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530번째 줄: 530번째 줄:
| 러냐어 =
| 러냐어 =
| 레프레누어 =
| 레프레누어 =
| 뤼미에르어 = r<ref name="불어 r">[[유성 치경 탄음]], 유성 치경 전동음]], [[무성 연구개 마찰음]], [[유성 연구개 마찰음]], [[무성 구개수 마찰음]], [[유성 구개수 마찰음]], [[유성 구개수 전동음]] 등 변이음이 다양함</ref>
| 뤼미에르어 = r<ref name="불어 r">[[유성 치경 탄음]], [[유성 치경 전동음]], [[무성 연구개 마찰음]], [[유성 연구개 마찰음]], [[무성 구개수 마찰음]], [[유성 구개수 마찰음]], [[유성 구개수 전동음]] 등 변이음이 다양함</ref>
| 무르무르어 =
| 무르무르어 =
| 미코로스 아케뒤 =
| 미코로스 아케뒤 =

2022년 8월 4일 (목) 10:26 판

자음
조음
위치
양순음 순치음 설순음
치음 치경음 후치경음
권설음 치경구개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구개수음 인두음
후두개음 성문음 이중조음 자음
조음
방법
비음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접근음 탄음
전동음 내파음 흡착음
방출음 충격음 틀 수정하기
국제음성기호
조음
방향
중설음 설측음
성대
울림
유성음 무성음
기식
여부
유기음 평음
무기음 비음
비음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접근음 탄음 내파음 흡착음
ŋ̊ k k͡x
k͡ʟ̝̊
x
ʟ̝̊
ɠ̊ ʞ
ŋ ɡ ɡ͡ɣ
ɡ͡ʟ̝
ɣ
ʟ̝
ɰ
ʟ
ʟ̆ ɠ


개요

軟口蓋音 / Velar consonant / 여린입천장소리

무성 연구개 비음

언어별 표기
국제음성기호 ŋ̊
헤멜바르트 제국
트라벨레메
nk의 n

유성 연구개 비음

언어별 표기
국제음성기호 ŋ
미세자리아 연합
뎅구르어
q
뤼미에르 공화국
뤼미에르어
-m, -n 등 비모음의 방언
바란 연방
바란어
ng
피페레 제국
우이뇨르데
에괴자욤어
q
자소크 철학단
자소크어
nn
주노데 왕국
주노데어
q
헤멜바르트 제국
트라벨레메
ng
제리드발로타 공화국
파셀어
ğ
대한민국
한국어
-ㅇ
영국
영어
ng
일본
일본어
が행 비탁음의 자음, 연구개음(か/が행) 앞의 ん
중화민국
대만어
ㄫ, ng
안드로
안드로어
-d
메다
메다어
-j

무성 연구개 파열음

언어별 표기
국제음성기호 k
미세자리아 연합
뎅구르어
k
뤼미에르 공화국
뤼미에르어
c, q, qu, (k)
바란 연방
바란어
k, 어말 g
피페레 제국
우이뇨르데
에괴자욤어
k, kh(kʰ)
자소크 철학단
자소크어
k, q(k~kʰ)
주노데 왕국
주노데어
k, kh(kʰ)
헤멜바르트 제국
트라벨레메
c, k
제리드발로타 공화국
파셀어
k, q(kʰ)
앙둔 제국
헤이어
kr, qr(kʰ) (국내표준)
k, hk(kʰ) (국제표준)
대한민국
한국어
ㄱ, ㄲ, ㅋ
영국
영어
k, kh
일본
일본어
か행의 자음
중화민국
대만어
ㄎ, k, kh(kʰ)
중화인민공화국
중국어
g(k), k(kʰ)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어
ك ككك
안드로
안드로어
r, R, z
메다
메다어
k, kk, 0

유성 연구개 파열음

언어별 표기
국제음성기호 ɡ
뤼미에르 공화국
뤼미에르어
g, gu
피페레 제국
우이뇨르데
에괴자욤어
g, gh(ɡʱ)
자소크 철학단
자소크어
g
주노데 왕국
주노데어
g, gh(ɡʱ)
헤멜바르트 제국
트라벨레메
g
제리드발로타 공화국
파셀어
g
앙둔 제국
헤이어
gr (국내표준)
g (국제표준)
대한민국
한국어
영국
영어
g
일본
일본어
が행의 자음
중화민국
대만어
ㄍ, g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어
ج ججج[1]
안드로
안드로어
r
메다
메다어
k

무성 연구개 파찰음

언어별 표기
국제음성기호 k͡x

유성 연구개 파찰음

언어별 표기
국제음성기호 ɡ͡ɣ

무성 설측 연구개 파찰음

언어별 표기
국제음성기호 k͡ʟ̝̊

유성 설측 연구개 파찰음

언어별 표기
국제음성기호 ɡ͡ʟ̝

무성 연구개 마찰음

언어별 표기
국제음성기호 x
뤼미에르 공화국
뤼미에르어
r[2]
제리드발로타 공화국
파셀어
kh
앙둔 제국
헤이어
x (국내표준)
kh (국제표준)
대한민국
한국어
중화인민공화국
중국어
h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어
خ خخخ[3]
안드로
안드로어
gm
메다
메다어
mg

유성 연구개 마찰음

언어별 표기
국제음성기호 ɣ
뤼미에르 공화국
뤼미에르어
r[2]
제리드발로타 공화국
파셀어
gh
앙둔 제국
헤이어
h
대한민국
한국어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어
غ غغغ[4]
안드로
안드로어
dm
메다
메다어
jg

무성 설측 연구개 마찰음

언어별 표기
국제음성기호 ʟ̝̊

유성 설측 연구개 마찰음

언어별 표기
국제음성기호 ʟ̝

연구개 접근음

언어별 표기
국제음성기호 ɰ
피페레 제국
우이뇨르데
에괴자욤어
y
제리드발로타 공화국
파셀어
wh
앙둔 제국
헤이어
w
대한민국
한국어
안드로
안드로어
dml
메다
메다어
j8

설측 연구개 접근음

언어별 표기
국제음성기호 ʟ

설측 연구개 탄음

언어별 표기
국제음성기호 ʟ̆

무성 연구개 내파음

언어별 표기
국제음성기호 ɠ̊

유성 연구개 내파음

언어별 표기
국제음성기호 ɠ

연구개 흡착음

언어별 표기
국제음성기호 ʞ

각주

  1. 유성 후치경 파찰음, 유성 후치경 마찰음, 유성 경구개 파열음 표기에도 쓰임
  2. 2.0 2.1 유성 치경 탄음, 유성 치경 전동음]], 무성 연구개 마찰음, 유성 연구개 마찰음, 무성 구개수 마찰음, 유성 구개수 마찰음, 유성 구개수 전동음 등 변이음이 다양함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불어 r"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3. 무성 구개수 마찰음 표기에도 쓰임
  4. 유성 연구개 마찰음 표기에도 쓰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