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ul-Louis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크리상테스" 문자열을 "크리상치아" 문자열로)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크리상치아 왕국}} | ||
[[파일:Chrisancthian-Map-Named.png]] | [[파일:Chrisancthian-Map-Named.png]] | ||
[[ | [[크리상치아 왕국]]의 행정구역은 14개의 '''프랭치파테'''<small>(대공작령, Principaté)</small>로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프랭치파테는 '''뒤카테'''<small>(공작령, Ducaté)</small>로 나뉘며,<ref>뒤카테 중에는 자치시나 주교령 등도 있으며, 이는 엄밀히 '공작령'이라는 이름에 맞지 않으므로 그러한 뒤카테들은 '뒤카테'라고 불러지지 않으나, 다른 뒤카테들과 함께 분류된다.</ref> 각각의 뒤카테는 '''콤테'''<small>(백작령, Cometé)</small>로 나뉜다. 다만 관습적으로 인정되는 대공작령 및 공작령들은 영토의 넓이에 상관없이 인정된다. (헌법에 명시됨) |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style="width: 100%; text-align: center" | ||
! colspan=" | ! colspan="2" | [[크리상치아 왕국]]의 대공작령 | ||
|- | |- | ||
| {{ | | {{국호|글라치아크 대공작령}} || {{국호|아그니유 대공작령}} | ||
|- | |- | ||
| {{ | | {{국호|캉파그뉴 대공작령}} || {{국호|보노르 대공작령}} | ||
|- | |- | ||
| {{ | | {{국호|베스프레스 대공작령}} || {{국호|파스트로페르트 대공작령}} | ||
|- | |||
| {{국호|베르플로르 대공작령}} || {{국호|솔타르몽트 대공작령}} | |||
|- | |||
| {{국호|비르튀지유 대공작령}} || {{국호|오르트레지유 대공작령}} | |||
|- | |||
| {{국호|카스텔모나스트르 대공작령}} || {{국호|베아트바크 대공작령}} | |||
|- | |||
| {{국호|스트리지외쥬 대공작령}} || {{국호|페르티푀브 대공작령}} | |||
|} | |} | ||
== {{ | == {{국호|글라치아크 대공작령}} == | ||
[[파일:Glaciaque flag.svg]] | [[파일:Glaciaque flag.svg]] | ||
'''글라치아크'''<small>(Glaciaque)</small>는 | '''글라치아크'''<small>(Glaciaque)</small>는 크리상치아 최북단의 대공작령이다. 어원은 '어는 물'. (glaci- + aqua) | ||
== {{ | == {{국호|아그니유 대공작령}} == | ||
[[파일:Agnie Flag.png]] | [[파일:Agnie Flag.png]] | ||
'''아그니유'''<small>(Agníe)</small>는 | '''아그니유'''<small>(Agníe)</small>는 크리상치아 북서부의 대공작령이다. 어원은 '양의 땅'. (agnus) | ||
== {{ | == {{국호|베스프레스 대공작령}} == | ||
[[파일:Vespresse flag.svg]] | [[파일:Vespresse flag.svg]] | ||
'''베스프레스'''<small>(Vespresse)</small>는 | '''베스프레스'''<small>(Vespresse)</small>는 크리상치아 서부의 대공작령이다. 어원은 '밤'. (vesper) | ||
== {{ | == {{국호|솔타르몽트 대공작령}} == | ||
[[파일:Soltarmonte flag.svg]] | [[파일:Soltarmonte flag.svg]] | ||
'''솔타르몽트'''<small>(Soltarmonte)</small>는 | '''솔타르몽트'''<small>(Soltarmonte)</small>는 크리상치아 서부의 대공작령이다. 어원은 '외로운 산'. (solitarius + mons) | ||
== {{ | == {{국호|비르튀지유 대공작령}} == | ||
[[파일:Virtusie flag.svg]] | [[파일:Virtusie flag.svg]] | ||
'''비르튀지유'''<small>(Virtusíe)</small>는 | '''비르튀지유'''<small>(Virtusíe)</small>는 크리상치아 남서부의 대공작령이다. 어원은 '덕(德)'. (virtus) | ||
== {{ | == {{국호|파스트로페르트 대공작령}} == | ||
'''파스트로페르트'''<small>(Pastroperte)</small>는 | [[파일:Pastroperte flag.svg]] | ||
'''파스트로페르트'''<small>(Pastroperte)</small>는 크리상치아 서부의 대공작령이다. 어원은 '목가적인 아늑한 땅'. (pastoricum + opertum) | |||
== {{ | == {{국호|베르플로르 대공작령}} == | ||
[[파일:Verflore flag.svg]] | [[파일:Verflore flag.svg]] | ||
'''베르플로르'''<small>(Verflore)</small>는 | '''베르플로르'''<small>(Verflore)</small>는 크리상치아 동부의 대공작령이다. 어원은 '봄의 꽃'. (ver + flos) | ||
== {{ | == {{국호|캉파그뉴 대공작령}} == | ||
[[파일:Campagne Flag.svg]] | [[파일:Campagne Flag.svg]] | ||
'''캉파그뉴'''<small>(Campagne)</small>는 | '''캉파그뉴'''<small>(Campagne)</small>는 크리상치아 북부의 대공작령이다. 어원은 '평야'. (campania) | ||
== [[ | == {{국호|보노르 대공작령}} == | ||
'''보노르'''<small>(Bonaure)</small>는 | [[파일:Bonaure flag.svg]] | ||
'''보노르'''<small>(Bonaure)</small>는 크리상치아 북부의 대공작령이다. 어원은 '좋은 바람'. (bona + aura) | |||
== {{ | == {{국호|오르트레지유 대공작령}} == | ||
[[파일:Hortregie Flag.png]] | [[파일:Hortregie Flag.png]] | ||
'''오르트레지유'''<small>(Hortregíe)</small>는 | '''오르트레지유'''<small>(Hortregíe)</small>는 크리상치아 동부의 국왕 직할령이다. 어원은 '왕의 뜰'. (hortus + regis) | ||
=== [[ | === [[콩세크라테]] === | ||
''' | '''콩세크라테'''<small>(Consécraté)</small>는 크리상치아 왕국의 수도이다. 어원은 '봉헌된'. | ||
== {{ | == {{국호|카스텔모나스트르 대공작령}} == | ||
[[파일:Castelmonastre.png]] | [[파일:Castelmonastre.png]] | ||
'''카스텔모나스트르'''<small>(Castelmonastre)</small>는 | '''카스텔모나스트르'''<small>(Castelmonastre)</small>는 크리상치아 동부의 대공작령이다. 어원은 '성(城)과 수도원(修道院)'. (castellum + monasterium) | ||
== {{ | == {{국호|베아트바크 대공작령}} == | ||
[[파일:Beatebacque flag.svg]] | [[파일:Beatebacque flag.svg]] | ||
'''베아트바크'''<small>(Beatebacque)</small>는 | '''베아트바크'''<small>(Beatebacque)</small>는 크리상치아 남부의 대공작령이다. 어원은 '축복받은 포도밭'. (beatus + bacchus) | ||
== {{ | == {{국호|스트리지외쥬 대공작령}} == | ||
[[파일:Strisieuge flag.svg]] | [[파일:Strisieuge flag.svg]] | ||
'''스트리지외쥬'''<small>(Strisieuge)</small>는 | '''스트리지외쥬'''<small>(Strisieuge)</small>는 크리상치아 남부의 대공작령이다. 어원은 '능선(稜線)의 뿌리'. (stirps + jugis) | ||
== {{ | == {{국호|페르티푀브 대공작령}} == | ||
[[파일:pertifeuve flag.svg]] | [[파일:pertifeuve flag.svg]] | ||
'''페르티푀브'''<small>(Pertifeuve)</small>는 | '''페르티푀브'''<small>(Pertifeuve)</small>는 크리상치아 남부의 대공작령이다. 어원은 '태양으로 뻗은 땅'. (pertineo + Phoebus) |
2024년 6월 26일 (수) 20:23 기준 최신판
![]() Regnum Chrisancthésis |
---|
크리상치아 왕국 · 크리상치아어 · 보편 정교 · 지리 · 문화 |
크리상치아 왕국의 행정구역은 14개의 프랭치파테(대공작령, Principaté)로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프랭치파테는 뒤카테(공작령, Ducaté)로 나뉘며,[1] 각각의 뒤카테는 콤테(백작령, Cometé)로 나뉜다. 다만 관습적으로 인정되는 대공작령 및 공작령들은 영토의 넓이에 상관없이 인정된다. (헌법에 명시됨)
크리상치아 왕국의 대공작령 | |
---|---|
![]() | |
![]() | |
![]() |
|
글라치아크 대공작령
글라치아크(Glaciaque)는 크리상치아 최북단의 대공작령이다. 어원은 '어는 물'. (glaci- + aqua)
아그니유 대공작령
아그니유(Agníe)는 크리상치아 북서부의 대공작령이다. 어원은 '양의 땅'. (agnus)
베스프레스 대공작령
베스프레스(Vespresse)는 크리상치아 서부의 대공작령이다. 어원은 '밤'. (vesper)
솔타르몽트 대공작령
솔타르몽트(Soltarmonte)는 크리상치아 서부의 대공작령이다. 어원은 '외로운 산'. (solitarius + mons)
비르튀지유 대공작령
비르튀지유(Virtusíe)는 크리상치아 남서부의 대공작령이다. 어원은 '덕(德)'. (virtus)
파스트로페르트 대공작령
파스트로페르트(Pastroperte)는 크리상치아 서부의 대공작령이다. 어원은 '목가적인 아늑한 땅'. (pastoricum + opertum)
베르플로르 대공작령
베르플로르(Verflore)는 크리상치아 동부의 대공작령이다. 어원은 '봄의 꽃'. (ver + flos)
캉파그뉴 대공작령
캉파그뉴(Campagne)는 크리상치아 북부의 대공작령이다. 어원은 '평야'. (campania)
보노르 대공작령
보노르(Bonaure)는 크리상치아 북부의 대공작령이다. 어원은 '좋은 바람'. (bona + aura)
오르트레지유 대공작령
오르트레지유(Hortregíe)는 크리상치아 동부의 국왕 직할령이다. 어원은 '왕의 뜰'. (hortus + regis)
콩세크라테
콩세크라테(Consécraté)는 크리상치아 왕국의 수도이다. 어원은 '봉헌된'.
카스텔모나스트르 대공작령
카스텔모나스트르(Castelmonastre)는 크리상치아 동부의 대공작령이다. 어원은 '성(城)과 수도원(修道院)'. (castellum + monasterium)
베아트바크 대공작령
베아트바크(Beatebacque)는 크리상치아 남부의 대공작령이다. 어원은 '축복받은 포도밭'. (beatus + bacchus)
스트리지외쥬 대공작령
스트리지외쥬(Strisieuge)는 크리상치아 남부의 대공작령이다. 어원은 '능선(稜線)의 뿌리'. (stirps + jugis)
페르티푀브 대공작령
페르티푀브(Pertifeuve)는 크리상치아 남부의 대공작령이다. 어원은 '태양으로 뻗은 땅'. (pertineo + Phoebus)
- ↑ 뒤카테 중에는 자치시나 주교령 등도 있으며, 이는 엄밀히 '공작령'이라는 이름에 맞지 않으므로 그러한 뒤카테들은 '뒤카테'라고 불러지지 않으나, 다른 뒤카테들과 함께 분류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