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커스텀 토글) |
||
135번째 줄: | 135번째 줄: | ||
! 미리보기 | ! 미리보기 | ||
|- | |- | ||
| <pre>신나는 [[ | | <pre>신나는 [[광부위키]] 편집 | ||
<div class="mw-collapsible"> | <div class="mw-collapsible"> | ||
이것은 [[스치]]가 작성한 예시 문장 | 이것은 [[스치]]가 작성한 예시 문장 | ||
</div> | </div> | ||
다시 신나는 [[ | 다시 신나는 [[광부위키]] 편집</pre> | ||
| 신나는 [[ | | 신나는 [[광부위키]] 편집 | ||
<div class="mw-collapsible"> | <div class="mw-collapsible"> | ||
이것은 [[스치]]가 작성한 예시 문장 | 이것은 [[스치]]가 작성한 예시 문장 | ||
</div> | </div> | ||
다시 신나는 [[ | 다시 신나는 [[광부위키]] 편집 | ||
|} | |} | ||
153번째 줄: | 153번째 줄: | ||
! 미리보기 | ! 미리보기 | ||
|- | |- | ||
| <pre>신나는 [[ | | <pre>신나는 [[광부위키]] 편집 | ||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 ||
이것은 [[스치]]가 작성한 예시 문장 | 이것은 [[스치]]가 작성한 예시 문장 | ||
</div> | </div> | ||
다시 신나는 [[ | 다시 신나는 [[광부위키]] 편집</pre> | ||
| 신나는 [[ | | 신나는 [[광부위키]] 편집 | ||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 ||
이것은 [[스치]]가 작성한 예시 문장 | 이것은 [[스치]]가 작성한 예시 문장 | ||
</div> | </div> | ||
다시 신나는 [[ | 다시 신나는 [[광부위키]] 편집 | ||
|} | |} | ||
2022년 6월 18일 (토) 17:19 판
이 문서에서는 광부위키 사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문법 도움말
텍스트 서식
서식 종류 | 입력한 내용 |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 |
---|---|---|
기본 글씨 | 안녕하세요 |
안녕하세요 |
굵은 글씨 | '''안녕하세요''' |
안녕하세요 |
기울인 글씨 | ''안녕하세요'' |
안녕하세요 |
색 글씨 | {{글씨 색|red|안녕하세요}} |
안녕하세요 |
취소선 | <s>안녕하세요</s> |
|
코드블록 | <code>안녕하세요</code> |
안녕하세요
|
위키문법 해제 | <nowiki>''안녕하세요''</nowiki> |
''안녕하세요'' |
참조
입력한 내용 | 링크되는 문서 |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 |
---|---|---|
[[광부위키]] |
광부위키 | 광부위키 |
[[광부위키|위키]] |
광부위키 | 위키 |
[https://google.com/] |
구글 홈페이지 | [1] |
[https://google.com/ 구글] |
구글 홈페이지 | 구글 |
헤더
입력한 내용 |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 |
---|---|
== 개요 == 안녕하세요! === 대박 === 이것은 3단계 헤더 ==== 4단계 헤더 ==== ===== 5단계 헤더 ===== ====== 6단계 헤더 ====== |
![]() |
목록
입력한 내용 |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 |
---|---|
* 안녕하세요 * 안녕하시답니다 ** 이것은 안녕한 나 *** 대박인 나 ** 후훗 * 오호호 ** 헤헤 |
|
# 안녕하세요 # 안녕하시답니다 ## 이것은 안녕한 나 ### 대박인 나 ## 후훗 # 오호호 ## 헤헤 |
|
각주
입력한 내용 |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 |
---|---|
이것<ref>짜잔!</ref>은 각주<ref>그렇구나!</ref>
|
이것[1]은 각주[2] |
이렇게<ref name="how">어떻게?</ref> 하면 각주 두 개를 하나로 묶을 수 있어요.<ref name="how" />
|
이렇게[3] 하면 각주 두 개를 하나로 묶을 수 있어요.[3] |
이렇게<ref name="how2">짠!</ref> 해도 돼요<ref name="how2">짠!</ref>
|
이렇게[4] 해도 돼요[4] |
이렇게<ref name="how3">오잉?</ref>는 안 돼요<ref name="how3">힝</ref>
|
이렇게[5]는 안 돼요[5] |
각주에 name 속성을 사용할 때에는 같은 name 속성 각주에 딸린 내용이 달라져서는 안 된다.
커스텀 토글
기본적인 펼치기·접기
펼치기·접기는 펼치고 접을 내용을 div
태그로 감싸고, 태그에 mw-collapsible
클래스를 추가하면 된다.
원본 코드 | 미리보기 |
---|---|
신나는 [[광부위키]] 편집 <div class="mw-collapsible"> 이것은 [[스치]]가 작성한 예시 문장 </div> 다시 신나는 [[광부위키]] 편집 |
신나는 광부위키 편집
이것은 스치가 작성한 예시 문장 다시 신나는 광부위키 편집 |
문단을 기본적으로 접어두기 위해서는 mw-collapsed
클래스를 사용할 수 있다.
원본 코드 | 미리보기 |
---|---|
신나는 [[광부위키]] 편집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이것은 [[스치]]가 작성한 예시 문장 </div> 다시 신나는 [[광부위키]] 편집 |
신나는 광부위키 편집
이것은 스치가 작성한 예시 문장 다시 신나는 광부위키 편집 |
표에 펼치기·접기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표 선언 부분에 나타나는 class="wikitable"
에 새로운 클래스 mw-collapsible
를 추가한다.
원본 코드 | 미리보기 | ||||
---|---|---|---|---|---|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 스치 | 바보 |- | 아니다 | ㅡㅡ |} |
|
커스텀 펼치기·접기
커스텀 펼치기·접기를 활용하면 [여기]를 클릭해도, [여기]를 클릭해도 동작하는 펼치기·접기를 만들 수 있다.
이 부분이 생겼다 없어졌다 하지요
커스텀 펼치기·접기 문법에서 스위치(토글)로 작동하는 부분은 mw-customtoggle-<이름>
클래스를 가지게 된다. 여기서 <이름>
은 본인이 직접 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실제로 적용되는 클래스는 mw-customtoggle-sch-1
, mw-customtoggle-20220422-1
과 같은 식이 된다.
또한, 내용(콜랩시블)으로 작동하는 부분은 mw-customcollapsible-<이름>
라는 아이디를 가지게 된다. 또한, mw-collapsible
클래스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여기서 <이름>
에 해당하는 부분은 토글에서 설정한 이름과 같은 것을 사용한다.
아이디는 문서 내에 단 하나의 태그에만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서술과 겹치지 않게 이름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틀이나 표에서 다른 사람이 사용한 펼치기·접기 이름과 겹치지 않게 하기 위해서 스치는 수정한 날짜를 이름에 담는다. 위에 있는 펼치기·접기 예제에서는 20220422_help_wiki_syntax-1
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원본 코드 | 미리보기 |
---|---|
<span class="mw-customtoggle-20220422_help_wiki_syntax-2">[이 부분]</span>을 클릭해서 작동해용. <div class="mw-collapsible" id="mw-customcollapsible-20220422_help_wiki_syntax-2"> [이 부분이 숨겨질 것이오] </div> |
[이 부분]을 클릭해서 작동해용.
[이 부분이 숨겨질 것이오] |
이것을 활용하면 다음과 같은 서술을 할 수 있다.
무슨무슨 정보 | ||||||||||||
---|---|---|---|---|---|---|---|---|---|---|---|---|
[역사] · [문화] · [지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