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언어 정보 | 이름 = 신듀킷 | 자기이름 = sindjuqit | 지역 = {{국기|가베 제국}} 북부 | 문자 = 라틴 문자 | 계통1 = 가베 어족 | 계통2 = 아우크어† | 계통3 = 신더어†, 기르긴어† }} ==개요== 가베어의 북부 방언이다. 가베문자를 사용하는 가베어와 달리 라틴 문자를 사용한다. ==음운== 추가예)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 이름 = 신듀킷
| 이름 = 신듀킷
| 자기이름 = sindjuqit
| 자기이름 = sindjuqit
| IPA = sindʲuqit
| 그림 =
| 그림 설명 =
| 그림 크기 =
| 나라 =
| 지역 = {{국기|가베 제국}} 북부
| 지역 = {{국기|가베 제국}} 북부
| 문자 = [[라틴 문자]]
| 민족 =
| 계통1 = 가베 어족
| 인구 =
| 어순 =
| 유형 =
| 사멸 =
| 계통색 = 가베어족
| 계통1 = 가베어족
| 계통2 = 아우크어†
| 계통2 = 아우크어†
| 계통3 = 신더어†, 기르긴어†
| 계통3 = 신더어†, 기르긴어†
| 초기 =
| 언어코드 = GA-JY
| 사전 =
| 하위분류 =
| 공용나라 =
| 표준 =
| 방언 =
| 표기문자 = [[라틴 문자]]
}}
}}


==개요==
==개요==
[[가베어]]의 북부 방언이다. [[가베문자]]를 사용하는 가베어와 달리 [[라틴 문자]]를 사용한다.
[[가베어]]의 북부 방언이다. [[가베문자]]를 사용하는 가베어와 달리 [[라틴 문자]]를 사용한다.
음운이나 억양은 신더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나, 단어 합성은 기르긴어를 많이 닮았다.
두 언어간의 피진(Pidgin)에서 유래되어 퍼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음운==
==음운==
추가예
{{자음표
| a1 = .
| m = m
| a3 = .
| ɱ = m̃
| a5 = .
| a6 = .
| a7 = .
| n = n
| a9 = .
| a10 = .
| a15 = .
| a16 = .
| a17 = .
| ŋ = ñ
| a19 = .
| a20 = .
| a23 = .
| a24 = .
| a25 = .
| b = b
| p = p
| b3 = .
| b4 = .
| b5 = .
| b6 = .
| d = d
| t = t
| b9 = .
| b10 = .
| b15 = .
| b16 = .
| k = k
| ɡ = g
| q = q
| ɢ = g̃
| b23 = .
| b24 = .
| ʔ = `
| c1 = .
| p͡ɸ = f́
| c3 = .
| c4 = .
| c5 = .
| c6 = .
| t͡s = ŧ
| d͡z = đ
| t͡ʃ = ŧ̃
| c10 = .
| c15 = .
| c16 = .
| c17 = .
| c18 = .
| c19 = .
| c20 = .
| c23 = .
| c24 = .
| c25 = .
| e1 = .
| e2 = .
| f = f
| v = v
| θ = t̃
| ð = d̃
| s = s
| z = z
| ʃ = s̃
| ʒ = z̃
| e15 = .
| e16 = .
| x = x
| ɣ = x̃
| e19 = .
| ʁ = r
| ʜ = ħ
| e24 = .
| h = h
| f1 = .
| f2 = .
| f3 = .
| f4 = .
| f5 = .
| f6 = .
| ɬ = ł
| f8 = .
| f9 = .
| f10 = .
| f15 = .
| f16 = .
| f17 = .
| f18 = .
| f19 = .
| f20 = .
| f23 = .
| f24 = .
| f25 = .
| g1 = .
| g2 = .
| g3 = .
| g4 = .
| g5 = .
| g6 = .
| g7 = .
| g8 = .
| g9 = .
| g10 = .
| g15 = .
| j = j
| g17 = .
| ɰ = w̃
| g19 = .
| g20 = .
| g23 = .
| g24 = .
| g25 = .
| i1 = .
| i2 = .
| i3 = .
| i4 = .
| i5 = .
| i6 = .
| ɾ = r̃
| i8 = .
| i9 = .
| i10 = .
| i15 = .
| i16 = .
| i17 = .
| i18 = .
| i19 = .
| i20 = .
| i23 = .
| i24 = .
| i25 = .
| k1 = .
| k2 = .
| k3 = .
| k4 = .
| k5 = .
| r = rl
| k7 = .
| k8 = .
| k9 = .
| k10 = .
| k15 = .
| k16 = .
| k17 = .
| k18 = .
| k19 = .
| ʀ = q̃
| k23 = .
| k24 = .
| k25 = .
| m1 = .
| m2 = .
| m3 = .
| m4 = .
| m5 = .
| m6 = .
| ǃ = c
| m8 = .
| m9 = .
| m10 = .
| m15 = .
| m16 = .
| m17 = .
| m18 = .
| m19 = .
| m20 = .
| m23 = .
| m24 = .
| m25 = .
| k͡p = p̃
| o2 = ,
| o3 = .
| o4 = .
| q1 = .
| w = w
| q3 = .
| ɥ = u.
}}
이외에도 c̃[f͡θ]라고 ㅊ비슷하게 들리는 이중조음자음도 있다. (예- ì́c̃i [ʔiˈf͡θi])
 
{{모음표
| i = i
| y = y
| ɨ = ɨ
| a6 = .
| ɯ = ṵ
| u = u
| e = e
| ø = o̰
| c5 = .
| c6 = .
| c9 = .
| o = o
| ɛ = ḛ
| e2 = .
| e5 = .
| e6 = .
| ʌ = a̰
| e10 = .
| a = a
| g2 = .
| g5 = .
| g6 = .
| g9 = .
| g10 = .
}}
 
===초분절음소===
4개의 성조가 있다. 첫 모음에 성조가 붙는다.
평음(a), 높은 음(ā), 높아지는 음(á). 장음(ä)이다.
장음은 ā를 á의 길이만큼 길게 발음한 것이다.
 
===다이어크리틱 중복===
다이어크리틱은 변음가기호(~) - 성조기호(-) - 성문음기호(`)
성문음은 붙는 모음에 `(grave)를 붙인다. 만약 장음 기호나 높아지는 음 기호와 겹쳐 가독성이 떨어지면 둘을 합쳐 각각 double grave(  ̏)와 caron(  ̌)로 표기한다.

2023년 2월 5일 (일) 21:45 기준 최신판

+ 신듀킷
sindjuqit (IPA: sindʲuqit)
사용 지역 가베 제국 가베 제국 북부
언어 계통 가베어족
 아우크어†
  신더어†, 기르긴어†
   신듀킷
언어코드 GA-JY
사전 [ 신듀킷_사전]

개요

가베어의 북부 방언이다. 가베문자를 사용하는 가베어와 달리 라틴 문자를 사용한다.

음운이나 억양은 신더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나, 단어 합성은 기르긴어를 많이 닮았다. 두 언어간의 피진(Pidgin)에서 유래되어 퍼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음운


자음 +

양순
순치

치경
후치경
경구개
연구개
구개수
후두개
성문





















m
⟨m⟩

ɱ
⟨m̃⟩



n
⟨n⟩





ŋ
⟨ñ⟩






p
⟨p⟩
b
⟨b⟩




t
⟨t⟩
d
⟨d⟩




k
⟨k⟩
ɡ
⟨g⟩
q
⟨q⟩
ɢ
⟨g̃⟩


ʔ
⟨`⟩


p͡ɸ
⟨f́⟩





t͡s
⟨ŧ⟩
d͡z
⟨đ⟩
t͡ʃ
⟨ŧ̃⟩













f
⟨f⟩
v
⟨v⟩
θ
⟨t̃⟩
ð
⟨d̃⟩
s
⟨s⟩
z
⟨z⟩
ʃ
⟨s̃⟩
ʒ
⟨z̃⟩


x
⟨x⟩
ɣ
⟨x̃⟩

ʁ
⟨r⟩
ʜ
⟨ħ⟩

h
⟨h⟩
설측








ɬ
⟨ł⟩
























j
⟨j⟩

ɰ
⟨w̃⟩











ɾ
⟨r̃⟩



















r
⟨rl⟩








ʀ
⟨q̃⟩










ǃ
⟨c⟩












양순연구개
양순경구개


k͡p
⟨p̃⟩





w
⟨w⟩

ɥ
⟨u.⟩

이외에도 c̃[f͡θ]라고 ㅊ비슷하게 들리는 이중조음자음도 있다. (예- ì́c̃i [ʔiˈf͡θi])

+ 모음


전설
중설
후설








i
⟨i⟩
y
⟨y⟩
ɨ
⟨ɨ⟩

ɯ
⟨ṵ⟩
u
⟨u⟩


e
⟨e⟩
ø
⟨o̰⟩



o
⟨o⟩


ɛ
⟨ḛ⟩



ʌ
⟨a̰⟩

a
⟨a⟩




초분절음소

4개의 성조가 있다. 첫 모음에 성조가 붙는다. 평음(a), 높은 음(ā), 높아지는 음(á). 장음(ä)이다. 장음은 ā를 á의 길이만큼 길게 발음한 것이다.

다이어크리틱 중복

다이어크리틱은 변음가기호(~) - 성조기호(-) - 성문음기호(`) 성문음은 붙는 모음에 `(grave)를 붙인다. 만약 장음 기호나 높아지는 음 기호와 겹쳐 가독성이 떨어지면 둘을 합쳐 각각 double grave( ̏)와 caron( ̌)로 표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