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트.svg 상위 문서 : 마작

-------- 
루시코와/Rusikowa
--------
도시/지리 슬라이 / 포위프 / 츠리메 / 세베사냐
신화 루시로 / 슬루 루시치
언어/문자 로포나어 / 루시메즈 / 세베나어
문화 샤모초
[ 관련 틀 ]

연방마작루시코와에서 유래한 방식의 마작이다. 1부터 7까지의 수패를 사용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연방마작
[ 펼치기 · 접기 ]
수패 mido bea resa ica reu fulu šiči
ma Sch-mahjong-1m.png Sch-mahjong-2m.png Sch-mahjong-3m.png Sch-mahjong-4m.png Sch-mahjong-5m.png Sch-mahjong-6m.png Sch-mahjong-7mr.png
du Sch-mahjong-1p.png Sch-mahjong-2p.png Sch-mahjong-3p.png Sch-mahjong-4p.png Sch-mahjong-5p.png Sch-mahjong-6p.png Sch-mahjong-7pr.png
ša Sch-mahjong-1s.png Sch-mahjong-2s.png Sch-mahjong-3s.png Sch-mahjong-4s.png Sch-mahjong-5s.png Sch-mahjong-6s.png Sch-mahjong-7sr.png
자패 muri creri bus robe bağu recade zoa
mez Sch-mahjong-1z.png Sch-mahjong-2z.png Sch-mahjong-3z.png Sch-mahjong-4z.png Sch-mahjong-5z.png Sch-mahjong-6z.png Sch-mahjong-7z.png

1판

  • [화료불능] 레차데(竜, recade, 도라)는 도라 표시패의 다음 패를 가지고 화료한 경우에 1판씩 성립한다. 단, 북이 표시패일 경우 백이 도라이고, 중이 표시패일 경우 동이 도라이다.
  • [멘젠] 이지마(自摸, ijima, 멘젠쯔모)는 처음부터 끝까지 발성하지 않고 화료한 경우에 성립한다.
  • 레쟈(嶺上, reja, 영상개화)는 영상패로 화료한 경우에 성립한다.
  • 사추(搶杠, sacu, 창깡)는 다른 사람이 가깡했을 때에 가깡한 패가 자신의 오름패인 경우에 성립한다.
  • 시메아야-레지노(海底撈月, šimeaya-lejino, 해저로월)는 패산의 가장 마지막 패를 가져와서 쯔모로 화료한 경우에 성립한다.
  • 비고아야-레지나(河底撈魚, bigoaya-lejina, 하저로어)는 가장 마지막 버림패를 가져와서 론으로 화료한 경우에 성립한다.
  • 졔페페(役牌, jepefe, 역패)는 백, 발, 중으로 이루어진 커쯔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 각각 1판씩 성립한다.
  • 치사수프페페(㘯风牌, čisasufupefe, 장풍패)는 현재 국의 장풍을 나타내는 자패를 가지고 화료한 경우에 성립한다.
  • 레아카수프페페(自风牌, reakasufupefe, 자풍패)는 자신의 자리를 나타내는 자패를 가지고 화료한 경우에 성립한다.
  • 투리스(对待, tulis, 단기)는 오름패가 또이쯔를 형성하는 경우에 성립한다.
  • 이차구(四順, icağu)는 먼쯔가 모두 슌쯔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화료한 경우에 성립한다.

2판

  • 투치시치(断幺七, tučšičii)는 2부터 6까지의 수패만을 가지고 화료한 경우에 성립한다.
  • 뱌레차데(淸竜, byarecade)는 1부터 7까지의 같은 색 수패를 모두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화료한 경우에 성립한다.
  • 이차시(四刻, icaši, 또이또이)는 먼쯔가 모두 커쯔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화료한 경우에 성립한다.
  • [멘젠] 시치투(七对, šičitu, 치또이쯔)는 먼쯔가 없이 14개의 패가 모두 또이쯔로 이루어진 경우에 성립한다.
  • 레사다바-니코구(三色如順, resadaba-nikoğu, 삼색동순)는 3개의 슌쯔가 같은 수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에 성립한다.
  • 치처루두(浊老頭, šicəludu, 청노두)는 모든 손패를 1, 7, 자패로 만들면 성립한다
  • 미도피수(一盃口, midopisu, 이페코)는 동일한 슌쯔를 2개 가진 상태에서 화료한 경우에 성립한다.

3판

  • 레사다바-니코시(三色如刻, resadaba-nikoši, 삼색동각)는 3개의 커쯔가 같은 수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에 성립한다.
  • 레사추(三杠, resacu, 산깡쯔)는 깡쯔를 3개 만들고 화료한 경우에 성립한다.
  • 레사페쥬다시(三内刻, resapejudaši, 산안커)는 3개의 안커를 가진 상태로 화료하면 성립한다.
  • 시처미도다바(浊一色, šicəmidodaba, 혼일색)는 한 종류의 수패와 자패만으로 화료한 경우에 성립한다.
  • 샤레브(小三本, šalebu, 소삼원)는 백, 발, 중 중 2개를 커쯔 또는 깡쯔로 가지고 나머지를 또이쯔로 가진 상태에서 화료하면 성립한다.
  • 샤이수(小四风, šaisu, 소사희)는 동, 남, 서, 북 중 3개를 커쯔 또는 깡쯔로 가지고 나머지를 또이쯔로 가진 상태에서 화료하면 성립한다.

6판

  • 뱌미도다바(淸一色, byamidodaba, 청일색)는 한 종류의 수패만 가지고 화료한 경우에 성립한다.
  • 니줄리(人和, nizuli, 인화)는 게임이 시작하고 타가의 첫 타패로 론 화료한 경우에 성립한다.
  • 베아피수(二盃口, beapisu, 량페코)는 동일한 슌쯔를 2쌍 가진 상태에서 화료한 경우에 성립한다.

역만

  • 렐리줄리(地和, relizuli, 지화)는 게임이 시작하고 처음으로 받은 손패로 자子가 화료한 경우에 성립한다.
  • [멘젠] 치라마수(囯士無双, čiramasu, 국사무쌍)는 1만, 7만, 1통, 7통, 1삭, 7삭, 동, 남, 서, 북, 백, 발, 중을 모두 가지고 그중에 하나를 더 가진 상태에서 화료한 경우에 성립한다.
  • [멘젠] 이차페쥬다시(四内刻, icapejudaši, 사암각)는 4개의 안커를 가진 상태로 화료하면 성립한다.
  • 이차추(四杠, icacu, 쓰깡쯔)는 깡쯔를 4개 만들고 화료한 경우에 성립한다.
  • 토레브(大三本, tolebu, 대삼원)는 백, 발, 중을 모두 커쯔 또는 깡쯔로 가진 상태에서 화료하면 성립한다.
  • 시치아샤투(七联对, šičiašaətu, 연칠대)는 1부터 7까지를 같은 수로 또이쯔로 만들어 화료한 경우에 성립한다.
  • [멘젠] 시치레프치(七蓮珤灯, šičilepuči, 구련보등)는 1112344456777과 같은 순서로 수패를 모두 모으고 같은 종류의 수패를 하나 더 모은 경우에 성립한다.
  • 뱌루두(淸老頭, byaludu, 청노두)는 모든 손패를 1, 7패로 만들면 성립한다.
  • 메미다(字一色, memida, 자일색)는 동, 남, 서, 북, 백, 발, 중만으로 이루어진 손패로 화료하면 성립한다.
  • 토바이차수프(大四风, tobaicasufu, 대사희)는 동, 남, 서, 북을 모두 커쯔 또는 깡쯔로 가진 상태에서 화료하면 성립한다.
  • 야미다(玄一色, yamida, 흑일색)는 2통, 4통, 풍패만을 이용하여 화료한 경우에 성립한다.

더블 역만

  • 시줄리(天和, šizuli, 천화)는 게임이 시작하고 처음으로 받은 손패로 오야가 화료한 경우에 성립한다.
  • 이차페쥬다시-미도리스(四内刻一待, icapejudaši-midolis, 사암각단기)는 4개의 안커를 가진 상태로 또이쯔 대기 화료하면 성립한다.
  • [멘젠] 시치아샤투-이차파파리스(七联对四番待, šičiašaətu-icafafalis)는 시치소처투를 4 단기대기로 멘젠 쯔모화료한 경우에 성립한다.
  • [멘젠] 치라마수-차이리스(囯士無双丙待, čiramasu-caxilis, 국사무쌍 13면대기)는 국사무쌍을 13면 대기로 화료한 경우에 성립한다.
  • [멘젠] 아터-시치레프치(純七蓮珤灯atə-šičilepuči, 순정구련보등)는 시치레프치를 7면 대기로 화료한 경우에 성립한다.
  • [멘젠] 시치토바피스(七大星, šičitobapis, 대칠성)는 동, 남, 서, 북, 백, 발, 중을 모두 또이쯔로 가진 상태로 화료한 경우에 성립한다.
  • [멘젠] 스미다(綠一色, smida, 녹일색)는 2삭, 3삭, 4삭, 6삭, 발만을 이용하여 화료한 경우에 성립한다.

도보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