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내용은 메타계의 일을 다룹니다.
"지구? 그게 뭐지?"

사트학은 메타계의 관점에서 사트에 대해 탐구하는 학문으로, 메타계의 기여자가 다른 기여자와 이루는 관계, 기여자가 사트 세계관과 이루는 관계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사트 커뮤니티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구한다. 사트학의 탐구 범위는 다음과 같다.

  • 문학 작품으로서의 사트의 가치
  • 커뮤니티와 사회 현상으로서의 사트가 기여자에게 미치는 영향
  • 사트의 통시적 변화
  • 사트 편집 지침의 개발

사트란 무엇인가?

사트는 기상천외한 세계이자, 아늑한 커뮤니티이자, 아름다운 예술 작품이며, 또한 세상에서 가장 재미있는 게임이다.

 
— 사트학자 모눈눈

사트는 문맥에 따라서 여러 가지 대상을 지칭한다.

  1. 메타계에서, 사트 세계관을 지칭하는 말
  2. 메타계에서, 사트 세계관과 그와 관련된 커뮤니티 전체를 일컫는 말
  3. 사트계에서, 다메가시크와 라그마를 포함한 국제 사회 전체를 지칭하는 말
  4. 사트계에서, 젤리b 행성을 지칭하는 말
  5. 자소크어로 '세계'를 뜻하는 말

사트학 문서에서, '사트'는 따로 설명이 없는 한 두번째 뜻으로 사용하며, 사트 세계관 자체를 지칭할 때는 '사트계'라고 한다.

사트의 구조

메타계

메타계는 추상적 개념인 사트가 실체화 되어 현실과 맞닿은 곳이자 맞닿은 현실 그 자체로, 광부위키, 사트 디스코드, 사트 기여자와 그의 역사를 포함한다.

사트계

중심 설정

중심 설정은 전체 사트계의 기반을 이루는 설정들로, 사트 초기에 만들어진 뒤 이후로는 거의 수정되지 않는다.

지역 설정

지역 설정은 사트계에서 양적으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설정으로, 각 기여자에 의해 독립적으로 작성된다.

교차 설정

교차 설정은 이벤트 또는 국제 단체와 같이 여러 지역 설정에 영향을 미치는 설정으로, 일부 기여자의 비정규적인 아이디어로 만들어지며 여러 지역 설정을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사트 기여자의 체험 단계 모델

사트 기여자의 체험 단계 모델은 사트의 기여자가 사트에 참여하면서 변화하는 과정을 모델링한 것으로, 사트학자 ??에 의해 고안되었다. 이 모델에서는 기여자가 사트를 무엇으로 인식하는지에 따라 단계를 구분한다.

  1. 관람기: 사트를 작품으로 받아들이며, 사트에 대해 호기심을 가지는 단계.
  2. 참여기: 사트를 가상 세계 및 놀이로 받아들이며, 사트에 직접 참여하는 단계.
  3. 창작기:

...작성중

지속 가능한 사트

모눈눈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트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높아지는 진입장벽

사트에 더 다양한 설정이 생겨나는 것은 좋은 현상이지만, 이는 새로운 기여자가 기존의 설정들을 숙지하는 부담을 증가시키고 진입장벽을 높일 수 있다.

해결 방안

꼭 알아야 하는 중심 설정, 각 지역 역사의 기반이 되는 설정, 각 문화의 세부사항 순으로 설정의 위계를 구분하고, 새로운 기여자가 순차적으로 알아갈 수 있도록 해야한다.

갱신되지 않는 기존 설정

사트는 여러 기여자가 각자 작성한 세계관이 모여 이루어진 공동 세계관이다. 그 덕분에 다양한 설정이 만들어졌지만, 한 지역 설정을 관리하던 기여자가 더이상 사트에 참여하지 않으면 그 설정이 더이상 심화, 발전되지 못하고 멈추는 단점이 나타난다. 최신 설정의 부재는 각 기여자가 교류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설정이 적어짐을 뜻하며, 각 설정이 고립되게 만들며, 또다시 기여자의 참여를 감소시키는 악순환을 발생시킨다.

해결 방안

...작성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