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워프게이트는 칼라만다리 연방의 주 이동수단으로, 워프스톤을 이용하여 두 공간을 잇는 공간전이 방식의 이동수단이다.
이론
칼라만다리 연방의 물리학자 아네티나스 아멜이 발표한 워프스톤 워프게이트에 대한 이론들에 따르면, 워프게이트의 작동원리는 다음과 같다.
현실성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며 현실성의 흐름은 왜곡을 행사한다. 100 아멜 이상의 현실성에서는 워프스톤이 붕괴하여 방사선과 함께 순수한 현실성이 되며, 0 이하의 현실성에서는 공간이 붕괴된다. 50보다 더 높은 아멜의 현실성을 유지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은 (7 * ((x-50) ^2))N 이며, 현실성의 흐름에 대한 반작용의 크기는 1/14 * x 이다.
- 현실성의 흐름을 자유자재로 다루는 행위를 마법이라 한다.
- 현실성은 워프스톤으로 변환 될 수 있다.
- 마법을 사용하면 공간이 불안정해진다.
- 워프게이트는 워프스톤을 이용하여 두 공간을 잇는 것이다.
- 워프게이트에서 출구가 생기지 않을 경우, 바이수구와 같은 참사가 일어날 수 있다.
- 바이수구는 출구가 생기지 않은 게이트로 추정된다.
- 워프스톤은 시간왜곡을 발생시키지 못한다.
- 칼라만다리의 평균 현실성은 60, 사트의 평균 현실성은 50이다
워프게이트 목록
(취소선은 비가동중이거나 철거된 워프게이트)
- 칼라만다리-메시나 워프게이트
- M12 워프게이트 L0 워프게이트
- 자소크-칼라만다리 워프게이트
K0 워프게이트 M2 워프게이트[1]
- 피페레-칼라만다리 워프게이트
- K1 워프게이트 M3 워프게이트
- 한카-칼라만다리 워프게이트
- K2 워프게이트 M4 워프게이트
- K5 워프게이트 M7 워프게이트
- K6 워프게이트 M8 워프게이트
- 에스테라스타-칼라만다리 워프게이트
- K3 워프게이트 M5 워프게이트
- 엔지-칼라만다리 워프게이트
- K9 워프게이트 M11 워프게이트
- 파룸-칼라만다리 워프게이트
- K4 워프게이트 M6 워프게이트
- 가린다리-칼라만다리 워프게이트
K8 워프게이트 M10 워프게이트[2]
- 디누단마-칼라만다리 워프게이트
- K0 워프게이트 M2 워프게이트
- 네이토르-칼라만다리 워프게이트
- K10 워프게이트 M13 워프게이트
- 칸다리-칼라만다리 워프게이트
- K7 워프게이트 M9 워프게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