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28번째 줄: 28번째 줄:
== [[사트]]에서 ==
== [[사트]]에서 ==
[[사트]]에서는 [[민중문자]]로 불린다. 한글을 공용 문자로 채택한 국가 혹은 지역은 다음과 같다. 순서는 가나다순이다.
[[사트]]에서는 [[민중문자]]로 불린다. 한글을 공용 문자로 채택한 국가 혹은 지역은 다음과 같다. 순서는 가나다순이다.
* '''현존 국가와 세력'''
** {{국호|그래그래 공화국}}
* '''멸망한 국가와 세력'''
** {{국호|일산 제국}}
** {{국호|지정국}}


== 도보게 ==
== 도보게 ==

2023년 1월 23일 (월) 17:32 기준 최신판

현대 한글 기본 자모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모음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현대 한글 겹자모
자음 쌍자음 ㄲ ㄸ ㅃ ㅆ ㅉ
겹받침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
모음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


한글은 한국어의 공식문자로서, 세종이 한국어를 표기하기 위하여 창제한 문자인 훈민정음을 20세기 초반 이후 달리 이르는 명칭이다.[1]

사트에서

사트에서는 민중문자로 불린다. 한글을 공용 문자로 채택한 국가 혹은 지역은 다음과 같다. 순서는 가나다순이다.

도보게

각주

  1. 출처: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