해되었고, 해협의 중심에는 밀리토호스 타코뤼 국가연맹의 건국영웅이 서있었다. 모든 전쟁을 종결시킨 영웅은 그 자리에서 기나긴 전쟁이 끝났음을 선언하였다.
영향
이 영향으로 160년동안 지속되었던 대파랑의 원인인 파랑 기병대는 와해되었으며, 3년만에 역사속으로 사라지게 된다.
전쟁을 승전으로 이끈 밀리토호스 타코뤼 국가연맹의 건국영웅은 타코뤼 지역의 옐 타다페이스들을 규합하여 밀리토호스 타코뤼 국가연맹을 발족시킨다. 이것이 현재의 밀리토호스 타코뤼 왕국의 전신이 된다.
밀리토호스 타코뤼 국가연맹의 건국영웅은 파랑 기병대의 패잔병들에게 자비를 베풀었고, 이 전투에 참여한 기병대 중 쿠베 낮은폭풍 선봉대, 모튀르 타는하늘 기사단, 엘도 잔혈 기병대, 벨로프 명도 기사단은 밀리토호스 타코뤼 국가연맹에 마찰없이 흡수되어 현 코르인의 조상중 하나가 된다.
하지만, 다른 기병대들은 그와같은 자비를 누릴 수 없었으며, 대부분 분노한 피지배민들에게 살해당한다. 이때, 해협을 넘어 남메디아로 도망간 세멘티 벽림 기사단은 이후 밀리토호스 타코뤼 국가연맹에게 충성을 맹세하여 현재의 세멘티 공국이 된다.
참전했던 기병대중 레네 강철늑대 기사단은 학살이 벌어지기 전 자신들의 소속 지역이었던 북메디아 북부로 탈출한다. 레네 강철늑대 기사단은 이후 자신들이 공격했던 문명인 엘레르디 왕국과 접촉하여 안전을 보장받고, 이렘나 철랑대의 전신인 이렘나 기사단국을 이룬다.
기타
각주
- ↑ 2025년 4월 19일 11시 11분 00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 디스코드 서버에는 차단된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나 들어올 수 있습니다.
- ↑ 동부 기사단이었으나 차출되어 남부로 내려왔다
- ↑ 북부 기사단이었으나 차출되어 남부로 내려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