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가베인의 이름에 대한 설명이다.
기본적으로 어떤 접두절 없이 이름+성의 형태의 명법이다. 서양처럼 가족의 이름을 따 짓거나 중복시키지 않는다. 당연히 1세, 2세 등 세의 개념도 없다.
이름과 성의 개념
보통은 이름보단 성을 자주 부르며 이름이 불리는 경우는 씨족, 친구, 동료, 주위에 같은 성이 있을때 정도가 된다. 쌩판 모르는 사람이 성을 뺀[3] 이름을 부르면 위의 경우가 아닌 이상 이상하게 보이기 쉽다.
이흐자크교에서 신성시되는 이흐짐(`ihzim)이라는 이름은 법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자주 쓰이는 이름
가나다순 정렬. 흔한 이름이긴 하나 가베에서는 덕수, 기영처럼 다소 촌스러운 이름이 될 수 있으니 약긴의 변형을 두기도 한다.
남성
다비크(dabik)
리흐나(lihna)
마나(mana)
아이시아(xajsja)
아스무르(xasmur)
카테(qate)
횐,헨(hoen,hen)
여성
가이마(ghajma, gajma)
나디아(nadja)
라나(rana)
시나(thina)
세레(sere)
아나프(xanap)
티나(tina)
파라(fara)
흔한 성
빈도순 정렬
타타(tata) - 126,201명(5057년)
아르타('arta) - 76,311명(5088년)
미마(mima) - 55,620명(5059년)
누빌(nuvil,nuvir) - 54,620명(5098년)
라가기니미
Ragaughinimi 직역하면 라거이름. 라거의 이름은 대개 1단어로 구성되기 때문이다. 가베에선 과거에는 성표기를 하지 않았을 것이라 추정된다.
대표적인 이름으로는 마흐, 후무타, 아스무르 등이 있다.
- ↑ 2025년 4월 17일 07시 11분 06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 디스코드 서버에는 차단된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나 들어올 수 있습니다.
- ↑ 성과 이름을 같이 부르면 해당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