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14번째 줄: 14번째 줄:


==== {{국호|북메티샤 조약기구}} ====
==== {{국호|북메티샤 조약기구}} ====
{{본문|북메티샤 조약기구}}


==== 자소크 헤게모니에 소속된 국가 ====
==== 자소크 헤게모니에 소속된 국가 ====
24번째 줄: 26번째 줄:


==== {{국호|아트레니스카 조약기구}} ====
==== {{국호|아트레니스카 조약기구}} ====
{{본문|아트레니스카 조약기구}}


==== 피페레 헤게모니에 소속된 국가 ====
==== 피페레 헤게모니에 소속된 국가 ====
32번째 줄: 36번째 줄:


==== {{국호|반-워프게이트-협정}} ====
==== {{국호|반-워프게이트-협정}} ====
{{본문|반-워프게이트-협정}}


==== 아르토이트 헤게모니에 소속된 국가 ====
==== 아르토이트 헤게모니에 소속된 국가 ====
40번째 줄: 46번째 줄:


==== {{국호|공영권}} ====
==== {{국호|공영권}} ====
{{본문|공영권}}


[[공영권]]은 [[야마토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이 세운 [[북메디아]]의 위성국으로 [[야마토]]는 이 위성국들을 통해 대륙 전반에 대한 경제권을 구축하였다.
[[공영권]]은 [[야마토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이 세운 [[북메디아]]의 위성국으로 [[야마토]]는 이 위성국들을 통해 대륙 전반에 대한 경제권을 구축하였다.

2023년 2월 24일 (금) 05:31 판

개요

이 문서는 사트의 외교에 대한 문서이다. 사트의 외교는 지역 패권국들에 의해 주도되는 헤게모니의 양상을 주로 띈다. 많은 국가들은 패권국과 국가적 목표를 조율하거나 패권국의 헤게모니에 편승하는 형식으로 국익을 도모한다.

주요 헤게모니

이 문단은 패권을 소요한 국가 세력을 적어놓는 곳으로, 사트의 현재 시간에 해당하는 헤게모니만 기입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자소크 철학단 자소크 철학단

자소크 철학단사트의 명실상부한 패권국으로 탄티샤뿐만 아닌 사트 전 지역에 정치,군사적 영향력을 투사하는 국가이다.

북메티샤 조약기구 북메티샤 조약기구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북메티샤 조약기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자소크 헤게모니에 소속된 국가

피페레 제국 피페레 제국

피페레 제국아트리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국가로, 이들의 영향력은 아트리아레니스카 전반에 미친다.

원래 아트리아레니스카의 패권은 한카 교회국이 쥐고 있었으나, 남극해 전쟁의 영향으로 한카 교회국이 힘을 잃으며 피페레 제국으로 패권이 넘어갔다.

아트레니스카 조약기구 아트레니스카 조약기구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아트레니스카 조약기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피페레 헤게모니에 소속된 국가

아르토이트 제국 아르토이트 제국

아르토이트 제국은 남메디아의 패권국으로 북메디아, 남메디아, 펠레마, 아트리아 4개 대륙에 걸친 군사, 정치적 패권을 자랑하는 국가이다.

반-워프게이트-협정 반-워프게이트-협정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반-워프게이트-협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아르토이트 헤게모니에 소속된 국가

야마토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야마토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야마토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북메디아의 패권국으로, 6개에 달하는 위성국을 거느리며 사회주의로 대표되는 사상적 영향력을 사트 전반에 투사하는 국가이다. 북메디아의 치세가 복잡하고 상황이 혼란스럽기 때문에 북메디아의 사회주의 국가는 야마토와 위성국을 제외하면 존재하지 않지만, 사트 전반에서 야마토에게 영향을 받은 국가 또는 정당의 수는 많다.

? 공영권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공영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공영권야마토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이 세운 북메디아의 위성국으로 야마토는 이 위성국들을 통해 대륙 전반에 대한 경제권을 구축하였다.

야마토 헤게모니에 소속된 국가

국제기구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사트/국제기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사트에는 다양한 국가들이 일치된 목적을 가지고 햍동하는 국제기구가 존재한다.

기타

각주

  1. 2024년 6월 1일 23시 26분 23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디스코드 서버에는 차단된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나 들어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