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일람) |
||
21번째 줄: | 21번째 줄: | ||
|- | |- | ||
|} | |} | ||
모음표의 칸은 a1부터 g10까지입니다. 먼저 언어 별로 존재하는 음운을 기재한 뒤, 빈칸을 채워넣을 때 해당 일람표를 사용하세요. 음운을 기재할 때는 편의성을 위해서 a1 ~ a10 … g1 ~ g10 순서로 차례차례 쓰시는 것을 권고합니다. 자세한 적용 예시와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모음표의 칸은 a1부터 g10까지입니다. 먼저 언어 별로 존재하는 음운을 기재한 뒤, 빈칸을 채워넣을 때 해당 일람표를 사용하세요. 음운을 기재할 때는 편의성을 위해서 a1 ~ a10 … g1 ~ g10 순서로 차례차례 쓰시는 것을 권고합니다. 한 음운에 여러 표기를 사용할 경우, IPA 뒤에 *표(1번째)와 **표(2번째)를 붙인 뒤 작성하세요. 자세한 적용 예시와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
== 적용 == | == 적용 == | ||
{{모음표 | {{모음표 |
2022년 7월 29일 (금) 12:49 판
일람
혀의 높이 | 고(a) | 근고(b) | 중고(c) | 중(d) | 중저(e) | 근저(f) | 저(g) |
---|---|---|---|---|---|---|---|
혀 기울기 | 전설(1-2) | 근전설(3-4) | 중설(5-6) | 근후설(7-8) | 후설(9-10) | 평순은 홀수 | 원순은 짝수 |
모음표의 칸은 a1부터 g10까지입니다. 먼저 언어 별로 존재하는 음운을 기재한 뒤, 빈칸을 채워넣을 때 해당 일람표를 사용하세요. 음운을 기재할 때는 편의성을 위해서 a1 ~ a10 … g1 ~ g10 순서로 차례차례 쓰시는 것을 권고합니다. 한 음운에 여러 표기를 사용할 경우, IPA 뒤에 *표(1번째)와 **표(2번째)를 붙인 뒤 작성하세요. 자세한 적용 예시와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적용
|
전설 |
중설 |
후설 | |||
---|---|---|---|---|---|---|
|
평 |
원 |
평 |
원 |
평 |
원 |
고 |
i ⟨ㅣ⟩ |
y ⟨ㅟ⟩ |
ɨ ⟨ㅢ⟩ |
ɯ ⟨ㅡ⟩ |
u ⟨ㅜ⟩ | |
중 고 |
e ⟨ㅔ⟩ |
ø ⟨ㅚ⟩ |
o ⟨ㅗ⟩ | |||
중 저 |
ɛ ⟨ㅐ⟩ |
ʌ ⟨ㅓ⟩ |
||||
근 저 |
ɐ ⟨ㅏ⟩ |
{{모음표 | i = ㅣ | y = ㅟ | ɨ = ㅢ | a6 = . | ɯ = ㅡ | u = ㅜ | e = ㅔ | ø = ㅚ | c5 = . | c6 = . | c9 = . | o = ㅗ | ɛ = ㅐ | e2 = . | e5 = . | e6 = . | ʌ = ㅓ | e10 = . | f1 = . | f2 = . | ɐ = ㅏ | f9 = . | f10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