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에서는 광부위키 사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문법 도움말
문서 만들기
- 광부위키에 로그인하고 페이지 상단의 "광부위키 검색"에 만들 문서의 이름을 검색한다.
- 이 위키에 "(문서 이름)" 문서를 만드세요!의 (문서 이름) 부분을 클릭하면 새로운 문서를 만들 수 있다.
텍스트 서식
서식 종류 | 입력한 내용 |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 |
---|---|---|
기본 글씨 | 안녕하세요 |
안녕하세요 |
굵은 글씨 | '''안녕하세요''' |
안녕하세요 |
기울인 글씨 | ''안녕하세요'' |
안녕하세요 |
색 글씨 | {{글씨 색|red|안녕하세요}} |
안녕하세요 |
취소선 | <s>안녕하세요</s> |
|
코드블록 | <code>안녕하세요</code> |
안녕하세요
|
위키문법 해제 | <nowiki>''안녕하세요''</nowiki> |
''안녕하세요'' |
참조
입력한 내용 | 링크되는 문서 |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 |
---|---|---|
[[광부위키]] |
광부위키 | 광부위키 |
[[광부위키|위키]] |
광부위키 | 위키 |
[https://google.com/] |
구글 홈페이지 | [1] |
[https://google.com/ 구글] |
구글 홈페이지 | 구글 |
넘겨주기 문서
자소크 철학단은 자소크 문서에 접속해도 자소크 철학단에 도착할 수 있는데, 이건 자소크 문서가 넘겨주기 문서로 설정되었기 때문이다.
문서를 넘겨주기 문서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문서의 본문에 다음 문법을 사용한다.
#넘겨주기 [[(넘겨줄 문서 이름)]]
예를 들어서, 자소크문서에는 #넘겨주기 [[자소크 철학단]]
이라고 써있다.[1]
헤더
입력한 내용 |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 |
---|---|
== 개요 == 안녕하세요! === 대박 === 이것은 3단계 헤더 ==== 4단계 헤더 ==== ===== 5단계 헤더 ===== ====== 6단계 헤더 ====== |
![]() |
목록
입력한 내용 |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 |
---|---|
* 안녕하세요 * 안녕하시답니다 ** 이것은 안녕한 나 *** 대박인 나 ** 후훗 * 오호호 ** 헤헤 |
|
# 안녕하세요 # 안녕하시답니다 ## 이것은 안녕한 나 ### 대박인 나 ## 후훗 # 오호호 ## 헤헤 |
|
각주
입력한 내용 |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 |
---|---|
이것<ref>짜잔!</ref>은 각주<ref>그렇구나!</ref>
|
이것[2]은 각주[3] |
이렇게<ref name="how">어떻게?</ref> 하면 각주 두 개를 하나로 묶을 수 있어요.<ref name="how" />
|
이렇게[4] 하면 각주 두 개를 하나로 묶을 수 있어요.[4] |
이렇게<ref name="how2">짠!</ref> 해도 돼요<ref name="how2">짠!</ref>
|
이렇게[5] 해도 돼요[5] |
이렇게<ref name="how3">오잉?</ref>는 안 돼요<ref name="how3">힝</ref>
|
이렇게[6]는 안 돼요[6] |
각주에 name 속성을 사용할 때에는 같은 name 속성 각주에 딸린 내용이 달라져서는 안 된다.
미디어
미디어 파일을 업로드하고 문서 내에 포함하기 위해서는 일단 제이위키에 파일을 업로드해야 한다. 특수:올리기 문서 또는 페이지 상단의 파일 업로드 탭을 클릭하여 문서를 업로드할 수 있다.
파일 이름을 "자소크.png"라고 올리면 문서 내에서 [[파일:자소크.png]]
라고 입력해서 파일을 붙여넣을 수 있다.
입력한 내용 |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 |
---|---|
[[파일:Tasdia de sat.png]]
|
![]() |
미디어 크기 조절
미디어 파일을 첨부할 때에 파일 이름 뒤쪽에 |
으로 구분하여 여러가지 속성 값을 추가할 수 있다.
입력한 내용 |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 |
---|---|
[[파일:Tasdia de sat.png]] |
![]() |
[[파일:Tasdia de sat.png|100px]] |
![]() |
[[파일:Tasdia de sat.png|150픽셀]] |
![]() |
표
기본 표
표는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만들 수 있다.
{| ! 참여 시점 ! 기여자 ! 창조 |- | 3025년 | [[스치]] | {{국기|자소크 철학단}}, {{국기|시메타시스}} |- | 3398년 | [[Paul-Louis]] | {{국기|크리상테스 왕국}} |}
참여 시점 | 기여자 | 창조 |
---|---|---|
3025년 | 스치 | |
3398년 | Paul-Louis |
위키테이블 표 디자인
광부위키에서는 광부위키 표준 표 디자인을 제공한다. 표에 wikitable
클래스를 적용하여 적용할 수 있다.
{| class="wikitable" ! 참여 시점 ! 기여자 ! 창조 |- | 3025년 | [[스치]] | {{국기|자소크 철학단}}, {{국기|시메타시스}} |- | 3398년 | [[Paul-Louis]] | {{국기|크리상테스 왕국}} |}
참여 시점 | 기여자 | 창조 |
---|---|---|
3025년 | 스치 | |
3398년 | Paul-Louis |
스타일 속성 적용
클래스를 적용한 것과 비슷한 방식으로 CSS 스타일 속성도 적용할 수 있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참여 시점 ! 기여자 ! style="width: 600px;" | 창조 |- | 3025년 | style="background-color: #fdde59; font-weight: bold;" | [[스치]] | {{국기|자소크 철학단}}, {{국기|시메타시스}} |- | 3398년 | [[Paul-Louis]] | {{국기|크리상테스 왕국}} |}
참여 시점 | 기여자 | 창조 |
---|---|---|
3025년 | 스치 | |
3398년 | Paul-Louis |
한 줄에 한 행 입력
{| class="wikitable" ! 참여 시점 !! 기여자 !! 창조 |- | 3025년 || [[스치]] || {{국기|자소크 철학단}}, {{국기|시메타시스}} |- | 3398년 || [[Paul-Louis]] || {{국기|크리상테스 왕국}} |}
참여 시점 | 기여자 | 창조 |
---|---|---|
3025년 | 스치 | |
3398년 | Paul-Louis |
행, 열 합치기
{| class="wikitable" ! colspan="6" | 1 × 6 |- | colspan="2" rowspan="2" | 2 × 2 | rowspan="3" | 3 × 1 | 1 × 1 (1) || 1 × 1 (2) || 1 × 1 (3) |- | 1 × 1 (4) || 1 × 1 (5) || 1 × 1 (6) |- | 1 × 1 (7) || 1 × 1 (8) || 1 × 1 (9) || 1 × 1 (10) || 1 × 1 (11) |}
1 × 6 | |||||
---|---|---|---|---|---|
2 × 2 | 3 × 1 | 1 × 1 (1) | 1 × 1 (2) | 1 × 1 (3) | |
1 × 1 (4) | 1 × 1 (5) | 1 × 1 (6) | |||
1 × 1 (7) | 1 × 1 (8) | 1 × 1 (9) | 1 × 1 (10) | 1 × 1 (11) |
행 정렬
{| class="wikitable sortable" ! 열 1 ! 열 2 ! class="unsortable" | 비고 |- | 21 || 32 || |- | 30 || 8 || 헐 |- | 98 || 1 || 대박 |- | 50 || 27 || |- | 12 || 90 || |}
열 1 | 열 2 | 비고 |
---|---|---|
21 | 32 | |
30 | 8 | 헐 |
98 | 1 | 대박 |
50 | 27 | |
12 | 90 |
틀
틀은 "틀" 문서에 있는 내용을 불러올 때에 사용한다.
예를 들어, 틀:도움말/틀1이라는 문서에 "안녕하세요"라고 적어놓고 {{도움말/틀1}}
또는 {{틀:도움말/틀1}}
이라고 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입력한 내용 |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 |
---|---|
{{도움말/틀1}} |
안녕하세요 |
{{틀:도움말/틀1}} |
안녕하세요 |
틀 변수
틀:틀 링크
커스텀 토글
기본적인 펼치기·접기
펼치기·접기는 펼치고 접을 내용을 div
태그로 감싸고, 태그에 mw-collapsible
클래스를 추가하면 된다.
원본 코드 | 미리보기 |
---|---|
신나는 [[광부위키]] 편집 <div class="mw-collapsible"> 이것은 [[스치]]가 작성한 예시 문장 </div> 다시 신나는 [[광부위키]] 편집 |
신나는 광부위키 편집
이것은 스치가 작성한 예시 문장 다시 신나는 광부위키 편집 |
문단을 기본적으로 접어두기 위해서는 mw-collapsed
클래스를 사용할 수 있다.
원본 코드 | 미리보기 |
---|---|
신나는 [[광부위키]] 편집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이것은 [[스치]]가 작성한 예시 문장 </div> 다시 신나는 [[광부위키]] 편집 |
신나는 광부위키 편집
이것은 스치가 작성한 예시 문장 다시 신나는 광부위키 편집 |
표에 펼치기·접기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표 선언 부분에 나타나는 class="wikitable"
에 새로운 클래스 mw-collapsible
를 추가한다.
원본 코드 | 미리보기 | ||||
---|---|---|---|---|---|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 스치 | 바보 |- | 아니다 | ㅡㅡ |} |
|
커스텀 펼치기·접기
커스텀 펼치기·접기를 활용하면 [여기]를 클릭해도, [여기]를 클릭해도 동작하는 펼치기·접기를 만들 수 있다.
이 부분이 생겼다 없어졌다 하지요
커스텀 펼치기·접기 문법에서 스위치(토글)로 작동하는 부분은 mw-customtoggle-<이름>
클래스를 가지게 된다. 여기서 <이름>
은 본인이 직접 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실제로 적용되는 클래스는 mw-customtoggle-sch-1
, mw-customtoggle-20220422-1
과 같은 식이 된다.
또한, 내용(콜랩시블)으로 작동하는 부분은 mw-customcollapsible-<이름>
라는 아이디를 가지게 된다. 또한, mw-collapsible
클래스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여기서 <이름>
에 해당하는 부분은 토글에서 설정한 이름과 같은 것을 사용한다.
아이디는 문서 내에 단 하나의 태그에만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서술과 겹치지 않게 이름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틀이나 표에서 다른 사람이 사용한 펼치기·접기 이름과 겹치지 않게 하기 위해서 스치는 수정한 날짜를 이름에 담는다. 위에 있는 펼치기·접기 예제에서는 20220422_help_wiki_syntax-1
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원본 코드 | 미리보기 |
---|---|
<span class="mw-customtoggle-20220422_help_wiki_syntax-2">[이 부분]</span>을 클릭해서 작동해용. <div class="mw-collapsible" id="mw-customcollapsible-20220422_help_wiki_syntax-2"> [이 부분이 숨겨질 것이오] </div> |
[이 부분]을 클릭해서 작동해용.
[이 부분이 숨겨질 것이오] |
이것을 활용하면 다음과 같은 서술을 할 수 있다.
무슨무슨 정보 | ||||||||||||
---|---|---|---|---|---|---|---|---|---|---|---|---|
[역사] · [문화] · [지리]
|
다크 모드 관련
배경이 투명한 이미지 첨부
배경이 투명한 이미지에 검정색으로 본문이 작성되어있는 경우, 다크 모드에서는 읽기가 힘들다. 이러한 미디어의 경우 배경 색을 하얀색으로 깔아 다크 모드에서도 미디어가 잘 보이게 하거나, 이미지에 invert-image
클래스를 적용하여 다크 모드에서는 색이 반전되도록 한다.
다음과 같이 이미지를 첨부하면 이미지에 클래스를 적용할 수 있다.
입력한 내용 | 미리보기 | 효과가 적용되지 않은 동일한 사진 |
---|---|---|
<div class="invert-image"> [[파일:세행진가악보.svg|300픽셀]] </div> |
주요 틀
자세한 내용은 광부위키:도움말/주요 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