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즈사트 이전에 존재한 스치의 인공세계관이다. 하이즈는 여명, 디프, 바이키프, 서사화의 4가지 세계관이 합쳐져 존재하는 거대한 세계이다.

언어 명칭+
자소크 철학단 자소크어 J'Haiz
대한민국 한국어 하이즈
영국 영어 Heis
일본 일본어 海地 (ハイズ)
중화민국 한문 海地

세계관

이 문단에서는 하이즈의 세계관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명

여명(黎明)은 하이즈의 제1세계관으로, 작가 제로켄이 제안하여 구성되었다.

여명은 지역이나 종족 등의 세부적인 설정을 포함하는 세계관은 아니므로, 다른 세계관에서의 뒷 이야기를 다루기 위해 사용 될만한 설정을 주로 제공하도록 할 것이다. 즉, 여명은 그 자체로 완성되는 세밀한 세계관이 아닌, 다른 세계관을 확장하기 위한 설정의 집합이다. 그와 동시에 다른 세계관의 분위기로 다루기 힘든 이야기를 다루기 위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여명의 상징 원소는 ‘공기’인데, 여명이 주로 간섭하는 영역이 ‘분위기’라는 것을 생각하면 나름 그럴 듯 해 보이기도 한다.

속성

여명은 다음의 속성을 갖는다.

  • 원소: 공기
  • 성향: 정체, 도태
  • 색상: 하늘색(하얀색, 회색)

참여

아래는 여명의 창작에 참여한 작가의 목록이다.

조각글

아래는 여명에 관한 조각글의 목록이다.

  • "인간의 기억은 애매하다. 인간의 뇌는 명백한 한계를 갖는다. 그렇다면 이 세계의 진실이란 도대체 어디에 존재하는가? 일련의 사건들이 발생했다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그 정확한 기록이 어디에도 남아있지 않다면, 이 세계는 도대체 무얼 위해 존재한다는 말인가? ... 나는 그러한 의문에 기초하여 탐구를 시작했다."
  • "최근들어 뒤숭숭한 사건이 늘어났다고 느낀 것은, 분명 단순한 착각은 아닐 것이다. 스피커 너머로부터 매일 아침 흘러나오는 사건들은 심상치 않다. 하지만… 여전히 나를 둘러싼 세상은 평온함으로 가득 차있다."
  • "여명. 여명이라는 것은 절대적인 개념의 초월적 도서관 같은 개념 여명은 절대적인 지식의 가치이지만 추구하는 것을 거부한다. 여명의 존재를 알고 있다면 여명이 거부함 여명은 완전히 무질서의 반대이며, 질서의 반대이다 여명은 열심히 하는 행동을 거부하며, 그 반대 역시 거부한다."
  • "사람이 어느 순간 어떤 거대한 작업을 할 때, 그것은 여명이… 뭐?"

설정

여명에서 정의되고 있는 설정은 다음과 같다.

여명회

여명회(-會)는 전세계에 걸쳐 활동중인 국제 기구이다. 사회적인 영향력이 크거나 흔히 위인이라고 일컬어지는 인물이라면 대부분 여명회에 가입하고 있다.

역사

여명회가 처음 설립된 시기는 불명확하다

활동

여명회는 철학의 연구와 보급으로써 사회 일반의 이익에 공여하기 위한 기구이다. 주된 활동은 세계의 섭리에 대한 탐구이며, 실제로 물리 법칙이나 새로운 물질의 발견, 의학의 발전 등에 있어서 큰 기여를 해온 인물들은 대다수가 여명회 소속인 것으로 알려져있다.

업적

아래는 여명회의 연구에 의한 발견이나 발명을 나열한 것이다.

  • 마술에 대한 연구
  • 전기의 상용화, 보급
  • 전산기(컴퓨터) 개발 및 상용화, 보급
  • 마법의 발견 및 상용화, 보급
  • 교육 체계의 설립
  • 허공록 발견
아카식 레코드

아카식 레코드(Akashic Records, 아카샤의 기록)는 신지학 및 인지학에서 과거, 현재, 미래의 모든 사건, 상념, 감정이 명세되어있는 세계의 기억이다. 이 개념은 과거의 모든 사건의 흔적이 어딘가에 영원히 새겨져 있다는 발상에 기초하는 것으로서, 신지론자들은 아카식 레코드가 에테릭 평면이라는 비물리적인 우주론적 평면에 기록되어 있다고 믿는다. 아카식 레코드에 대한 일화적 증거는 오래 전부터 전해져 왔지만, 그 존재에 대한 과학적 증거는 없다.

허공록

여명회는 아카식 레코드가 실존한다고 주장하며, 그것을 허공록(虛空錄)이라고 명명하여 연구 대상으로 삼고 있다. 사실상 허공록이 아카식 레코드라는 증거는 없으며, 정보를 대량으로 저장하는 개념적 존재라는 것만이 발견된 상태이다. 허공록이 아카식 레코드의 정의대로 모든 시간대에 걸쳐 일어난 사건을 기억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밝혀진 바가 없기 때문에 허공록이 아카식 레코드의 정의에 부합하는 지 알 수는 없다.

여명현상

해낼 방법이 없거나 성공할 확률이 희박한 일 따위에 대해 갑작스러운 확신과 희망을 느끼는 사회병리적 현상 내지는 정신질환적 증상을 여명현상(-現象)이라고 한다. 현상의 세부사항에 대해서는 현재 연구중에 있으며 발생 원인이나 명확한 진단 방법은 아직까지도 불분명하다. 전염성이 있어 한 번 발생하면 주위로 확산되기 쉽다는 주장도 있지만 확실한 근거는 없다. 최근에는 우발적 범행의 동기로서 이 현상을 지목하는 사례가 늘고 있어, 연구를 통한 뚜렷한 규명이 요구되는 시급한 논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여명회 측은 이 현상을 일컬어 ‘지성체에게 흔히 나타나는 증상’이고 ‘뇌가 정상적으로 동작한다면 일어나는 것이 당연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으나, 이는 증상의 심각성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주장이라며 비판받고 있다.

발견

여명현상은 최근의 언론이나 SNS, 온라인 커뮤니티 등지에서 큰 관심을 받는 주제이다. 그렇다고 이 현상이 최근에 나타난 처음 현상은 아니다. 현상의 정의를 제안한 연구자 @@@@ @@는 현상의 이름인 ‘여명’을 작가 @@@@@가 집필한 소설 ‘@@@ @@@@@’에서 나오는 주요인물 @@@의 대사로부터 따온 것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작중에서 해당 인물의 행동과 사고방식 등이 이 현상으로 인한 증상과 매우 유사하다.

마술

마술(魔術)은 마법에 의한 현상을 해석하고 인공적으로 행사하기 위한 기술이다. 구체적으로는 자연에 존재하는 활용 가능한 에너지를 가공하고 운용하는 기술로서, 이후 마법의 발견이나 전기의 상용화 등 여러 분야의 기초가 되었다.

마술학

마술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 분야를 마술학(-學)이라고 한다.

마술학은 원래 과학으로부터 파생된 연구 분야로서, 과학자들 중에서도 소수만이 연구하고 있던 분야였다. 이는 마법의 존재가 당시 과학계에서 인정받지 못하였기 때문인데, 덕분에 마술학 연구의 진전은 매우 미미했다.

이후 학계가 자연에 존재하는 에너지에 의한 이상현상을 ‘마법’이라고 정의내릴 것을 인정하였고, 이를 기점으로 마술학은 과학으로부터 분리되어 빠르게 발전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마술학계는 당대의 과학을 아득히 능가하는 연구 성과를 보여, 결국 마술학계가 과학계를 흡수하게 된다.

마술의 연구는 역사적으로도 지대한 가치를 가진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마법을 인공적으로 행사하는 방법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마법의 하위호환적인 기술로 바라보는 시각이 적지 않다. 그러나 몇몇 마술은 그와 유사한 기능의 마법을 아득히 뛰어넘는 성능이나 효율을 보이기도 한다.

예를 들어, 마술의 연구 과정에서 전기가 상용화되었기 때문에 현대에 사용되는 전자기기의 대부분이 개발될 수 있었다. 안정적이고 정교하게 전류에 의한 에너지를 활용하는 기술은 그 어느 마법보다도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후 전류에 대해 다루는 연구 분야는 전기-전자공학이라고 명명되어 마술학으로부터 분리되었다.

그밖에도 수많은 공학 분야 및 세부 과학 분야가 마술학으로부터 발전되어 분리되었다는 점을 보면, 마술학이 현대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연구 분야의 기초가 되는 중요한 학문임을 알 수 있다.

마술과 마법

마술은 마법(魔法)과는 명백히 다르다. 현재는 인간이 마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마법을 다루는 방법이 발견되기 이전의 학계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마법에 의한 현상을 분석하는 데에서 그쳤다. 몇몇 학자들은 그러한 마법을 인공적으로 다루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기 시작했고, 학계에서 마법의 존재를 인정하자 연구는 더욱더 박차를 가하게 된다.

당시의 마술학자들은 인간에게는 마법을 행사할 능력이 없다고 믿었고, 때문에 기술의 발전에 기초한 유사 마법의 행사에 초점을 맞추고 연구를 진행했다. 즉, 초기 마술학의 발달은 진짜 마법과는 거리가 먼, ‘마법을 모방하기 위한 기술’의 형태로 진행됐다는 것이다.

근대에 이르러, 특정 조건을 만족하기만 한다면 인간도 마법을 행사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사실이 밝혀지자, 마술학계는 크게 변화하기 시작했다. 마법에 근사하기 위해 연구되어 왔던 분야들은 대부분 그 방향을 바꾸어 삶의 편의를 위한 기술로 발전되었다. 그러나 마술학은 여전히 사라지지 않고 중요한 연구 분야로 손꼽힌다.

마술학은 유사 마법을 연구하는 학문이지만, 그럼에도 그 명맥이 유지되는 데에는 몇 가지 까닭이 있다.

우선, 마술학의 관점은 극단적으로 효율을 추구한다. 몇몇 마법은 소비되는 리소스 등에 비해 결과가 미미하기도 한데, 이러한 마법을 대체할 수 있는 마술을 개발함으로써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즉, 마법과 마술을 병행하기 위해, 마법에 대해 연구함과 동시에 마술을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마술학계에서는 특정 마법을 마술로 대체하기 위한 방법을 꾸준히 연구하고 있으며, 한계가 큰 마법일 수록 그것을 대체하기 위한 마술의 개발에 앞장서고 있다.

또한, 효율이 좋지 않더라도 거의 모든 마법을 마술로 대체할 수 있다. 마술이 발전됨에 따라 그 이전까지 널리 응용되어 왔던 마법적 현상에 의한 기계들이 마술에 의한 기계로 빠르게 교체되고 있기도 하다. 이는 갑작스럽게 마법을 행사할 수 없는 상황이 되더라도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있다는 확실한 보험이 된다. 단, 마술로 대체할 때의 효율이 극단적으로 낮아지는 상황에서는 그것을 마술로 대체하지 않는 것이 현명하기 때문에, 존재하는 모든 마법을 마술로 대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마술에서 불가능한 일은 마법으로도 불가능하다. 즉, 마술학에 의해 발견된 물리법칙 따위를 명백히 위반하는 현상은 아무리 마법이라도 일으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마술학은 이 세상에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의 한계를 명백히 정의하고 있다. 그 정의가 사실과 일치하는 한, 마법 또한 마술과 별반 다르지 않은 한계를 갖는다.

어차피 한계가 명확하기 때문에, 처음부터 존재했던 법칙인 마법보다는 처음부터 인간의 손으로 쌓아올린 마술이 더욱 인간 친화적이고 이해하기 쉽다는 인식도 적지 않다. 때문에 마법과 마술은 학문으로서 동등한 위치에 있다.

물론 마술이 마법보다 월등히 뛰어나다는 것은 아니다. 마술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가 마법을 사용하면 손쉽게 해결되거나, 그 반대가 되는 상황이 다수 존재한다. 마술을 마법으로, 마법을 마술으로 대체하려는 학자들의 노력은 오랫동안 지속되어왔지만, 결과적으로는 두 가지 모두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마법이 발견된 이후부터는 마술과는 별개로 마법 그자체를 연구하기 위한 학자들의 노력이 뒤따랐으며, 현재는 ‘마법학’이라는 이름으로 마법의 근본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디프

나만의 작은 설원

디프는 하이즈 제2세계관이다. 상징 원소는 물, 키워드는 자연, 고립, 설원이다. 기본적으로 항상 눈이 내리는 기후이며 이로 인해 다른 세계관으로 인한 입출이 제한된다. 때문에 지역 내 사람 외의 사람 접촉이 적기에 사람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 인간과의 관계에 그대지 신경쓰지 않는다.

참여자 목록

  • 사쵸
  • 츠파
  • 계란빵

마법

  • 타인의 마법에 간섭할 수 있다.

공격성 마법에 대한 방어로 사용하기 위해 개발된 마법으로 방어 마법에 분류된다. 허나 그 반응이 매우 밋밋하여(타인의 마법 궤도를 살짝 비트는 정도) 차라리 사용하지 말자. 하는 추세이다.

  • 숨결을 이용한 구름 생성.

기분에 따른 구름이 형성되며 마법 사용 능숙도에 따라 인절성엔 따른 제어가 가능하다. 생성된 구름은 범위 내에서의 기후를 변형 가능하다.

변형 가능한 기후 목록
  • 바람
    • 강우량 조절 가능

바이키프

바이키프는 하이즈 제3세계관이다. 하이즈에서 사용되는 세계관 중에서는 2번째로 이름이 지어졌다. 상징 원소는 흙, 나무; 상징 키워드는 건조, 마법; 대표색은 초록색이다.

바이키프의 기후는 기본적으로 건조하며; 마법을 사용할 때 수분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바이키프 숲의 나무는 건조한 환경에서도 자랄 수 있게 진화했다. 바이키프의 바이키들은 인공적으로 습도를 올리는 기관을 둔다. 바이키프는 연평균 22도 정도의 입사각으로 모성(母星)으로부터 빛을 받으며, 따라서 건조한 기후에도 온도가 높지 않다. 바이키프의 마법은 공기중의 수분만을 사용한다는 특징이 있어서 대기중의 습도와는 다르게 대지의 습도는 높은 편이다. 하지만 지구의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정도로는 미치지 못해, 바이키프 숲에서만 자라는 특이한 식물이 많다.

참여자 목록

피드백?

  • 육식초
    • 사람의 움직임을 뿌리같은 걸로 감지해서 잡아먹는 거임

사전

  • 바이키 (V'Ikie, B'Aищи)
    • 바이키프 마법사.
  • 마법어(Wizardry Language, Eичщyиaпotцcэcпиka) / 바이키어 (V'Ikie Language; B'Aиkэcпиka, Зacokэcпиka)
    • 마법 언어. 주로 영창할 때에 사용한다.
  • 나프 (Gnaff, Haф)
    • 정령, 의지를 가지고 있는 자연.
    • 니프란 의지를 가지게된 자연으로, 자신의 속성에 관해서 재료가 뒷받침하는한 전지전능하며, 상성인 속성이나 클러븐 나무가 없다면 힘을 쓰지못한다.
    • 나프는 세계수의 씨앗이 부화하면서 총 11종류가 만들어졌는데, 이를 나프의 시초라고 하며 현재는 2개의 종류가 소멸, 한개의 종류가 봉인되어 실질적으로 8종류의 나프가 남아있다.
  • 코그 (Qog, Щor)
    • 파괴 마법을 통해 성질이 변화된 물질이다.
    • 원래 상태로 돌릴 수 없으며, 코그의 파괴 역시 어렵다. * 추가 바람 *

특산물

지역
도시
  • 크리투보스러플리우그: Kpиtyboш-Pцфлиyr
    • 대화의 광장
  • 프라이디: Фpaиди
    • 나프의 숲
  • 리후드: Pиxyд
    • 기록관
호수
  • 지우스
나무
  • 소스브라우프; Cocбpayф
    • 세계수
    • 바이키프 숲 한 가운데에 있다.
  • 펠리브 나무; Фeлибэaиkиф
    • 색상 #050200, rgb(5, 2, 0)
    • 평균 크기
      • 둘레 2m
      • 높이 23m
  • 클로븐 나무; Kлobиhэaиkиф
    • 나프가 사는 나무.
    • 피라드-클로븐: Фиpaд-Kлobиh
      • 불의 클로븐
    • 바토르-클로븐: Batop-Kлobиh
      • 물의 클로븐
    • 투타여르-클로븐: Tytajцp-Kлobиh
      • 땅의 클로븐
    • 마라브-클로븐: Mapaб-Kлoбиh
      • 바람의 클로븐
    • 아이키프-클로븐: Aиkиф-Kлoбиh
      • 나무의 클로븐
    • 리뇨에히노치-클로븐: Pиhюэxиhoч-Kлoбиh
      • 번개의 클로븐
    • 고드리시-클로븐: Roдpиш-Kлoбиh
      • 독의 클로븐
    • 쵸니흐-클로븐: Чohиx-Kлoбиh
      • 어둠의 클로븐
    • 히노치-클로븐: Xиhoч-Kлoбиh
      • 빛의 클로븐
물건
  • 니프
    • 퀘즈를 만드는 잉크
    • 지우스 호수의 물에 펠리브 나무 진액을 약 127:1 비율로 섞어서 만든다
  • 퀘즈
    • 마법을 사용하기 위한 그림
    • 펠리브 나무 판에 니프로 그린다
생명
  • 니프

마법

분류
  • 공격
    • 긁힘
    • 찢김
    • 눌림
    • 터짐
    • 상태 변화
      • 온도 등
  • 수비
    • 방어
      • 변력
      • 소멸
    • 버티기
      • 경화
    • 피하기
      • 은신
    • 치료
  • 이동
    • 이동
    • 비행
    • ____ Poц Зoзakэhox Зypyp [____ Roe Zozakenohh Zururr]: 이동
      • ____로 순간이동한다.
    • Kpцt Cabatyp [Krut Savaturr]: 이동
      • 1m3정도의 공기를 공간에 묶어둔다.
      • 가둔 공기는 보이지 않는 힘에 의해 안쪽으로 빨려와, 한 점으로부터 평균 62.03cm를 벗어나지 못한다.
      • 공간의 밖에서는 가둔 공간으로 물체를 유입하게 할 수 있다.
      • 주로 마기 제조 마법을 할 때 사용한다.
    • Лocabatype [Losavature]: 이동
      • Kpцt Cabatyp와 같은 Cabat계의 마법을 해제할 때 사용한다.
    • Mиpo Rлишykyp [Miro Glishukurr]: 비행
      • 자신의 몸을 공중에 띄운다.
    • Лorлишype [Loglishure]: 비행
      • Mиpo Rлишykyp와 같은 Rлиш계의 마법을 해제할 때 사용한다.
      • 띄운 모든 물체를 떨어트린다.
  • 연성
    • 소환
    • 합성
    • 변화
    • 파괴
    • Xиhoч Kpифyp [Hinoch Krifurr]: 소환
      • 자신을 따라다니는 불빛을 만든다.
      • 빛은 바이키가 원하는 곳으로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지만, 바이키의 능력의 따라 그 거리가 조정된다. 빛이 물체를 통과하려고 시도하거나 물체가 빛에 닿는다면 즉시 소멸한다.
      • 대부분 어두운 곳을 밝히는 용도로 사용한다.
    • Hapиc Ё Биctype [Naris Yo Bisture]: 소환
      • 마법어로 작성된 마법에 대한 지침서가 나온다.
      • 지침서 내에 있는 내용을 모두 익히면 모든 마법을 능숙히 사용할 수 있다.
    • Ифop'bo Фиpaд Kpифyp [Ifor'vo Firad Krifurr]: 소환
      • 주먹을 쥐었다가 펴는 순간에 손에서 불을 낸다.
      • 수평 방향에서 30도정도 아래로 불을 쐈을 때, 들판이라면 10m2 정도 탄다.
    • Дaш Kpomaдyp [Dash Kromadurr]: 파괴
      • 눈 앞에 보이는 물체를 없앤다. 물체는 마법을 맞은 순간 굳어 아무런 상호작용이 불가능하게 되고, 빠르면 30L/s의 속도로 아주 작은 입자로 줄어들어, 결국 입자는 1/1048576 정도 크기의 코그로 변한다.
      • 눈 앞에 모두 들어오는 것이라면 무엇이든지 없앨 수 있기 때문에 각별히 주의할 필요가 있다.
  • 수양
    • 제어
기본 리소스
  • 3단계 - 재
대분류
영창 마법
  • 마법을 영창해 발현한다?
  1. 마법을 영창한다.
마기 제조
  1. Kpцt Cabatyp 마법을 영창한다.
  2. 막 집어넣는다.

스토리

세계수 이야기
나프 이야기

나프는 세계수의 씨앗이 부화하면서 총 11종류가 만들어졌는데, 이를 나프의 시초라고 하며 현재는 2개의 종류가 소멸, 한개의 종류가 봉인되어 실질적으로 8종류의 나프가 남아있다.

서사화

서사화는 하이즈 제4세계관이다. 하이즈에서 사용되는 세계관 중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이름이 지어졌다. 상징 원소는 불; 상징 키워드는 더위, 사막, 방화; 대표색은 빨강이다.

참여자 목록

  • 오반
  • 일홍
  • 연어

특산물

X 등급
  • 봉황의 창

태양을 상징하는 삼족오 봉황의 영혼을 창에 깃듬. 현재 아무도 찾지 못한 깊은 용암 동굴 아래 서식 중임 창을 들게 되는 순간 급격히 탈진 상태에 걸린다 그렇지만 그만큼 힘의 능력은 대폭 상승 하여 건물 하나를 기본으로 박살.

S 등급
  • 자호(紫虎)

보라색 호랑이. 보통 탈 것으로 사용됨. 최고 이동 속도는 시속 150km정도이고, 최고 이동 속도까지 약 20초 내에 도달할 수 있다. 몸집은 머리에서 꼬리까지 약 3m, 다리에서 등까지 2m 정도이고, 4족보행을 한다.

A 등급
B 등급
  • 염우(炎牛)의 뼈 방패

불꽃을 두른 소, 염우의 뼈를 제작해 방패로 만들어 놈. 체력이 올라가고 조그마한 회복이 될 뿐더러 마법 저항력의 버프를 받게됨 대신 내구도는 약하여 그리 오래 가지는 않음.

C 등급

마법

격투
  • 강화 마법을 통해 공격력이나 공격속도 이동속도 방어력이 대폭 증가한다.
    • 물리적인 힘을 주로 가한다.
공격
  • 펀치
  • 어퍼컷
방어
  • 경화
  • 가드
이동
  • 대쉬
  • 도약
수양
  • 제어
  • 총명

시련

세계관 최강자 =

생활 모습