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오/지리 및 행정구역: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4번째 줄: 14번째 줄:
| 처음언어 = {{국기그림|구오}} [[사삼오일]]
| 처음언어 = {{국기그림|구오}} [[사삼오일]]
| 처음언어_내용 = 929
| 처음언어_내용 = 929
| 빠깐어 = Guiku, Famedhurguiku
| 이렘나어 = sa'Bashai k'Uhich
| 이렘나어 = sa'Bashai k'Uhich
| 헤이어 = Gruzikruakim<small>(국내표준)</small><br>Guzikwacim<small>(국제표준)</small>
| 한국어 = 구이쿠
| 한국어 = 구이쿠
}}
}}
23번째 줄: 25번째 줄:
| 처음언어 = {{국기그림|구오}} [[사삼오일]]
| 처음언어 = {{국기그림|구오}} [[사삼오일]]
| 처음언어_내용 = 5000
| 처음언어_내용 = 5000
| 빠깐어 = Osen, Famedhurosen
| 이렘나어 = k'Ussen
| 이렘나어 = k'Ussen
| 헤이어 = Osrenakim<small>(국내표준)</small><br>Osenacim<small>(국제표준)</small>
| 한국어 = 오센
| 한국어 = 오센
}}
}}
35번째 줄: 39번째 줄:
{{사트 언어2
{{사트 언어2
| 처음언어 = {{국기그림|구오}} [[사삼오일]]
| 처음언어 = {{국기그림|구오}} [[사삼오일]]
| 처음언어_내용 = 413 5000  
| 처음언어_내용 = 413 5000
| 빠깐어 = Famedhurosenhosu
| 이렘나어 = k'Ussen re'Env
| 이렘나어 = k'Ussen re'Env
| 헤이어 = WunOsrenakim<small>(국내표준)</small><br>Wunosenacim<small>(국제표준)</small>
| 한국어 = 북오센
| 한국어 = 북오센
}}
}}
45번째 줄: 51번째 줄:
| 처음언어 = {{국기그림|구오}} [[사삼오일]]
| 처음언어 = {{국기그림|구오}} [[사삼오일]]
| 처음언어_내용 = 453 5000
| 처음언어_내용 = 453 5000
| 빠깐어 = Famedhurosenakaa
| 이렘나어 = k'Ussen re'Naal
| 이렘나어 = k'Ussen re'Naal
| 헤이어 = SapOsrenakim<small>(국내표준)</small><br>Shaposenacim<small>(국제표준)</small>
| 한국어 = 남오센
| 한국어 = 남오센
}}
}}
54번째 줄: 62번째 줄:
| 처음언어 = {{국기그림|구오}} [[사삼오일]]
| 처음언어 = {{국기그림|구오}} [[사삼오일]]
| 처음언어_내용 = 4139
| 처음언어_내용 = 4139
| 빠깐어 = Famedhurnyilsygu
| 이렘나어 = sa'Bashai k'Neriylzech
| 이렘나어 = sa'Bashai k'Neriylzech
| 헤이어 = Nvzilsrvgruakim<small>(국내표준)</small><br>Neozilseogwacim<small>(국제표준)</small>
| 한국어 = 너일서구
| 한국어 = 너일서구
}}
}}
63번째 줄: 73번째 줄:
| 처음언어 = {{국기그림|구오}} [[사삼오일]]
| 처음언어 = {{국기그림|구오}} [[사삼오일]]
| 처음언어_내용 = 2429
| 처음언어_내용 = 2429
| 빠깐어 = Famedhurisatugu
| 이렘나어 = sa'Bashai î'Iyshat
| 이렘나어 = sa'Bashai î'Iyshat
| 헤이어 = Isratugruakim<small>(국내표준)</small><br>Isatugwacim<small>(국제표준)</small>
| 한국어 = 이사투구
| 한국어 = 이사투구
}}
}}
72번째 줄: 84번째 줄:
| 처음언어 = {{국기그림|구오}} [[사삼오일]]
| 처음언어 = {{국기그림|구오}} [[사삼오일]]
| 처음언어_내용 = 4329
| 처음언어_내용 = 4329
| 빠깐어 = Famedhurjosytugu
| 이렘나어 = sa'Bashai î'Ushat
| 이렘나어 = sa'Bashai î'Ushat
| 헤이어 = Ziosrvtugruakim<small>(국내표준)</small><br>Zyoseotugwacim<small>(국제표준)</small>
| 한국어 = 요서투구
| 한국어 = 요서투구
}}
}}
83번째 줄: 97번째 줄:
| 처음언어 = {{국기그림|구오}} [[사삼오일]]
| 처음언어 = {{국기그림|구오}} [[사삼오일]]
| 처음언어_내용 = 4539
| 처음언어_내용 = 4539
| 빠깐어 = Famedhursaosygu
| 이렘나어 = sa'Bashai s'Auzechiy
| 이렘나어 = sa'Bashai s'Auzechiy
| 헤이어 = Sraosrvgruakim<small>(국내표준)</small><br>Saoseogwcim<small>(국제표준)</small>
| 한국어 = 사오서구
| 한국어 = 사오서구
}}
}}
92번째 줄: 108번째 줄:
| 처음언어 = {{국기그림|구오}} [[사삼오일]]
| 처음언어 = {{국기그림|구오}} [[사삼오일]]
| 처음언어_내용 = 432 4539
| 처음언어_내용 = 432 4539
| 빠깐어 = Famedhursaosygukaga
| 이렘나어 = sa'Bashai s'Auzechiy re'Ket
| 이렘나어 = sa'Bashai s'Auzechiy re'Ket
| 헤이어 = RokSraosrvgruakim<small>(국내표준)</small><br>Rocksaoseogwacim<small>(국제표준)</small>
| 한국어 = 서사오서구
| 한국어 = 서사오서구
}}
}}
101번째 줄: 119번째 줄:
| 처음언어 = {{국기그림|구오}} [[사삼오일]]
| 처음언어 = {{국기그림|구오}} [[사삼오일]]
| 처음언어_내용 = 242 4539
| 처음언어_내용 = 242 4539
| 빠깐어 = Famedhursaosyguotae
| 이렘나어 = sa'Bashai s'Auzechiy re'Dav
| 이렘나어 = sa'Bashai s'Auzechiy re'Dav
| 헤이어 = TamSraosrvguakim<small>(국내표준)</small><br>Tamsaoseogwacim<small>(국제표준)</small>
| 한국어 = 동사오서구
| 한국어 = 동사오서구
}}
}}
112번째 줄: 132번째 줄:
| 처음언어 = {{국기그림|구오}} [[사삼오일]]
| 처음언어 = {{국기그림|구오}} [[사삼오일]]
| 처음언어_내용 = 89, 3121<ref>셀드윈</ref>
| 처음언어_내용 = 89, 3121<ref>셀드윈</ref>
| 빠깐어 = Famedhurhhatshigu
| 이렘나어 = sa'Bashai h'Ati, Siyldvin
| 이렘나어 = sa'Bashai h'Ati, Siyldvin
| 엘레르디어 = Selđƿyn
| 엘레르디어 = Selđƿyn
| 헤이어 = Xacigruakim<small>(국내표준)</small><br>Khatsigwacim<small>(국제표준)</small>
| 한국어 = 하치구
| 한국어 = 하치구
}}
}}
124번째 줄: 146번째 줄:
| 처음언어 = {{국기그림|구오}} [[사삼오일]]
| 처음언어 = {{국기그림|구오}} [[사삼오일]]
| 처음언어_내용 = 432139
| 처음언어_내용 = 432139
| 빠깐어 = Famedhurjosytu'umigu
| 이렘나어 =  
| 이렘나어 =  
| 헤이어 = Ziosrvtuzumigruakim<small>(국내표준)</small><br>Zyoseotuzumigwacim<small>(국제표준)</small>
| 한국어 = 요서투우미구
| 한국어 = 요서투우미구
}}
}}
133번째 줄: 157번째 줄:
| 처음언어 = {{국기그림|구오}} [[사삼오일]]
| 처음언어 = {{국기그림|구오}} [[사삼오일]]
| 처음언어_내용 = 43213 { 1ϵ } 9
| 처음언어_내용 = 43213 { 1ϵ } 9
| 빠깐어 = Famedhurgakaskjosytu'umigu
| 이렘나어 =  
| 이렘나어 =  
| 헤이어 = NvlvwZiosrvtuzumigruakim<small>(국내표준)</small><br>Neoleowzyoseotuzumigwacim<small>(국제표준)</small>
| 한국어 = 요서투우미 1구
| 한국어 = 요서투우미 1구
}}
}}
142번째 줄: 168번째 줄:
| 처음언어 = {{국기그림|구오}} [[사삼오일]]
| 처음언어 = {{국기그림|구오}} [[사삼오일]]
| 처음언어_내용 = 43213 { 2ϵ } 9
| 처음언어_내용 = 43213 { 2ϵ } 9
| 빠깐어 = Famedhurfunejosytu'umigu
| 이렘나어 =  
| 이렘나어 =  
| 헤이어 = GlvnianZiosrvtuzumigruakim<small>(국내표준)</small><br>Jleonyanzyoseotuzumigwacim<small>(국제표준)</small>
| 한국어 = 요서투우미 2구
| 한국어 = 요서투우미 2구
}}
}}
151번째 줄: 179번째 줄:
| 처음언어 = {{국기그림|구오}} [[사삼오일]]
| 처음언어 = {{국기그림|구오}} [[사삼오일]]
| 처음언어_내용 = 43213 { 3ϵ } 9
| 처음언어_내용 = 43213 { 3ϵ } 9
| 빠깐어 = Famedhurtepetjosytu'umigu
| 이렘나어 =  
| 이렘나어 =  
| 헤이어 = UlvacZiosrvtuzumigruakim<small>(국내표준)</small><br>Uleozatszyoseotuzumigwacim<small>(국제표준)</small>
| 한국어 = 요서투우미 3구
| 한국어 = 요서투우미 3구
}}
}}
160번째 줄: 190번째 줄:
| 처음언어 = {{국기그림|구오}} [[사삼오일]]
| 처음언어 = {{국기그림|구오}} [[사삼오일]]
| 처음언어_내용 = 43213 { 4ϵ } 9
| 처음언어_내용 = 43213 { 4ϵ } 9
| 빠깐어 = Famedhurtepesjosytu'umigu
| 이렘나어 =  
| 이렘나어 =  
| 헤이어 = OlvicZiosrvtuzumigruakim<small>(국내표준)</small><br>Oleozitszyoseotuzumigwacim<small>(국제표준)</small>
| 한국어 = 요서투우미 4구
| 한국어 = 요서투우미 4구
}}
}}
169번째 줄: 201번째 줄:
| 처음언어 = {{국기그림|구오}} [[사삼오일]]
| 처음언어 = {{국기그림|구오}} [[사삼오일]]
| 처음언어_내용 = 43213 { 5ϵ } 9
| 처음언어_내용 = 43213 { 5ϵ } 9
| 빠깐어 = Famedhurtshakejosytu'umigu
| 이렘나어 =  
| 이렘나어 =  
| 헤이어 = SelvyuZiosrvtuzumigruakim<small>(국내표준)</small><br>Sheleothuzyoseotuzumigwacim<small>(국제표준)</small>
| 한국어 = 요서투우미 5구
| 한국어 = 요서투우미 5구
}}
}}


== 각주 ==
== 각주 ==

2022년 6월 12일 (일) 15:20 판

+
회색톱니바퀴.svg
구오 · 오팔투 · 사삼오일
외교 · 역사 · 지리 및 행정구역 · 군사 · 참기름 ·  · 
[ 구오 관련 틀 ]
+
테두리582대표이미지.png
개체 편제
비가동 개체[3]
§ 구역 방어기 † § 단 참모기묻는 개체 채광하는 개체 ? 지우는 개체 ?
청백톱니바퀴.svg
+
테두리4351대표이미지.png
사삼오일 관련 문서
4351 101 31052 (사삼오일-십진법 표준) 900 (문법) 40 (문자) 29000 673 (예문) 14 ()
청백톱니바퀴.svg
+
회색육전단상징.png
육상전술단
단 참모대.svg
단 참모대
특수 임무대.svg
특수 임무대
통신 중계대.svg
통신 중계대
수송 지원대.svg
수송 지원대
의무 정비대.svg
의무 정비대
구역 방어대.svg
구역 방어대
기동 타격대.svg
기동 타격대
방공 포격대.svg
방공 포격대
청백톱니바퀴.svg
+
회색해전단상징.png
해상전술단
청백톱니바퀴.svg
7구 체제 (9 { 7ϙ })
구이쿠 (929) 오센 (5000)[4] 너일서구 (4139)
이사투구 (2429) 요서투구 (4329) 사오서구 (4539)
요서투우미구 (432139)
청백톱니바퀴.svg
13구 체제 (9 { 13ϙ })
구이쿠 (929) 오센 (5000)[4] 너일서구 (4139)
이사투구 (2429) 요서투구 (4329)
서사오서구 (432 4539) 하치구 (89) 동사오서구 (242 4539)
요서투우미 1구 (43213 { 1E } 9) 요서투우미 2구 (43213 { 2E } 9) 요서투우미 3구 (43213 { 3E } 9)
요서투우미 4구 (43213 { 4E } 9) 요서투우미 5구 (43213 { 5E } 9)
청백톱니바퀴.svg

[ 구오 관련 틀 ]

파일:구오 지도.png

구오는 영토를 13개의 구(區)로 분할하는 13구 체제(사삼오일: 9 { 13ϙ })를 채택하고 있다. 자소크력 4440년 이전에는 7구 체제를 사용했다.

13구 체제

구이쿠

언어 명칭+
구오 사삼오일 929
이렘나 철랑대 이렘나어 sa'Bashai k'Uhich
앙둔 제국 헤이어 Gruzikruakim(국내표준)
Guzikwacim(국제표준)
대한민국 한국어 구이쿠

오센

언어 명칭+
구오 사삼오일 5000
이렘나 철랑대 이렘나어 k'Ussen
앙둔 제국 헤이어 Osrenakim(국내표준)
Osenacim(국제표준)
대한민국 한국어 오센

구이치 오센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구이치 오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북오센

언어 명칭+
구오 사삼오일 413 5000
이렘나 철랑대 이렘나어 k'Ussen re'Env
앙둔 제국 헤이어 WunOsrenakim(국내표준)
Wunosenacim(국제표준)
대한민국 한국어 북오센

남오센

언어 명칭+
구오 사삼오일 453 5000
이렘나 철랑대 이렘나어 k'Ussen re'Naal
앙둔 제국 헤이어 SapOsrenakim(국내표준)
Shaposenacim(국제표준)
대한민국 한국어 남오센

너일서구

언어 명칭+
구오 사삼오일 4139
이렘나 철랑대 이렘나어 sa'Bashai k'Neriylzech
앙둔 제국 헤이어 Nvzilsrvgruakim(국내표준)
Neozilseogwacim(국제표준)
대한민국 한국어 너일서구

이사투구

언어 명칭+
구오 사삼오일 2429
이렘나 철랑대 이렘나어 sa'Bashai î'Iyshat
앙둔 제국 헤이어 Isratugruakim(국내표준)
Isatugwacim(국제표준)
대한민국 한국어 이사투구

요서투구

언어 명칭+
구오 사삼오일 4329
이렘나 철랑대 이렘나어 sa'Bashai î'Ushat
앙둔 제국 헤이어 Ziosrvtugruakim(국내표준)
Zyoseotugwacim(국제표준)
대한민국 한국어 요서투구

사오서구

동사오서구와 서사오서구를 묶어서 사오서구라고 부른다.

언어 명칭+
구오 사삼오일 4539
이렘나 철랑대 이렘나어 sa'Bashai s'Auzechiy
앙둔 제국 헤이어 Sraosrvgruakim(국내표준)
Saoseogwcim(국제표준)
대한민국 한국어 사오서구

서사오서구

언어 명칭+
구오 사삼오일 432 4539
이렘나 철랑대 이렘나어 sa'Bashai s'Auzechiy re'Ket
앙둔 제국 헤이어 RokSraosrvgruakim(국내표준)
Rocksaoseogwacim(국제표준)
대한민국 한국어 서사오서구

동사오서구

언어 명칭+
구오 사삼오일 242 4539
이렘나 철랑대 이렘나어 sa'Bashai s'Auzechiy re'Dav
앙둔 제국 헤이어 TamSraosrvguakim(국내표준)
Tamsaoseogwacim(국제표준)
대한민국 한국어 동사오서구

하치구

영토 확장 과정에서 영토로 편입된 지역이다. 원래 하치구에 거주하던 엘레르디인들은 이 지역을 셀드윈(이렘나어: Selđƿyn)이라고 부른다.

언어 명칭+
구오 사삼오일 89, 3121[5]
? 알루테릴 Selđƿyn
이렘나 철랑대 이렘나어 sa'Bashai h'Ati, Siyldvin
앙둔 제국 헤이어 Xacigruakim(국내표준)
Khatsigwacim(국제표준)
대한민국 한국어 하치구

요서투우미구

요서투우미 1구부터 5구까지를 하나로 묶어서 요서투우미구라고 부른다.

언어 명칭+
구오 사삼오일 432139
앙둔 제국 헤이어 Ziosrvtuzumigruakim(국내표준)
Zyoseotuzumigwacim(국제표준)
대한민국 한국어 요서투우미구

요서투우미 1구

언어 명칭+
구오 사삼오일 43213 { 1ϵ } 9
앙둔 제국 헤이어 NvlvwZiosrvtuzumigruakim(국내표준)
Neoleowzyoseotuzumigwacim(국제표준)
대한민국 한국어 요서투우미 1구

요서투우미 2구

언어 명칭+
구오 사삼오일 43213 { 2ϵ } 9
앙둔 제국 헤이어 GlvnianZiosrvtuzumigruakim(국내표준)
Jleonyanzyoseotuzumigwacim(국제표준)
대한민국 한국어 요서투우미 2구

요서투우미 3구

언어 명칭+
구오 사삼오일 43213 { 3ϵ } 9
앙둔 제국 헤이어 UlvacZiosrvtuzumigruakim(국내표준)
Uleozatszyoseotuzumigwacim(국제표준)
대한민국 한국어 요서투우미 3구

요서투우미 4구

언어 명칭+
구오 사삼오일 43213 { 4ϵ } 9
앙둔 제국 헤이어 OlvicZiosrvtuzumigruakim(국내표준)
Oleozitszyoseotuzumigwacim(국제표준)
대한민국 한국어 요서투우미 4구

요서투우미 5구

언어 명칭+
구오 사삼오일 43213 { 5ϵ } 9
앙둔 제국 헤이어 SelvyuZiosrvtuzumigruakim(국내표준)
Sheleothuzyoseotuzumigwacim(국제표준)
대한민국 한국어 요서투우미 5구

각주

  1. 2024년 6월 29일 06시 59분 14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디스코드 서버에는 차단된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나 들어올 수 있습니다.
  3. [§ -] 전술 개체명. [- †] 사망한 개체명. [- ?] 미확인 개체명.
  4. 4.0 4.1 북오센 (413 5000)남오센 (453 5000)으로 나뉘며, 수도인 구이치 오센 (91 { 5000 })은 그 경계선의 중간 지점에 위치한다.
  5. 셀드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