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환 방법) |
편집 요약 없음 |
||
312번째 줄: | 312번째 줄: | ||
| Nahu<br>[naʔu] | | Nahu<br>[naʔu] | ||
| Daw<br>[ðäʍ] | | Daw<br>[ðäʍ] | ||
| | | laaw<br>[lᵊɐːʋ] | ||
| Nvw<br>[ɳəʋ] | | Nvw<br>[ɳəʋ] | ||
|- | |- | ||
354번째 줄: | 354번째 줄: | ||
| Makahi<br>[makaʔi] | | Makahi<br>[makaʔi] | ||
| Baqaxi<br>[växʰäħɪ] | | Baqaxi<br>[växʰäħɪ] | ||
| Maki<br>[ | | Maki<br>[mʷɐkʲi] | ||
| Maxi<br>[ʋɐʜɨ] | | Maxi<br>[ʋɐʜɨ] | ||
|- | |- | ||
372번째 줄: | 372번째 줄: | ||
| Dun<br>[dun] | | Dun<br>[dun] | ||
| Tumb<br>[θʊmb] | | Tumb<br>[θʊmb] | ||
| | | Diun<br>[dʲɨʉn] | ||
| Jum<br>[ɖ͡ʐʉ̃] | | Jum<br>[ɖ͡ʐʉ̃] | ||
|- | |- | ||
390번째 줄: | 390번째 줄: | ||
| Gan<br>[ɡan] | | Gan<br>[ɡan] | ||
| Kamb<br>[xämb] | | Kamb<br>[xämb] | ||
| | | Gian<br>[ɡʲɨɐn] | ||
| Gam<br>[ɟɐ̃] | | Gam<br>[ɟɐ̃] | ||
|- | |- | ||
443번째 줄: | 443번째 줄: | ||
## gr는 g로 표기한다. | ## gr는 g로 표기한다. | ||
## kr는 k로 표기한다. | ## kr는 k로 표기한다. | ||
## qr는 kVh로 표기한다. | |||
# 파찰음 | # 파찰음 | ||
## c는 t로 표기한다. | ## c는 t로 표기한다. | ||
475번째 줄: | 476번째 줄: | ||
## g는 어두일 때 k, 어말일 때 ng로 표기한다. | ## g는 어두일 때 k, 어말일 때 ng로 표기한다. | ||
## gr는 k로 표기한다. | ## gr는 k로 표기한다. | ||
## | ## k, kr는 q로 표기한다. | ||
# 파찰음 | # 파찰음 | ||
## c는 y(th)로 표기한다. | ## c는 y(th)로 표기한다. | ||
497번째 줄: | 498번째 줄: | ||
[[헤이어]]를 [[스샤툴루아어]]로 바꾸는 방법이다. | [[헤이어]]를 [[스샤툴루아어]]로 바꾸는 방법이다. | ||
# n은 어두일 때 l, 어말일 때 m으로 표기한다. | # 비음 | ||
## m은 어말일 때 n으로 표기한다. | |||
# | ## n은 어두일 때 l, 어말일 때 m으로 표기한다. | ||
# | # 파열음 | ||
# g는 어두일 때 gi, 어말일 때 n으로 표기한다. | ## g는 어두일 때 gi, 어말일 때 n으로 표기한다. | ||
# | ## gr | ||
# | ## f는 p로 표기한다. | ||
# | ## y는 t로 표기한다. | ||
# | ## q는 k로 표기한다. | ||
# | # 파찰음 | ||
## c는 ti로 표기한다. | |||
모음 | ## j는 di로 표기한다. | ||
# o는 어두일 때 h를 첨가한다. | # 마찰음 | ||
# v(eo)는 aa로 표기한다. | ## sr는 s로 표기한다. | ||
## x는 k로 표기한다. | |||
# 접근음 | |||
## l은 어말일 때 rl로 표기한다. | |||
# 모음 | |||
## o는 어두일 때 h를 첨가한다. | |||
## v(eo)는 aa로 표기한다. | |||
== 각주 == | == 각주 == |
2022년 10월 13일 (목) 15:46 판
개요
갑인어족은 사트에 존재하는 어족 중 하나이다. 이름은 사트의 종족이자 주요 화자인 갑인에서 따온 것이며, 대표적인 언어로는 헤이어 · 럼티어 · 칭보흐어가 있다.
분류
비교
음운 분포
명사
수사
변환 방법
헤이어 국제표준
헤이어를 국내표준에서 국제표준으로 바꾸는 방법이다.
- c는 ts로 표기한다.
- f는 ph로 표기한다.
- g는 어두일 때 j, 어말일 때 ng로 표기한다.
- gr는 g로 표기한다.
- j는 dz로 표기한다.
- k는 어두일 때 c, 어말일 때 ck로 표기한다.
- kr는 k로 표기한다.
- m은 어두일 때 v로 표기한다.
- q는 어두일 때 ch, 어말일 때 chk로 표기한다.
- qr는 hk로 표기한다.
- s는 sh로 표기한다.
- sr는 s로 표기한다.
- v는 eo로 표기한다.
- x는 kh로 표기한다.
- y는 th로 표기한다.
- z는 y로 표기한다.
헤스할디레어
- 비음
- m은 어말일 때 n으로 표기한다.
- n은 어말일 때 m으로 표기한다.
- ni는 n로 표기한다.
- 파열음
- p는 어말일 때 k로 표기한다.
- k는 어말일 때 p로 표기한다.
- f는 어두일 때 pVh, 어말일 때 k로 표기한다.
- y는 어두일 때 tVh, 어말일 때 t로 표기한다.
- q는 어두일 때 kVh, 어말일 때 p로 표기한다.
- gr는 g로 표기한다.
- kr는 k로 표기한다.
- qr는 kVh로 표기한다.
- 파찰음
- c는 t로 표기한다.
- j는 d로 표기한다.
- 마찰음
- sr는 s로 표기한다.
- x는 kVh로 표기한다.
- z는 h로 표기한다.
- 접근음
- l은 어말일 때 r로 표기한다.
- w는 어말일 때 hu로 표기한다.
- 자음군
- 자음군의 경우 모음조화를 따라 모음을 첨가한다.
- 모음
- i는 단모음으로 쓰일 때나 어말일 때 e를 첨가한다.
- o, u는 어두일 때 w를 첨가한다.
- v(eo)는 a로 표기한다.
- 다중모음의 경우 모음에 따라 마찰음/접근음을 첨가한다.
울타펭차르어
- 비음
- m은 어두일 때 b, 어말일 때 mb로 표기한다.
- n은 어두일 때 d, 어말일 때 nd로 표기한다.
- ni는 d로 표기한다.
- 파열음
- b는 p로 표기한다.
- p는 f로 표기한다.
- d는 t로 표기한다.
- t는 y로 표기한다.
- g는 어두일 때 k, 어말일 때 ng로 표기한다.
- gr는 k로 표기한다.
- k, kr는 q로 표기한다.
- 파찰음
- c는 y(th)로 표기한다.
- j는 t로 표기한다.
- 마찰음
- s는 c로 표기한다.
- sr는 s로 표기한다.
- x는 qVx로 표기한다.
- z는 x로 표기한다.
- 접근음
- l은 어두일 때 n, 어말일 때 z로 표기한다.
- 자음군
- 자음군의 경우 모음조화를 따라 모음을 첨가한다.
- 모음
- 마지막 음절의 자음이 유성 파열음일 경우 e로 끝맺는다.
- o, u는 어두일 때 h를 첨가한다.
- v(eo)는 a로 표기한다.
- 다중모음의 경우 모음에 따라 마찰음/접근음을 첨가한다.
스샤툴루아어
- 비음
- m은 어말일 때 n으로 표기한다.
- n은 어두일 때 l, 어말일 때 m으로 표기한다.
- 파열음
- g는 어두일 때 gi, 어말일 때 n으로 표기한다.
- gr
- f는 p로 표기한다.
- y는 t로 표기한다.
- q는 k로 표기한다.
- 파찰음
- c는 ti로 표기한다.
- j는 di로 표기한다.
- 마찰음
- sr는 s로 표기한다.
- x는 k로 표기한다.
- 접근음
- l은 어말일 때 rl로 표기한다.
- 모음
- o는 어두일 때 h를 첨가한다.
- v(eo)는 aa로 표기한다.
각주
- ↑ 2025년 4월 18일 22시 38분 52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 디스코드 서버에는 차단된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나 들어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